2024년 3월 3일 일요일

가로수로 심어져 있던데

가로수로 심어져 있던데

가로수로 심어져 있던데

이름이 궁금하네요

いわ岩

いわ岩

いわ岩

=> 바위

흑우생백독黑牛生白犢 – 검은 소가 흰 송아지를 낳다, 화복이 뒤바뀌다.

흑우생백독黑牛生白犢 – 검은 소가 흰 송아지를 낳다, 화복이 뒤바뀌다.

흑우생백독(黑牛生白犢) – 검은 소가 흰 송아지를 낳다, 화복이 뒤바뀌다.

검을 흑(黑/0) 소 우(牛/0) 날 생(生/0) 흰 백(白/0) 송아지 독(牛/15)

세상사에 늘 좋은 일만 있을 수 없다. 나쁜 일만 계속된다고 하여 늘 실의에 빠질 필요도 없다. 세상사는 늘 돌고 돌아 ‘음지가 양지 되고 양지가 음지 된다’고 한다. 사람이 살아가면서 禍(화)와 福(복)이 바뀌고 吉凶(길흉)이 섞인다는 대표적인 성어에 ‘인간만사는 새옹지마라’ 할 때의 塞翁之馬(새옹지마)이고 轉禍爲福(전화위복)이다. 여기에 검은 소(黑牛)가 흰 송아지를 낳았다(生白犢)는 뜻의 말도 똑 같은 의미다. 검은 소가 행운의 흰 송아지를 낳았으니 큰 복이 올 것이라 기대하다 재앙이 닥치고, 또 그것이 복으로 바뀐다.

중국 戰國時代(전국시대) 道家(도가)의 사상가 列子(열자)와 그 후학들이 편찬했다는 ‘열자’에 이 이야기가 전한다. 옛날 宋(송)나라에 3대째 이어가며 어질고 의로운 행동을 하는 집안이 있었다. 그런 어느 날 그 집에서 기르던 검은 소가 까닭 없이 흰 송아지를 낳았다(家無故黑牛生白犢/ 가무고흑우생백독). 어떤 연고인지 아버지가 아들을 시켜 孔子(공자)에게 여쭤보게 했다. 공자는 아주 길한 징조이니 상제께 바치라고 일러 주었는데 일 년 후 그만 아버지가 눈이 멀게 됐다. 다시 집의 검은 소가 흰 송아지를 낳아 아버지가 공자에게 물어보라고 하자 아들은 알아맞히지도 못한다고 불평했다. 성인의 말씀은 처음 어긋나다가도 뒤에는 맞는 법이라며 보냈다가 이번에도 하늘에 제사지내라는 말씀을 듣고 왔다. 그대로 행한 뒤 일 년이 지나 이번에는 아들도 눈이 멀었다.

성인의 말이 계속 틀리고 흰 송아지가 계속 불행만 가져온 것일까. 그 뒤 강국 楚(초)나라가 송나라를 침략하여 그들이 사는 성을 포위하자 사람들은 굶주려 자식을 바꾸어 잡아먹는 끔찍한 일까지 벌어지는 참담한 지경에 이르렀다. 또 장정들은 성 위로 올라가 싸우다 절반 이상이 목숨을 잃었다. 하지만 이들 부자는 모두 앞이 안 보였기 때문에 재앙을 면할 수 있었고 전쟁이 끝난 뒤에는 시력이 다시 정상으로 돌아 와 사물을 볼 수 있게 되었다. 검은 소가 결국 재앙을 면하게 해 준 복덩이였다. 8편 중 說符(설부)편에 실려 있다.

인생에서 길흉화복은 예측할 수 없다는 것을 검은 송아지로 비유했는데 한 때의 그것으로 일희일비하지 말라는 교훈도 준다. 그러니 잘 나간다고 기고만장하여 닿지 말고, 지금 불행하다고 의기소침하지 말고 앞날을 대비하는 기회로 삼아야겠다. / 제공 : 안병화(언론인, 한국어문한자회)

가슬석자 歌瑟析子 - 가수와 가인을 자식들에 나누다, 은퇴한 뒤 유유자적하다.

가슬석자 歌瑟析子 - 가수와 가인을 자식들에 나누다, 은퇴한 뒤 유유자적하다.

가슬석자 (歌瑟析子) - 가수와 가인을 자식들에 나누다, 은퇴한 뒤 유유자적하다.

