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3월 1일 금요일

제하분주濟河焚舟 – 강을 건넌 뒤 배를 불사르다.

제하분주濟河焚舟 – 강을 건넌 뒤 배를 불사르다.

제하분주(濟河焚舟) – 강을 건넌 뒤 배를 불사르다.

건널 제(氵/14) 물 하(氵/5) 불사를 분(火/8) 배 주(舟/0)

막다른 곳에 몰렸을 때 한 곳을 뚫지 않으면 몰살한다. 죽을 각오로 임하지 않으면 살아남지 못한다. 이럴 때 비장한 결심을 나타내는 성어는 여럿이다. 강을 등지고 적과 결전하는 韓信(한신)의 背水之陣(배수지진), 솥을 깨뜨리고 배를 가라앉히는 項羽(항우)의 破釜沈舟(파부침주)가 가장 잘 알려졌다. 이외에도 背城借一(배성차일)이나 捨量沈船(사량침선)도 있다. 강을 건넌 다음에 다리를 부숴버린다는 過河折橋(과하절교)는 전혀 뜻이 다르니 주의해야 한다. 다리를 잘 건너고는 그 고마움을 잊고 부순 목재를 훔쳐가니 더 이상의 이기주의가 없다.

황하를 건넌 뒤(濟河) 배를 불사른다는(焚舟) 이 성어도 전장에서 살아 돌아가기를 기약하지 않는 굳은 의지를 나타낸다. 앞의 유사한 성어보다 훨씬 먼저 ‘春秋左氏傳(춘추좌씨전)’에 등장했다. 文公(문공) 3년 조에 秦穆公(진목공)이 晉(진)나라 정벌에 나선 기사에 나온다. ‘진백이 진나라를 쳤다. 황하를 건너자 타고 간 배를 불에 태우고 진나라 땅 王官(왕관)과 郊(교)를 빼앗았다. 그러나 진나라 군대는 성 밖으로 나오지 않고 지키기만 했다(秦伯伐晉 濟河焚舟 取王官及郊 晉人不出/ 진백벌진 제하분주 취왕관급교 진인불출).’

간단한 이 이야기를 ‘東周列國志(동주열국지)’에는 살을 붙인다. 진나라에 잇따라 패배한 秦(진)의 장군 孟明(맹명)은 문책하지 않는 목공을 위해 또 복수를 위해 군사를 조련했다. 길일을 잡아 군대를 일으킨 진군이 ‘황하를 건너자 맹명은 타고 온 배를 모두 불사르게 했다(既渡黃河 孟明出令 使盡焚其舟/ 기도황하 맹명출령 사진분기주)’. 필사의 각오로 나선 맹명의 군대에 진나라는 성을 굳게 지키기만 했다. 할 수 없이 이전 전투에서 패했을 때 전사한 유골을 수습해 귀국했다. 백성들은 목공이 소복을 입고 친히 지낸 위령제에 모두들 감동했다.

임진왜란때 의병을 일으킨 鄭經世(정경세, 1563~1633)는 금주를 위해 이 말을 사용해 흥미롭다. 누룩이나 술잔을 집안에 두지 않기를 ‘솥단지를 깨고 막사를 불태우며, 강을 건넌 뒤 배를 불태우는 것과 같이 한다고 했다. 술을 끊는데도 이와 같이 선언을 하는데 인생을 살아가면서 큰일에 부딪칠 때는 비장한 각오를 않을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