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17일 금요일

10월 16일 오늘의 꽃

10월 16일 오늘의 꽃

10월 16일 오늘의 꽃

이 름 : 이끼장미(채송화, Moss Rose)

학 명 : Portulaca grandiflora

과 명 : 쇠비름과

분 포 : 남아메리카 원산

서 식 : 관상용으로 재배

크 기 : 높이 20cm 내외

개 화 : 7∼10월

꽃 말 : 순진무구(naive)

채송화는 남아메리카 원산이며 관상용으로 심는다. 마당의 한켠이나 담벼락 아래 주로 심었으며 양지바른 곳에서 잘 자란다. 줄기는 붉은 빛을 띠고 가지가 많이 갈라져서 퍼지며 높이 20cm 내외이다. 잎은 육질로 어긋나고 가늘고 긴 원기둥 모양이고 잎겨드랑이에 흰색 털이 있다. 꽃은 가지 끝에 1~2송이씩 달리고 지름 2.5cm 정도로 2개의 꽃받침조각과 5개의 꽃잎이 있다. 꽃잎은 끝이 파지고 붉은색 ·노란색 ·흰색과 더불어 겹꽃도 있다.

꽃은 7∼10월에 피고 맑은날 낮에 피며 오후 2시경에 시든다. 꽃받침은 2개로 넓은 달걀 모양이고 막질이며, 꽃잎은 5개로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이고 끝이 파진다. 수술은 많으며 암술대에 5~9개의 암술머리가 있다. 열매는 삭과(蒴果)로 막질이고 9월에 성숙하며 중앙부에서 수평으로 갈라져 많은 종자가 나온다. 분이나 뜰에서 가꾸고 1번 심으면 종자가 떨어져서 매년 자란다. 전초를 반지련(半支蓮)이라고 하며, 주로 외용약으로 사용한다.

10월 15일 오늘의 꽃

10월 15일 오늘의 꽃

10월 15일 오늘의 꽃

이 름 : 스위트 바질(Sweet Basil)

학 명 : Ocimum basilicum

과 명 : 꿀풀과

분 포 : 동남아시아·유럽·아메리카·일본 등 세계 각지

서 식 : 향신료 재배

크 기 : 높이 20∼70cm

개 화 : 여름

꽃 말 : 좋은 희망(good hope)

열대 아시아 원산이며 열대에서는 줄기가 목질화되는 여러해살이 반관목이다. 높이 20∼70cm이고 줄기는 사각형이며 부드러운 털이 나 있다. 잎은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 톱니가 있는 달걀 모양 바소꼴로 마주나며 길이 5∼10cm이고 향기가 강하다.

꽃은 여름에 원줄기의 윗부분에서 이삭 형태로 층층이 달리지만 돌려나고 입술처럼 생기며 자줏빛을 띤 흰색이다. 포는 달걀 모양이고 꽃받침은 관 모양이며 수술은 4개이나 암술머리는 2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작은 견과로 달걀 모양 또는 긴 타원형이다. 종자는 매우 작고 검은색이며 물기가 있으면 우무 모양의 물질이 나오기 때문에 눈에 든 티를 씻어내는 데 이용된다.

뿌리는 가늘고 많이 나오기 때문에 이식하기 좋고 4∼5월에 파종하여 6월에 이식한다. 잎이나 줄기는 말려서 요리의 향신료로 쓰이고 방향유(芳香油)는 음료나 비누의 향기를 내는 데 이용한다.

오시멘(ocimene), 알파피넨(α-pinene)의 성분이 있고 진해(鎭咳)·해열·해독·설사·변비·월경불순 등의 약재로도 사용한다. 동남아시아·유럽·아메리카·일본 등 세계 각지에서 재배하며, 온난한 지역에서는 야생한다.