노래 가(欠/10) 큰거문고 슬(玉/9) 쪼갤 석(木/4) 아들 자(子/0)

하던 일에서 타의로 손을 떼게 된다면 삶의 목적을 잃게 된다. 정년퇴직이란 누군가가 제멋대로 생각해낸 규정이란 말이 있다. 인간이 일할 능력이 어느 때부터 없어지는 것이 아니고, 각 개인에 따라 다른 시기에 일어나기 때문이다. 반면 어느 정도 부와 명예를 이루고도 후진을 위해 용퇴하지 않는 것도 곱게 보아줄 일이 아니다. 후세의 기림을 받는 훌륭한 선비들은 낙향하여 悠悠自適(유유자적)한 생활을 한 사람이 많다. 老子(노자)는 ‘道德經(도덕경)’에서 ‘공을 이루고 나면 스스로 물러나는 것이 하늘의 이치(功遂身退 天之道也/ 공수신퇴 천지도야)’라고 했다.

노래하는 가수와 거문고타는 가인(歌瑟)을 자식들에게 나누어준다(析子)는 이 성어는 중국 前漢(전한) 초기의 학자 陸賈(육가)의 일화에서 유래했다. 육가는 시서를 좋아하고 변설에 능한 학자로서 高祖(고조) 劉邦(유방)의 빈객으로 천하평정에 큰 공을 세웠다. 말재주가 좋은 만큼 수시로 제후들에게 사자로 나갔는데 南越(남월)지역의 尉佗(위타, 佗는 다를 타)라는 사람을 잘 타일러 한나라에 복속시킨 공으로 천금을 선물 받았다. 고조의 신임도 얻어 탄탄대로를 달렸다.

유방이 죽고 왕후 呂太后(여태후)가 정권을 좌우하자 육가는 공신들과 힘을 합쳐 간언했지만 소용이 없었다. 할 수 없이 육가는 병을 핑계로 벼슬을 그만 두고 낙향했다. 그에게는 아들이 다섯 명 있었다. 육가가 남월에 사신으로 갔을 때 받은 천금의 보물을 팔아 아들에게 골고루 나눠주고 자신은 편안히 지내려 했다. 그는 말 네 마리가 끄는 편안한 수레를 타고 가무와 악기에 능한 시종 열 명을 데리고 다녔다(陸生常安車駟馬 從歌舞鼓琴瑟侍者十人/ 육생상안거사마종가무고금슬시자십인). 駟는 사마 사. 그러면서 아들들에게 열흘 정도씩 돌아가며 머물도록 할 테니 자신이 죽는 집에서 말과 수레, 시종을 갖도록 하라고 말했다. ‘史記(사기)’ 酈生陸賈(역생육가) 열전에 실려 있는 내용이다. 酈은 땅이름 력.

가장 잘 나가는 시기에 물러나 편안히 보내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오늘날 대부분의 은퇴자들은 꿈도 못 꾼다.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로 노인 인구가 급속도로 늘어나고 또 이들이 자녀양육 등으로 노후자금이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재정 지원도 부족하니 일자리라도 달라고 아우성이다. 국가발전을 위해 노력하고도 노후가 캄캄한 이들에게 따뜻한 손길이 필요하다./ 제공 : 안병화(언론인, 한국어문한자회)

견선여갈見善如渴 - 착한 것을 보면 목마를 것같이 하라

견선여갈見善如渴 - 착한 것을 보면 목마를 것같이 하라

견선여갈(見善如渴) - 착한 것을 보면 목마를 것같이 하라

볼 견, 착할 선, 같을 여, 목마를 갈

무엇을 보고(見) 어떻게 하라는 성어는 부지기수다. 유명한 것이 안중근 의사의 유묵 見利思義(견리사)와 見危授命(견위수명), 최영 장군의 좌우명 見金如石(견금여석) 등 모두 좋은 말이다. 서리 내린 것을 보고 얼음 얼 것을 아는 見霜知冰(견상여빙)은 사소한 것을 보고 변화를 감지한다는 見微知著(견미지저), 見小曰明(견소왈명)과 뜻이 통한다. 여기 좋은 의미의 성어 하나 더 추가하면 선한 일을 앞에 두고선(見善) 목마른 것같이 하라(如渴)는 이 말을 들 수 있다. 좋은 일을 적극 권장하는 말이다.

