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3월 18일 월요일

차호위호借虎威狐 - 호랑이의 위세를 빌린 여우, 남의 힘에 의지하여 위세를 부림

차호위호借虎威狐 - 호랑이의 위세를 빌린 여우, 남의 힘에 의지하여 위세를 부림

차호위호(借虎威狐) - 호랑이의 위세를 빌린 여우, 남의 힘에 의지하여 위세를 부림

\xa0

빌릴 차(亻/8) 범 호(虍/2) 위엄 위(女/6) 여우 호(犭/5)

\xa0

호랑이는 百獸(백수)의 왕이라 하듯이 사납고 용맹스런 짐승의 대표다. 여우는 교활하고 남을 속이는 것이 특기다. 이런 이미지를 가진 호랑이와 여우를 한꺼번에 나타낸 속담이 있다. 갈수록 더 힘든 일을 당할 때 ‘여우를 피해서 호랑이를 만났다’고 한다.

\xa0

뛰어난 사람이 없는 곳에서 보잘것없는 사람이 설칠 때에는 ‘호랑이 없는 산골에는 여우가 선생질을 한다’, ‘호랑이 없는 골에 토끼가 왕 노릇 한다’고 한다. 이런 말들은 서로 맞부딪치지는 않지만 꾀 많은 여우가 호랑이를 바로 등 뒤에 두고 그 위세로 뭇 짐승에 거들먹거린다는 狐假虎威(호가호위)는 유명하다.

\xa0

이와 똑 같은 말로 ‘범탈을 쓴 여우’, 호랑이의 위세를 빌린 여우란 뜻의 이 성어는 출전도 ‘戰國策(전국책)’으로 동일하다. 중국 前漢(전한)시대 학자 劉向(유향)이 여러 제후국 전략가들의 전략을 모은 책인데 戰國時代(전국시대)라는 이름을 낳게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xa0

남방의 楚(초)나라에 宣王(선왕이 다스리고 있을 때 昭奚恤(소해휼, 奚는 어찌 해, 恤은 불쌍할 휼)이라는 재상이 보좌하고 있었다. 그는 백성들의 신망을 받고 있어 이웃 韓(한), 魏(위), 趙(조) 등 나라들은 한결같이 두려워했다.

\xa0

그 무렵 위나라 출신의 재담가 江乙(강을)이라는 사람이 호시탐탐 조정의 자리를 노렸으나 소해휼의 틈바구니에서 비집고 들어갈 틈이 없었다. 어느 때 기회가 왔다. 선왕이 북쪽의 여러 나라들이 모두 소해휼을 무서워한다고 하는데 무슨 연유인지 물었을 때 아무 신하도 답을 못했다.

\xa0

강을이 나와 우화를 들려줬다. 여우가 호랑이에 잡혔을 때 천제가 자신을 산중의 왕으로 정했으니 잡아먹어서는 안 된다며 못 믿겠으면 뒤를 따르라고 했다. ‘짐승들이 보고 달아나기 바빴는데 호랑이는 자기를 무서워해서 도망치는 줄 모르고 여우를 두려워한다고 생각했습니다(獸見之皆走 虎不知獸畏己而走也 以爲畏狐也/ 수견지개주 호부지수외기이주야 이위외호야).’ 강을은 왕의 군사를 두려워하는 것이지 소해휼이 무서워서가 아니라고 깎아내렸다.

\xa0

작은 단체에서나 국가나 주도권을 잡기 위한 경쟁이 있게 마련이다. 정당하게 세력이 바뀌면 승복해야 한다. 하지만 상대방에 온갖 이유를 대면서 공격하다가 자신들이 잡으면 돌변한다. 자신들은 이전에 욕한 수법을 따라 하듯이 되풀이한다. 아니 영원히 권력을 누릴 듯이 위세를 업고 더 거들먹거린다. 그래봤자 자신이 여우인줄 모른다./ 제공 : 안병화(전언론인, 한국어문한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