10월 14일 오늘의 꽃

10월 14일 오늘의 꽃

10월 14일 오늘의 꽃

이 름 : 흰색 국화(Chrysanthemum)

학 명 : Chrysanthemum morifolium

과 명 : 국화과

분 포 : 세계 각국

서 식 : 산, 들

크 기 : 높이 1m

개 화 : 품종에 따라 다양

꽃 말 : 진실(truth)

국(菊)·구화라고도 한다. 국화는 관상용으로 널리 재배하며, 많은 원예 품종이 있다. 높이 1m 정도로 줄기 밑부분이 목질화하며, 잎은 어긋나고 깃꼴로 갈라진다. 꽃은 두상화로 줄기 끝에 피는데 가운데는 관상화, 주변부는 설상화이다. 설상화는 암술만 가진 단성화이고 관상화는 암·수술을 모두 가진 양성화이다.

꽃은 노란색·흰색·빨간색·보라색 등 품종에 따라 다양하고 크기나 모양도 품종에 따라 다르다. 꽃의 지름에 따라 18cm 이상인 것을 대륜, 9cm 이상인 것을 중륜, 그 이하인 것을 소륜이라 하며 꽃잎의 형태에 따라 품종을 분류하기도 한다.

국화는 동양에서 재배하는 관상식물 중 가장 역사가 오랜 꽃이며, 사군자의 하나로 귀히 여겨왔다. 중국 원산이라고 하나, 그 조상은 현재 한국에서도 자생하는 감국이라는 설, 산국과 뇌향국화와의 교잡설, 감국과 산구절초와의 교잡설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재배를 시작한 시기는 당대(唐代) 이전으로 추정된다.

10월 13일 오늘의 꽃

10월 13일 오늘의 꽃

10월 13일 오늘의 꽃

이 름 : 조팝나무(Spirea)

학 명 : Spiraea prunifolia var. simpliciflora

과 명 : 장미과

분 포 : 한국·타이완·중국 중부

서 식 : 산야·양지바른 산기슭

크 기 : 1.5~2m

개 화 : 4∼5월

꽃 말 : 단정한 사랑(neat love)

쌍떡잎식물 장미목 장미과의 낙엽관목. 스피리아(Spirea) 계이다. 조팝나무는 산야에서 자란다. 높이 1.5∼2m이고 줄기는 모여나며 밤색이고 능선이 있으며 윤기가 난다.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이며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다. 꽃은 4∼5월에 피고 백색이며 4∼6개씩 산형꽃차례로 달리며 가지의 윗부분은 전체 꽃만 달려서 백색 꽃으로 덮인다. 꽃잎은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이며 꽃받침조각 뾰족하며 각각 5개씩이고 수술은 많으며 암술은 4∼5개씩이고 수술보다 짧다.

열매는 골돌(利咨)로서 털이 없고 9월에 익는다. 꽃잎이 겹으로 되어 있는 기본종은 일본산이며 관상용으로 심는다. 꽃핀 모양이 튀긴 좁쌀을 붙인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조팝나무라고 한다. 어린순은 나물로 한다. 뿌리는 해열·수렴 등의 효능이 있어 감기로 인한 열, 신경통 등에 사용한다. 한국(함북 제외)·타이완·중국 중부 등지에 분포한다.

10월 12일 오늘의 꽃

10월 12일 오늘의 꽃

10월 12일 오늘의 꽃

이 름 : 월귤(Bilberry)

학 명 : Vaccinium vitis-idaea

과 명 : 진달래과

분 포 : 한국(금강산 이북)·일본·중국

서 식 : 고산지대

크 기 : 높이 10∼30cm

개 화 : 5∼6월

꽃 말 : 반항심(the spirit of insubordination)

땃들쭉이라고도 한다. 고산지대에서 자란다. 높이 10∼30cm이다. 땅속줄기가 벋으면서 자라고 잔털이 난다. 잎은 어긋나고 혁질(革質:가죽 같은 질감)이며 달걀 모양이거나 달걀을 거꾸로 세워놓은 모양이며 길이 1∼3cm, 나비 5∼13mm이다. 끝이 둔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윤이 난다. 겉면은 짙은 녹색이고 뒷면에 검은 점이 있으며 끝은 오목하게 들어간다.

꽃은 5∼6월에 흰색이나 연한 붉은색으로 피고 가지 윗부분의 총상꽃차례에 2∼3개씩 달린다. 화관은 종처럼 생기고 길이 6∼7mm로서 밑을 향하며 끝이 4개로 갈라진다. 수술은 10개이며 수술대에 털이 난다. 열매는 장과로서 둥글고 8∼9월에 붉게 익는다.