금언과 명구를 모아 놓은 책 ‘明心寶鑑(명심보감)’에 실려 전하는 말이다. 家有十盜(가유십도)에서 나왔던 대로 고려 충렬왕 때 예문관제학을 지낸 문신 秋適(추적)이 아동들의 학습을 위해 중국 고전에 나온 선현들의 말을 모두 19편으로 나눠 수록했다. 마음을 밝게 하는 보물과 같은 거울이라는 뜻으로 한문 초학자가 千字文(천자문)을 배운 다음 童蒙先習(동몽선습)과 함께 기초과정의 교재로 사용했다. 이 말은 제일 먼저 나오는 繼善篇(계선편)에 실려 있는데 여기엔 착한 자에게는 복이 오고 악한 자에게는 화가 미친다는 의미의 금언들이 등장한다. 부분을 보자.

중국 고대 周(주)나라의 명신 姜太公(강태공)이 말한 것으로 되어 있다. ‘태공이 말하길 착한 일을 보거든 목마를 때 물을 본 듯이 주저하지 말고 행하며, 악한 이야기를 들으면 귀머거리처럼 행동하라. 또한 착한 일은 탐내야 하며 악한 일은 즐기지 말라(太公曰 見善如渴 聞惡如聾 又曰 善事須貪 惡事莫樂/ 태공왈 견선여갈 문악여롱 우왈 선사수탐 악사막락)’.

/ 제공 : 안병화(언론인, 한국어문한자회)

견토구폐犬兎俱斃 - 개와 토끼가 함께 죽다, 손해만 입고 제삼자가 이득을 보다.

견토구폐犬兎俱斃 - 개와 토끼가 함께 죽다, 손해만 입고 제삼자가 이득을 보다.

견토구폐(犬兎俱斃) - 개와 토끼가 함께 죽다, 손해만 입고 제삼자가 이득을 보다.

개 견(犬/0) 토끼 토(儿/5) 함께 구(亻/8) 죽을 폐(攵/14)

아무런 힘을 들이지 않고 일을 쉽게 해낼 때 ‘땅 짚고 헤엄치기’라거나 ‘손 안 대고 코 풀기’란 속담을 자주 쓴다. 반대로 힘은 힘대로 쓰고도 손해만 입었을 때는 ‘게도 구럭도 다 잃었다’란 말이 있다. 게를 잡으러 갔다가 새끼로 만든 바구니 구럭까지 잃었으니 도로아미타불이다. 개와 토끼(犬兎)가 쫓고 쫓기다 함께 죽는다(俱斃)는 이 말은 유명한 비유인 만큼 같은 출전에서 비롯한 성어가 많다. 犬兎之爭(견토지쟁)이나 농부만 득보는 田父之功(전부지공), 양측 모두 손해만 입는 兩敗俱傷(양패구상) 등이 그것이다.

중국 戰國時代(전국시대, 기원전 403년~221년)란 말을 낳았다는 ‘戰國策(전국책)’은 前漢(전한) 시대 학자 劉向(유향)이 당시 지략을 떨친 전략가들의 일화를 모은 책이다. 史記(사기)에 버금갈 정도로 고사가 풍부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齊(제)나라에 淳于髡(순우곤, 髡은 머리깎을 곤)이란 대부가 있었다. 천한 신분에다 몸집도 왜소해 볼품이 없었지만 익살과 기지가 넘치는 변설로 제후를 섬겼다. 齊策(제책)에 실린 내용을 보자.

제나라의 宣王(선왕)이 강국 秦(진)과 대치하는 와중에 군대를 일으켜 魏(위)나라를 치려고 하자 순우곤이 나서 비유를 들어 간언했다. ‘한자로는 천하에 발 빠른 사녕개요, 동곽준은 약삭빠르기로 제일가는 토끼입니다(韓子盧者 天下之疾犬也 東郭逡者 海內之狡兎也/ 한자로자 천하지질견야 동곽준자 해내지교토야). 한자로가 동곽준을 쫓게 되어 산기슭을 세 번이나 돌고 산꼭대기를 다섯 번이나 오르내리느라 지쳐서 토끼가 먼저 쓰러지고 사냥개도 뒤따라 기진하여 두 마리 모두 죽었습니다(韓子盧逐東郭逡 環山者三 騰山者五 兎極于前 犬廢于後 犬兎俱罷/ 한자로축동곽준 환산자삼 등산자오 토극우전 견폐우후 견토구파).’ 이 두 마리를 지나가던 농부가 힘 안 들이고 주워갔다고 말해도 선왕이 알아듣지 못했다. 순우곤이 이어 지금 위나라와 전쟁을 벌이면 국력이 약해져 진나라만 농부와 같이 이득을 안겨 준다고 하자 왕이 깨닫고 정벌계획을 취소했다. / 제공 : 안병화(언론인, 한국어문한자회)

