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3월 20일 수요일

가슬추연加膝墜淵 - 무릎 위에 올리다가 못에 밀어 넣다, 기분에 따라 사람을 대하다.

가슬추연加膝墜淵 - 무릎 위에 올리다가 못에 밀어 넣다, 기분에 따라 사람을 대하다.

가슬추연(加膝墜淵) - 무릎 위에 올리다가 못에 밀어 넣다, 기분에 따라 사람을 대하다.

\xa0

더할 가(力/3) 무릎 슬(肉/11) 떨어질 추(土/12) 못 연(氵/9)

\xa0

조금이라도 이익이 있으면 이편에 붙었다 저편에 붙었다 할 때 지조가 없다고 욕한다. 이렇게 손가락질하기는 쉽지만 함부로 욕하기는 어렵다. 속담 ‘간에 가 붙고 쓸개에 가 붙는다’는 속담대로 약자의 어쩔 수 없는 선택일 때가 많기 때문이다. 한역하여 附肝附膽(부간부담)이라 한다.

\xa0

개인 아니라 나라라도 힘이 없으면 朝秦暮楚(조진모초)라 하여 아침에는 강국 秦(진)나라를, 저녁에는 楚(초)나라를 섬길 수밖에 다른 도리가 없다. 그런데 힘을 가진 강자 쪽에서 이랬다 저랬다 한다면 신망을 잃고 앞날을 망친다. 처음에는 사랑스럽다고 무릎에 올리다가(加膝) 미워지면 못에 밀어 넣는다(墜淵)는 성어가 그것을 말한다.

\xa0

중국 유교 五經(오경)의 하나인 ’禮記(예기)‘는 의례의 해설을 주로 담고 있다. 檀弓(단궁)편에 상례에 관한 내용 중에 성어가 나온다. 春秋時代(춘추시대) 魯(노)나라 穆公(목공)이 쫓겨난 신하가 옛 왕의 장례에 복을 입는 것에 대해 묻자 孔子(공자)의 손자인 子思(자사)가 답한다.

\xa0

’사람을 등용할 때는 무릎 위에 올려놓을 듯이 하고(進人若將加諸膝/ 진인약장가제슬), 물리칠 때는 연못에 빠뜨릴 듯이 한다(退人若將墜諸淵/ 퇴인약장추제연).‘ 변덕이 죽 끓듯 한 임금의 미움을 받고 쫓겨난 신하가 변란의 수괴가 되기도 하는데 잊지 않고 찾아 예를 차리는 것은 권장할 일이란 것이다.

\xa0

예쁠 때는 무릎 위에 올릴 듯하다가, 미울 때는 연못에 밀어 넣듯 내친다는 윗사람의 변덕은 우리 고전에도 다수 등장한다. 朴趾源(박지원)은 도와 줄 때와 거절했을 때 고과가 천지 차이로 나게 주던 감사의 행동을 淵膝(연슬)이라고 燕巖集(연암집)에서 표현했다.

\xa0

宋時烈(송시열)이 쓴 鄭澈(정철)의 비명에 ‘끊임없는 뭇 참소에 임금의 마음 금방 달라져(群言營營 聖心俄遷/ 군언영영 성심아천), 아침에 신임하다가 저녁에 떨어뜨리네(朝焉加膝 夕已墜淵/ 조언가슬 석이추연)’란 부분이 나온다. 金尙憲(김상헌)이 쓴 成渾(성혼)의 비명에는 ‘무릎 위에 올려놓다 못에 빠뜨림은 예전부터 현인들이 탄식한 바네(加膝墜淵 昔賢所嘆/ 가슬추연 석현소탄)’라고 썼다.

\xa0

먹다 남은 복숭아를 임금에게 바쳤다는 餘桃啗君(여도담군, 啗은 먹일 담)이란 성어도 비슷하다. 예뻐할 때는 무례도 귀여워했다가 식으면 사소한 것도 죄를 물어 처벌했다는 고사다. 사람의 감정은 수시로 변하고 행동에 따라 愛憎(애증)이 바뀔 수는 있다. 하지만 높은 자리에 있는 상사가 아랫사람을 들이고 내칠 때는 엄격해야 조화롭게 조직이 돌아간다.

\xa0

근거와 절차를 무시하다간 불만이 팽배하여 그 조직이 오래 가지 못할 것은 뻔하다.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총애하는 부하가 비리를 저질러도 내치지 않고 끝까지 감싼다면 원칙이 무너질 수밖에 없다. / 제공 : 안병화(전언론인, 한국어문한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