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3월 14일 목요일

재작풍부再作馮婦 - 다시 나서는 풍부, 그만 두겠다고 한 일을 다시하다.

재작풍부再作馮婦 - 다시 나서는 풍부, 그만 두겠다고 한 일을 다시하다.

재작풍부(再作馮婦) - 다시 나서는 풍부, 그만 두겠다고 한 일을 다시하다.

두 재(冂/4) 지을 작(亻/5) 성 풍(馬/2) 며느리 부(女/8)

성씨의 하나인 馮(풍)은 우리나라에선 희성이지만 중국선 제법 많다. 口禍之門(구화지문)의 舌詩(설시)를 남긴 馮道(풍도)나 東周列國志(동주열국지)를 쓴 馮夢龍(풍몽룡)이 유명하다. 馮婦(풍부)도 사람 이름이다. 하지만 여자가 아니고 晉(진)나라의 장수로 호랑이를 맨손으로 잡았다는 사람이다.

다시 일을 시작한(再作) 풍부(馮婦)라는 성어는 무슨 말인지 뜬금없어도 고사를 알면 뜻이 떠오른다. 용감한 풍부가 여러 사람을 해치는 호랑이를 때려잡아 명성을 떨치다 위험한 일을 그만 두겠다고 선언했다. 하지만 다른 사람의 요청으로 다시 호랑이 잡이에 나섰다. 중지한 일을 다시 한다고 ‘孟子(맹자)’에서는 좋게 평가하지 않았다.

盡心(진심) 하편에 나오는 春秋時代(춘추시대) 사람 풍부의 이야기를 보자. ‘진나라에 풍부라는 사람은 맨손으로 범을 잘 때려잡았는데 나중에 착한 선비가 되었다(晉人有馮婦者 善搏虎 卒爲善士/ 진인유풍부자 선박호 졸위선사).‘ 어느 날 그가 들에 나갔을 때 여러 사람들이 범을 쫓고 있었는데 산모퉁이를 등진 채 노려보는 맹수를 아무도 가까이 하지 못했다.

어떤 사람이 들에 나온 풍부를 보고 달려가 그에게 도움을 청했다. ’풍부가 팔을 휘두르면서 수레에서 내리자 사람들은 열광했지만 선비들은 그를 비웃었다(馮婦攘臂下車 衆皆悅之 其爲士者笑之/ 풍부양비하거 중개열지 기위사자소지).‘

여러 사람을 위해 나선 풍부를 맹자는 좋지 않은 일에 비유하는데 등장시켰다. 맹자는 齊(제)나라에서 왕도정치를 실현하기 위해 왕을 설득한 적이 있었다. 나라에 큰 기근이 들었을 때 비축한 양곡을 풀도록 건의했는데 제나라 왕이 마지못해 한 번 시행한 뒤 그만 뒀다.

맹자는 이런 왕에게 실망하고 등용되기를 포기했다. 다시 기근이 들자 맹자가 왕에게 또 곡식을 풀도록 건의할 것이라는 소문이 돌았다. 제자가 전하자 맹자가 말했다. ‘또 그렇게 한다면 풍부 같은 사람이 된다(是爲馮婦也/ 시위풍부야).’

맹자는 여러 사람이 원한다고 해서 살생을 않겠다고 공언했다가 번복한 풍부에 빗대 다시 제나라 왕을 위해 일을 한다면 세상의 웃음거리가 될 것이라 했다. 여러 사람을 위한 일이라도 때를 맞춰 알맞게 도를 행해야 한다는 자신의 뜻을 나타낸 것이다.

옳은 일이라도 말을 거두고 식언한다면 잘한 일이라 칭찬받지 못한다. 식언을 거듭하는 지도자를 흔히 보는 우리 국민들은 풍부를 오히려 응원하게 된다. 여러 사람을 위한 것이 아니라 자신의 이익을 위해 朝變夕改(조변석개)하기 때문이다. / 제공 : 안병화(검언론인, 한국어문한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