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자지교 담여수君子之交 淡如水 - 군자의 사귐은 담담하기가 물과 같다.
군자지교 담여수(君子之交 淡如水) - 군자의 사귐은 담담하기가 물과 같다.
임금 군(口/4) 아들 자(子/0) 갈 지(丿/3) 사귈 교(亠/4) 맑을 담(氵/8) 같을 여(女/3) 물 수(水/0)
\xa0
사람과의 사귐을 말하는 交際(교제)는 남녀 간이면 사랑을, 사업상이면 이익을 위한 것이라 그 목적이 뚜렷하다. 친구간의 友情(우정)은 오랜 기간 상대를 위하고 희생을 감수해야 더 빛나는 관계가 되는 성어가 많다. 보통 사람은 아무래도 손익을 따져볼 수밖에 없다.
\xa0
孔子(공자)님도 益者三友(익자삼우)라 하여 정직한 사람, 성실한 사람, 견문이 많은 사람과 사귀는 것이 좋다고 했다. 또 남과 사이좋게 지내도 무턱대고 어울리지는 않아야 한다는 和而不同(화이부동)과 끼리끼리 모여 분란을 일으키지 말라는 群而不黨(군이부당) 등의 좋은 가르침을 남겼다.
\xa0
모두의 스승인 공자에게 조언하는 사람이 있다. 子桑雽(자상호, 雽는 성씨 호)라 불리는 은둔자다. 물론 가상의 인물인데 寓言(우언)으로 비유하여 통쾌하게 핵심을 찌르는 ‘莊子(장자)‘에 나온다. 자상호에게 공자가 찾아와 魯(노)나라에서 두 번이나 쫓겨났고, 陳蔡(진채) 국경에선 포위당하는 등 여러 재앙이 닥쳐 지인들과는 소원해졌고 제자들은 흩어졌는데 왜 그런지 물었다.
\xa0
여기서 ’군자의 교제(君子之交)는 물같이 담백하다(淡如水)‘며 설명하는 것이 山木(산목)편에 나온다. 세상일에 대하여 마음을 비우고 자기를 버려야 험난한 사회서 잘 살아갈 수 있다는 교훈적인 예화를 담은 곳이다.
\xa0
자상호의 설명을 들어보자. ‘대체로 이익을 매개로 맺어진 관계는 어려움이 닥치거나 재앙을 만나면 서로 버립니다(夫以利合者 迫窮禍患害相棄也/ 부이리합자 박궁화환해상기야), 하늘이 맺어준 관계는 어려울 때 서로 보살피지요(以天屬者 迫窮禍患害相收也/ 이천속자 박궁화환해상수야).’
\xa0
그러면서 ‘군자의 사귐은 물처럼 싱겁고(君子之交淡若水/ 군자지교담약수), 소인의 사귐은 단술처럼 달콤합니다(小人之交甘若醴/ 소인지교감약례)’고 했다. 醴는 단술 례. 무심한 듯 담백한 교제가 오래 가며, 이익이 개재된 달콤한 사귐은 오래 가지 못하고 끊어지게 된다는 이야기다.
장자가 곳곳에 유교를 풍자한 것 중의 하나라도 군자와 소인의 사귐을 구별한 것은 옳다. 이 말은 明心寶鑑(명심보감)에도 인용됐다. 交友(교우)편에 이익만 앞세우지 말고 오래 겪어봐야 한다는 명언이 많은데 두 가지만 더 인용한다.
\xa0
‘길이 멀어야 말의 힘을 알 수 있고, 세월이 흘러야 사람 마음을 알 수 있다(路遙知馬力 日久見人心/ 노요지마력 일구견인심)’, ‘술자리서 형 동생 하는 친구는 많으나, 위급할 때 도움을 줄 친구는 없다(酒食兄弟千個有 急難之朋一個無/ 주식형제천개유 급난지붕일개무).’ 旬五志(순오지)의 속담도 있다. ‘그릇은 새것이 좋고, 사람은 옛 친구가 좋다(器非求新 人惟求舊/ 기비구신 인유구구).’/ 제공 : 안병화(前언론인, 한국어문한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