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3월 26일 화요일

정몽주 1편

■ 정몽주 1편

■ 정몽주 1편

"

이런들 어떠하리 저런들 어떠하리

",

만수산 드렁칡이 얽혀진들 어떠하리

"

우리도 이같이 얽혀 천년만년 누려보세 《하여가》

",

"

이 몸이 죽고 죽어 일백 번 고쳐 죽어

",

백골이 진토 되어 넋이라도 있고 없고

"

님 향한 일편단심 가실 줄이 있으랴 《단심가》

",

새 왕조 개창에 끝까지 반대하며 버티던 정몽주를 구슬리기 위해 이방원이 정몽주와 마주 앉아 술 한 잔을 나누며 《하여가》를 읊자, 정몽주가 《단심가》를 읊었다고 하는 일화는 누구나 다 알고 있는 이야기일 것이다. 하지만 당시 정몽주는 57세이고 이방원은 25세인데, 30살 넘게 나이 차가 나는 두 사람이 서로 마주 앉아 저런 시조를 주거니 받거니 했다는 것은 사실여부가 의문이다.

"

야사에서 보면 정몽주가 이방원 앞에서 단심가를 읊고 죽임을 당할 줄 미리 알고, 선죽교를 지나기 직전 주막에서 쉬다가 다시 말에 오르면서 말을 거꾸로 말을 탔다고 한다. 이런 야사와 함께 이 시조들도 정몽주가 죽은 후에 후세 사람들이 만들어 낸 것은 아닐까. ‘고려사’ 등 공식 역사서에는 이 시조들이 나오지 않고, 청구영언이라는 시조 모음집이나 정몽주가 죽은 뒤에 나온 포은집에만 나온다.

",

정몽주는 고려를 개혁하여 유교국가로 만들어 가는 데는 정도전과 같은 생각을 하고 있었으나, 고려를 멸하고 새로운 나라를 건설하는 데는 반대했다. 즉 정몽주는 고려 왕조를 유지하는 범위 안에서 천천히 개혁을 해 나가고자 한 온건파 사대부이고, 정도전은 고려 왕조를 무너뜨리고 새로운 왕조를 세워야 한다는 혁명파(급진파) 사대부였다.

정도전은 정몽주를 이색 문하에서 같이 동문수학 한 존경하는 친구이자 선배로 깍듯이 대우하고 있었고, 두 사람은 서로 존경하고 의지하는 처지였다. 정도전과 이성계는 어떻게 해서든지 정몽주를 설득하여 함께 가고 싶었고, 조선 건국이 조금 늦어지더라도 백성들의 존경을 받고 있는 정몽주 등 온건파 사대부들을 설득하려 하였다.

-2편에 계속

"

♣ 제공 : KIMSEM의 역사로 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