あわてる慌てる

あわてる慌てる

あわてる慌てる

=>당황하다, 황급히 굴다;허둥대다

심격천산心隔千山 - 마음 사이의 천개의 산, 소통이 안 됨

심격천산心隔千山 - 마음 사이의 천개의 산, 소통이 안 됨

심격천산(心隔千山) - 마음 사이의 천개의 산, 소통이 안 됨

마음 심(心/0) 사이뜰 격(阝/10) 일천 천(十/1) 메 산(山/0)

상대방의 마음을 읽을 수 있다면 모든 갈등은 사라질까. 아니 자신을 좋지 않게 생각하는 마음도 읽을 수 있으므로 오히려 더 혼돈스러울지 모른다. 사람의 마음이란 변하기 쉬우니 ‘사람의 마음은 하루에도 열두 번’이란 말이 나왔겠다. 사람의 속마음을 알기란 매우 힘들다는 비유는 많다. ‘낯은 알아도 마음은 모른다’는 말이나 ‘천 길 물속은 알아도 한 길 사람의 속은 모른다’란 속담이 단적으로 표현했다. 이렇게 어려운 것이 사람의 마음을 아는 것인데 천 개의 산(千山)을 사이에 두고 떨어져 있다면(心隔) 상대를 아는 것은 불가능하다. 얼굴을 맞대고 대화를 해도 진실성이 없다면 영원히 소통이 안 된다는 뜻의 성어다.

이 말은 ‘明心寶鑑(명심보감)’에 실려 있다. 고려 충렬왕 때의 문신 秋適(추적)이 전해오는 명언과 명구를 모은 책이다. 마음을 밝게 하는 보물과 같은 거울이라 뜻하는 대로 옛날부터 서당에서 한문 초학자가 배우던 기초교재였다. 착한 자에게는 복이 오고 악한 자에게는 화가 오니 선행을 해야 한다는 繼善篇(계선편)을 필두로 모두 19편이 실려 있다.

전체 분량의 3분의 1이나 차지하는 책의 핵심 省心篇(성심편)에는 마음의 성찰과 그 방법에 대하여 다양한 글들이 소개된다. 몇 구절만 인용해 보자. ‘얼굴을 맞대고 서로 이야기는 하지만, 마음은 천 개의 산으로 떨어져 있는 것과 같다(對面共話 心隔千山/ 대면공화 심격천산)’에서 이 성어가 왔다. 또 ‘범을 그리되 겉모양은 그릴 수 있으나 뼈는 그리기 어렵고, 사람을 알되 얼굴은 알지만 그 마음을 알 수는 없다(畵虎畵皮難畵骨 知人知面不知心/ 화호화피난화골 지인지면부지심)’거나 ‘바다는 마르면 마침내 바닥을 볼 수 있으나, 사람은 죽어도 그 마음을 알지 못한다(海枯終見底 人死不知心/ 해고종견저 인사부지심)’ 등으로 명언이 이어진다. / 제공 : 안병화(언론인, 한국어문한자회)

초요과시招搖過市 – 허풍을 떨며 자랑하고 다니다.

초요과시招搖過市 – 허풍을 떨며 자랑하고 다니다.

초요과시(招搖過市) – 허풍을 떨며 자랑하고 다니다.

부를 초(扌/5) 흔들 요(扌/10) 지날 과(辶/9) 저자 시(巾/2)

안에 든 것이 별로 없는 사람이 잘 아는 체 떠벌리는 사람에 합당한 속담이 있다. ‘빈 수레가 요란하다’, ‘속이 빈 깡통이 소리만 요란하다’ 등이다. 벼가 익을수록 고개를 숙이듯이 잘 알아도 겸손해야 할 텐데 도무지 그러지 못하니 따돌림 당한다. 또 믿는 구석이 있거나 알량한 권력을 쥐었다면 아무 곳에서나 거들먹거린다. 옛 중국 齊(제)나라 명재상 晏嬰(안영)을 모시던 마부가 눈에 보이는 것 없이 의기양양했다는 晏子之御(안자지어)란 성어도 있다. 여기에 남들의 주의를 끌려고 허풍을 떨며(招搖) 시장바닥을 지나간다(過市)는 이 말도 같은 뜻이다. 허장성세로 사람들의 이목을 끄는 것을 비유하고 있다.