관상용으로 심는다. 열매는 신맛이 강하나 달콤하여 날로 먹거나 술을 만들고 잎은 약재로 쓴다. 한국(금강산 이북)·일본·중국에 분포한다.

반려견의 수명

반려견의 수명

반려견의 수명

반려견을 기르는 사람이 1.000만을 넘어섰다고 합니다. 하지만 같이 기르던 반려견의 마지막을 끝까지 보살펴 주는 사람은 훨씬 적다고 합니다.

"

한 sns에서 반려견과 이별한 사람들이라는 글에서 수많은 사람들이 키우던 반려견의 마지막 장면을 댓글로 남겼습니다.

",

어떤 나이든 반려견은 주인이 퇴근해 식탁에서 밥을 먹고 있을때 어디서 잃어버린 양말 한짝을 찾아와 무릎에 놓고서는 한참을 빤히 쳐다보고서는 헛구역질을 두번하고 숨을 거두었다고 합니다.

고치기 힘든 병에걸린 반려견이 병원에 치료를 받고 있는동안 주인이 달려가자 그제야 반기며 숨을 거두었다고 합니다. 사람들은 동물도 흡사 사람과 비슷한 감정을 가졌다고 합니다.

반려견을 끝까지 기른 사람들은 한결같이 이렇게 말합니다. "내가 반려견을 기른것에 반하여 반려견은 훨씬 더 많은것을 우리에게 안겨다 주었습니다. 그것은 사랑입니다. 내가 사랑한것 보다 훨씬더 많이 나를 사랑합니다. 오히려 미물에게 사랑을 배웁니다".

미국에서 반려견을 키우던 부부가 반려견이 깊은 암에서 나을 기미가 보이지 않자 안락사 시키기로 작정하고 그의 다섯살된 아들과 함께 동물병원을 찾았습니다. 몇십분간의 반려견의 마지막을 아들과 지켜보던 부부는 "개들은 왜 오래살지 못하고 수명이 짧을까"? 하고 이야기를 하자 어린 아들이 불쑥 이렇게 대답했습니다.

"난 개들이 수명이 왜 짧은지 저는 다 알고 있어요 사람들은 어떻게 하면 착하게 살 수 있는지 배우려고 태어나는 거어요 어떻게 하면 항상 다른 사람들을 사랑하고 친절하게 대할 수 있는지를 배우려고요 그렇죠? 근대 개들은 원래 다 알고 있더든요 그래서 사람들처럼 오랫동안 있을 필요가 없는거예요" -대형 가족견 이야기 중에서 일부 인용 편집-

반려견들은 처지가 어덯게 살던 항상 행복하고 착하게 살고있습니다. 사람들은 반려견보다 훨씬 오래 살면서 착하고 행복하게 살려고 하지 않는것 같습니다. 어쩜 끝까지 만족하지 못하고 채우려다 삶을 마치는 것인지도 모릅니다.

-스토리 메이커 박성목-

The commission of the companion dog.

The person raising he says the companion dog exceeded 10.000.000 But the person looking to the end after the final of the companion dog raised he says together writes more.

"

I left the last scene of the companion dog which the numerous people cultivated in the writing that it is the people parting company with the companion dog in 1 sns as a comment.

",

When an owner left the office and any kind of companion dog growing older was having a meal on the table, after looking obviously at the long time after visiting the socks 1 one of a pair lost where and placing on a knee, he says he gathered a retching the twice and breath.

When an owner ran while the companion dog which is caught by the disease where it is difficult to repair was getting a treatment to the hospital, then he welcomed only then and he says he died. The animal he says the people had the emotion which is similar to the person as if.

The people raising the companion dog to the end tell constantly in this way. I raised the companion dog, I was in a state of lull and the companion dog gave many things to us much more. That is love. You love me than one which I love much more much. Rather I learn the love from a trifle.

