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3월 28일 목요일

피실취허避實就虛 - 적의 주력을 피하고 약한 곳을 공격하다, 실질을 버리고 공론만 일삼다.

피실취허避實就虛 - 적의 주력을 피하고 약한 곳을 공격하다, 실질을 버리고 공론만 일삼다.

피실취허(避實就虛) - 적의 주력을 피하고 약한 곳을 공격하다, 실질을 버리고 공론만 일삼다.

피할 피(辶/13) 열매 실(宀/11) 나아갈 취(尢/9) 빌 허(虍/6)

\xa0

경쟁자와 다투거나 적과 싸울 때 양측이 완벽하기는 어렵고 틈이 있기 마련이다. 상대가 강한데 제 실력은 감안하지 않고 무조건 덤비면 범 무서운 줄 모르는 하룻강아지 꼴이 된다. 반면 덩치만 믿고 적을 깔보다간 다윗(David)의 돌팔매에 당한 골리앗(Goliath) 신세를 못 면한다.

\xa0

중국 春秋戰國時代(춘추전국시대)의 전략가 孫子(손자)의 병법은 전장을 넘어 인생의 가르침이 되고 국가경영의 중요한 지침을 주는 책이라 평가된다. 여기 나오는 잘 알려진 말이 知彼知己(지피지기)와 함께 虛虛實實(허허실실)이다. 어느 것이나 상대의 실력을 잘 분석하고 대비하면 그르치지 않는다는 교훈이다.

\xa0

쌍방의 약점과 장점을 잘 이용하여 허를 찌르고 실을 꾀하는 계책은 ‘孫子兵法(손자병법)’의 가장 핵심인 6편 虛實(허실)편에 나온다. 대치한 병력의 상대적 집중과 분산을 잘 파악하여 적군의 충실한 부분을 피하고(避實) 허약한 면을 이용하여 공격하면(就虛) 항상 이길 수 있다고 설명한다. 부분을 보자.

\xa0

군대의 형태는 물과 같은 형세를 띠어야 한다면서 이어진다. ‘물은 높은 곳을 피하고 낮은 곳을 향한다(水之行 避高而趨下/ 수지행 피고이추하), 군대의 형세도 수비가 충실한 곳을 피하고 허술한 곳을 공격해야 한다(兵之形 避實而擊虛/ 병지형 피실이격허).’ 물에 영원한 형태가 없듯이 적의 허실에 따라 대응해야 승리를 거둘 수 있다는 이야기다.

\xa0

漢高祖(한고조)의 손자이기도 한 문학 애호가 劉安(유안)이 淮南王(회남왕)으로 있으면서 많은 문사와 방사를 초빙해 백과사전격의 책을 남긴 것이 ‘淮南子(회남자)’다. 마지막 要略(요략)편에 전투에서 이기는 술수와 변화를 자유자재로 하는 책략을 밝히면서 이 성어가 등장한다.

\xa0

적군을 속이기 위하여 ‘실을 피하고 허로 나가도록 한다면, 적군을 격퇴하는 것이 마치 양떼를 뒤쫓는 것과 같다(避實就虛 若驅群羊/ 피실취허 약구군양)’고 표현했다. 허를 찌르는 擊虛(격허)가 허를 이용하여 취하는 就虛(취허)로 변했다.

\xa0

싸움터에서의 적이나 경쟁상대의 전력을 잘 살펴 취약한 부분을 집중 공격하는 것은 이기기 위해 절대 필요하다. 그러나 글자대로 문제의 실제를 떠나 허망한 것을 좇는다면 다른 문제다. 겉으로 드러나는 근사한 계획을 세운 뒤 명목만 찾다가 실질을 잃고 부작용이 드러나는데도 밀고 나가는 경우가 그렇다.

\xa0

적을 공격할 때는 탄탄한 곳을 피해야 하지만 이상만 좇는 空理空論(공리공론)은 피해만 가져온다. 개인이 세우는 계획도 물론 그렇고, 조직을 이끄는 책임자들은 더 명심해야 할 일이다. / 제공 : 안병화(언론인, 한국어문한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