春秋時代(춘추시대, 기원전 770년~403년)때 魯(노)나라의 孔子(공자)는 자신의 학문을 전파하고 정치에 접목하기 위해 제자들을 거느리고 여러 나라를 떠돌았다. 13년 동안이나 周遊列國(주유열국) 했지만 가는 곳마다 냉대를 받아 별 실속이 없었다. 심지어 鄭(정)나라에선 길을 잃어 초라한 모습에 喪家之狗(상가지구) 취급도 받고, 陳(진)과 蔡(채)나라의 대부들이 국경을 막는 바람에 제자와 함께 굶주렸던 陳蔡之厄(진채지액)도 당했다. 공자가 제일 처음 방문한 나라가 衛(위)였다. 당시의 靈公(영공)은 어리석어 임금의 구실을 제대로 못하고, 宋(송)나라에서 시집온 부인 南子(남자)가 총애를 믿고 국정을 좌우하여 국정이 어지러웠다. 공자가 왔다는 소식을 듣고 남자가 직접 만나보고 싶다고 전해 왔다. 몇 번 사양하다가 할 수 없이 만나러 갔을 때 휘장을 사이에 두고도 남자의 허리에 찬 구슬장식이 맑고 아름다운 소리를 냈다. 공자를 유혹하려는 남자의 행위에 같이 갔던 제자 子路(자로)는 분노했지만 공자가 말렸다.

위나라에 머문 지 한 달이 지나 영공이 남자와 함께 수레를 타고 궁문을 나섰을 때다. 공자가 뒤의 수레를 타고 가면서 보니 영공과 남자는 화려한 장식에 거드름을 피우며 시장바닥을 지나갔다(使孔子爲次乘 招搖過市之/ 사공자위차승 초요과시지). 공자는 위나라의 정치수준에 실망하여 曹(조)나라로 향했다. ‘史記(사기)’ 공자세가에 실려 있는 이야기다. / 제공 : 안병화(언론인, 한국어문한자회)

호사다마好事多魔 - 좋은 일에는 흔히 방해되는 일이 많다.

호사다마好事多魔 - 좋은 일에는 흔히 방해되는 일이 많다.

호사다마(好事多魔) - 좋은 일에는 흔히 방해되는 일이 많다.

좋을 호(女/3) 일 사(亅/7) 많을 다(夕/3) 마귀 마(鬼/11)

좋은 일이 있을 때 계속 이어지면 좋겠지만 조물주의 심술인지 희망대로는 안 된다. 지난 번 재앙은 꼭 겹쳐 온다는 禍不單行(화불단행)에서 나왔던 대로 福無雙至(복무쌍지)라고 복은 짝지어 오지 않는 법이다. 일이 좀 펼쳐지려 하면 마귀가 끼어 방해되는 일이 많이 생긴다. 마음먹은 대로 일을 성취하기 위해서는 그만큼 고충이 뒤따르니 잘 이겨내야 한다는 뜻을 담았다.

이 성어는 문어라기보다 구어로 많이 사용됐다고 하는데 중국 淸(청)나라 때 曹雪芹(조설근, 芹은 미나리 근)이 지은 장편소설 ‘紅樓夢(홍루몽)’에 쓰인 예가 대표적이다. 거기엔 ‘홍진 세상에 즐거운 일이 있어도 영원히 의지할 수는 없는 일이다. 또 美中不足 好事多魔(미중부족 호사다마/ 옥에도 티가 있고 좋은 일에는 탈도 많다)라는 여덟 글자는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어 순식간에 즐거움이 다하고 슬픈 일이 생기는 법이다’라고 했다.

우리나라에서 쓰는 好事多魔를 중국에서는 好事多磨로 쓰는데 실제 ‘홍루몽’ 이전의 전적에서 나타난다고 했다. 元末(원말)에서 明初(명초)의 희곡작가 高明(고명)의 희곡 ‘琵琶記(비파기)’에는 ‘좋은 일에 어려움 많고 풍파가 일어날 것을 누가 알겠는가(誰知好事多磨起風波/ 수지호사다마기풍파)’로 나온다.

金(금)나라 董解元(동해원)의 ‘西廂記諸宮調(서상기제궁조, 廂은 행랑 상)’에는 ‘참으로 이른바 좋은 시기는 얻기 어렵고 좋은 일을 이루려면 많은 풍파를 겪어야 한다(眞所謂佳期難得 好事多磨/ 진소위가기난득 호사다마)’라고 표현했다./ 제공 : 안병화(언론인, 한국어문한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