When the liver spot that couple cultivating the companion dog in US is better in the cancer which the companion dog is deep was not seen, then I found the animal hospital with the son who decided to euthanize and becomes with his 5 years old. Son and watching couple is "why can\t i live long the dogs and is it short-lived?" ? When doing and telling, then the young son answered suddenly in this way.

"

I am trying to learn whether the dogs can love one in which the life is born so that I can learn whether why I know all whether it is short, how the people can buy kindly the other person how and I can deal kindly, or not am i like that? Anyway, the some person editing among-large family silk story so the dogs dont have the need that there is like the people for a long time originally I knew all-

",

"

The companion dogs are living kindly I am always happy. I live long more than the companion dog and the people are not trying to buy nicely and happily. Possibly I dont know to I cannot+be planning to be to the end satisfied and fill, but finishes the life.

",

The story maker seongmok park

10월 11일 오늘의 꽃

10월 11일 오늘의 꽃

10월 11일 오늘의 꽃

이 름 : 부처꽃(Lythrum)

학 명 : Lythrum anceps

과 명 : 부처꽃과

분 포 : 한국, 일본

서 식 : 냇가, 초원 등의 습지

크 기 : 높이 약 1m

개 화 : 5∼8월

꽃 말 : 사랑의 슬픔(sadness of love)

천굴채(千屈菜)라고도 한다. 냇가, 초원 등의 습지에서 자란다. 높이 1m 정도로서 곧게 자라며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잎은 마주나고 바소꼴이며 대가 거의 없고 원줄기와 더불어 털, 잎자루도 거의 없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5∼8월에 홍자색으로 피며 잎겨드랑이에 3∼5개가 달려 층층이 달린 것같이 보인다.

포는 보통 옆으로 퍼지며 밑부분이 좁고 바소꼴 또는 달걀 모양의 긴 타원형이다. 꽃받침은 선이 있는 원주형으로 윗부분이 6개로 얕게 갈라진다. 꽃받침조각과 화관은 6개씩이고 꽃받침조각 사이에 옆으로 퍼진 부속체가 있다. 수술은 12개인데 긴 것, 짧은 것, 중간 것 등 3종류이다.

열매는 삭과(蒴果)로 꽃받침통 안에 들어 있고 성숙하면 2개로 쪼개져 종자가 나온다. 한방에서는 전초를 방광염 ·이뇨 ·지사제(止瀉劑) 등으로 사용한다. 한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10월 10일 오늘의 꽃

10월 10일 오늘의 꽃

10월 10일 오늘의 꽃

이 름 : 멜론(Melon)

학 명 : Cucumis melo

과 명 : 박과

분 포 : 중앙 아시아 및 인도 원산으로 추정

서 식 : 식용 재배

크 기 : 줄기길이 5∼10m

개 화 : 초여름

꽃 말 : 포식(satiation)

북아프리카·중앙 아시아 및 인도 등을 원산지로 보고 있으나 중동에도 야생형을 재배하고 있기 때문에 단정하기 어렵다. 잎은 어긋나고 자루가 길며 3∼7개로 갈라진 손바닥모양의 잎이고 덩굴손이 잎과 마주난다. 꽃은 잡성 1가화(一家花)이고 수꽃·암꽃 및 양성화(兩性花)가 있다. 전체에 거센 털이 있다. 열매는 둥글고 과육은 백색·담녹색 및 황등색 등이다. 냉동해서 생식하거나 아이스크림·주스 등에도 이용한다.

① 네트멜론(netted melon) : 열매의 겉이 그물처럼 갈라져 있다.

② 캔털루프(cantaloupe) : 열매의 겉에 그물눈이 생기지 않고 혹 모양의 돌기가 있으며 세로홈이 있다.

③ 겨울멜론(winter melon) : 열매의 겉이 밋밋하거나 세로줄이 있는 것이라도 돌기나 그물눈이 없다.

④ 머스크멜론(musk melon) : 향기가 강한 네트멜론과 캔털루프에 붙인 이름이며, 강한 향기를 사향(麝香:musk)에 비유한 것이다.

⑤ 참외 : 인도에서 중국을 거쳐 들어온 것이며 겨울멜론형에 속한다. 온실재배도 하고 있다.

