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3월 19일 화요일

섣달그믐 세시풍속 3편

■ 섣달그믐 세시풍속 3편

■ 섣달그믐 세시풍속 3편

섣달은 ‘남의 달’이라 하여 한 해를 조용하게 마무리한다. 섣달그믐은 한 해를 결산하는 마지막 날이므로 밀린 빚이 있으면 이날 안에 갚고, 그러지 못하면 정월대보름 이전에는 빚 독촉을 하지 않는다. 섣달에는 매사를 정리하고 큰 물건을 함부로 사지 않으며, 솥을 사면 거름에 엎어두었다가 그믐날에 부엌 아궁이에 걸면 탈이 없다고 했다.

“섣달그믐이면 나갔던 빗자루도 집 찾아온다.” 또는 “숟가락 하나라도 남의 집에서 설을 지내면 서러워서 운다.” 라는 말이 있다. 가는 해의 마지막 마무리를 잘하고, 빌렸던 남의 물건도 모두 돌려주고 돈도 꾸지 않으며 혼인도 하지 않고, 연장도 빌려주지 않는다. 이날 잠을 자지 않고 집안 청소를 깨끗이 하여 새해 맞을 준비를 하면서 제야(除夜)의 종소리를 듣는 것은 한 해를 잘 마무리하고 경건하게 새해를 맞이하고자 하는 것으로, 미래에 대한 희망과 불안이 교차하기 때문이다. ‘섣달 그믐날 개밥 퍼 주듯’이란 재미있는 속담이 있다. 이는 시집을 가지 못하고 해를 넘기게 된 처녀가 홧김에 개밥을 퍽퍽 퍼주는 것처럼 무엇이든 풍족하게 팍팍 나누어 준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한 해의 마지막 밤인 섣달 그믐밤이 되면 집에서는 저녁밥을 남기지 않고 말끔히 먹으며, 바느질하던 것도 끝내어 해를 넘기지 않는다. 경남지방에서는 이날 밤에 맨발로 땅을 밟으면 무좀이 생긴다하여 반드시 버선과 신을 신은 다음 땅을 밟는다고도 하고, 함경도에서는 도깨비가 잘 나오는 터가 센 집에서는 이날 밤에 도깨비가 좋아하는 메밀 범벅을 잘게 만들어 흩어주는 곳도 있었다고 한다. 전북 지역에서는 섣달에 문종이를 많이 바르며, 정초에 창호지가 찢어지면 정월대보름이 지나서야 바른다고 한다. 또 섣달그믐날 밤에는 ‘비우자리’라 하여 발바닥이 하얗게 되는 증상이 일어난다고 해서 양말을 신고 잤다고 한다. 충청도 지역에서는 섣달그믐날 어둡기 전에 미리 빨랫줄을 거두는데, 그 이유는 조상이 들어오다가 목에 걸린다고 하여 치우는 것이라 한다.

중국에서는 이날 오후에 사년(辭年)이라 하여 어린이들이 어른에게 예를 표하고 폭죽을 터뜨린다. 저녁에는 가족들이 연야반(年夜飯)을 먹고 수세주(守歲酒)를 마신다. 부뚜막에 불을 켜두고 집안 청소를 하며 그림을 문에 새로 걸고 조상에게 제사를 지낸다. 또 도화분(跳火盆)이라 하여 그릇에 짚불을 피워놓고 뛰어넘는데 새로운 해에 액운을 건너게 해달라는 뜻이다.

우리나라의 사찰에서는 제야의 종을 108번 치는데 일본에서도 종을 108번 울린다. 요즘에는 양력 12월 31일 밤 자정을 기해 서울 보신각(普信閣)에서 33번의 제야의 종을 치는데, 섣달그믐의 수세풍속이 현대에 와서는 음력이 아닌 양력으로 지속되고 있는 셈이다. 33번은 108번을 줄여서 치는 것으로 불교의 33천(天)에서 유래한 것이다. 이 종소리를 듣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몰려들어, 한 해를 보내고 새로운 한 해를 희망으로 맞이하는 송구영신(送舊迎新)의 해갈이 통과의식이 있다.

"

♣ 제공 : KIMSEM의 역사로 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