10월 9일 오늘의 꽃

10월 9일 오늘의 꽃

10월 9일 오늘의 꽃

이 름 : 회향(Fennel)

학 명 : Foeniculum vulgare

과 명 : 미나리과

분 포 : 지중해 연안 원산

서 식 : 식용 및 약용 재배

크 기 : 높이 1.5∼2m

개 화 : 초여름

꽃 말 : 극찬(high compliment)

"

지중해 연안이 원산지이다. 속명인 페니쿨룸(Foeniculum)은 건초를 뜻하는 라틴어 페눔(foenum)에서 왔는데, 이는 펜넬의 특유한 건초 냄새에서 출발한 이름이다. 높이 1.5∼2m이다. 줄기는 곧게 자라며 속은 비어 있다. 잎은 긴 칼집 모양으로 끝이 뾰족하며 깃털처럼 3∼4갈래로 가늘게 갈라져 있다.

",

초여름이 되면 가지 끝에 노란색의 작은 꽃이 우산 모양의 꽃차례를 이루며 핀다. 꽃에는 노란색 꽃가루주머니가 달려 있고 수꽃술은 안으로 조금 말려서 길게 자란다. 암술대는 2개로 매우 작으며 자라면서 뒤로 굽는다. 열매는 분열과이며 달콤한 맛과 향기가 난다.

그리스신화에는 프로메테우스가 신에게 불을 훔칠 때 속이 빈 펜넬의 줄기에 숨겨서 인간에게 가져다주었다는 내용이 있다. 고대 로마에서는 강정·장수를 위해서는 물론 시력을 높이려고 펜넬을 재배했다는 기록이 있다. 또 영국에서는 펜넬 다발을 걸어두면 나쁜 귀신이 침범하지 못한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오늘날에는 각종 여성병의 치료에 효과가 높다. 차를 마시면 갱년기 증상이 줄어들고 산모의 모유량이 많아진다. 또 식욕을 돋우고 소화가 잘되게 하며 스트레스 해소와 숙면에도 효과가 있다. 이뇨작용도 있어 체중감량과 비만 방지를 위해 이용되기 때문에 다이어트 허브라고도 불린다.

포도주·피클·빵·소스·카레 등의 부향제로도 인기가 있으며, 생선의 비린내, 육류의 느끼함과 누린내를 없애고 맛을 돋운다. 이밖에도 화장품의 부향제로도 사용된다.

10월 8일 오늘의 꽃

10월 8일 오늘의 꽃

10월 8일 오늘의 꽃

이 름 : 파슬리(Parsley)

학 명 : Petroselinum crispum

과 명 : 미나리과

분 포 : 유럽 남동부와 아프리카 북부 원산

서 식 : 식용 재배

크 기 : 높이 20∼50cm

개 화 : 파종 시기에 따라 다름

꽃 말 : 승리(victory)

유럽 남동부와 아프리카 북부 원산이다. 높이 20∼50cm이다. 세로줄이 있고 털이 없으며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3장의 작은잎이 나온 겹잎이고 짙은 녹색으로서 윤기가 나며 갈래조각은 다시 깊게 갈라진다.

원예품종은 매우 우굴쭈굴하다. 2년 만에 꽃줄기가 자라고 노란빛을 띤 녹색의 작은 꽃이 산형꽃차례로 달린다. 따뜻한 곳에서는 3월 중순에 파종하여 6월에 정식하고 11∼3월에 수확한다.

포기 전체에 키니네의 대용품으로 사용하는 아피올이 들어 있어 독특한 향기가 나므로 요리·수프·소스·샐러드·튀김에 쓴다. 뿌리가 당근처럼 자라는 근용(根用) 파슬리도 있다. 고대 그리스와 로마인들은 향미료 외에 화환에도 사용하였으며, 이것을 먹으면 식중독을 예방한다고 믿었다.

서양요리에서는 뺄 수 없는 채소로서 가지를 그대로 쓰거나 기름에 튀겨서 쓰며, 잘게 썰어서 요리에 뿌리기도 한다. 비타민A와 C, 칼슘과 철분도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