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3월 17일 일요일

삼고초려三顧草廬 - 세 번이나 초옥을 찾다, 진심으로 인재를 찾다.

삼고초려三顧草廬 - 세 번이나 초옥을 찾다, 진심으로 인재를 찾다.

삼고초려(三顧草廬) - 세 번이나 초옥을 찾다, 진심으로 인재를 찾다.

\xa0

석 삼(一/2) 돌아볼 고(頁/12) 풀 초(艹/6) 농막집 려(广/16)

\xa0

중국 三國時代(삼국시대, 220년~280년) 때 蜀漢(촉한)의 劉備(유비)가 諸葛孔明(제갈공명)을 모시기 위해 세 번이나 초옥으로 찾아가 정성을 다함으로써 마침내 성공한 이야기는 너무나 유명하다. 그래서 이 성어만큼 많은 사람이 알고 있지만 또 그만큼 실천이 잘 안되는지 비판을 많이 받는 일도 드물 것이다. 갓 한자에 입문한 초심자도 흥미있는 三國志(삼국지)의 얘기와 함께 인재를 맞아들이기 위하여 참을성 있게 노력한다는 뜻까지 아는데 의아할 따름이다.

\xa0

유비는 關羽(관우), 張飛(장비)와 함께 漢室(한실) 부흥을 위해 桃園結義(도원결의)를 하고 군사를 일으켰으나 계책을 세워줄 軍師(군사)가 없어 초기 고전을 면치 못했다. 어느 날 司馬徽(사마휘, 徽는 아름다울 휘)란 은사가 伏龍(복룡)과 鳳雛(봉추, 雛는 새새끼 추) 둘 중 한 사람을 구하라고 조언했다.

\xa0

제갈량의 별명이 복룡이란 것을 알고 예를 갖춰 초옥을 찾았으나 출타하고 없었다. 두 번째도 허탕을 치자 장비, 관우의 불만을 달래고 세 번까지 찾아가 간곡히 부탁하자 제갈량이 마침내 받아들였다. 이후 赤壁大戰(적벽대전)에서 공을 세우고 魏蜀吳(위촉오)의 삼국으로 천하를 삼분하여 팽팽한 균형을 이루는데 공을 세웠다.

\xa0

정사에선 이 사실을 간단히 거론하고 넘어갔는데 유비를 이은 劉禪(유선)에게 바친 ‘出師表(출사표)’에 이 성어가 사용됐다. ‘선제께서 신을 낮고 천하다 여기시지 않고 외람되이 스스로 몸을 굽혀 신의 초옥으로 세 번이나 찾아 당세의 일을 자문하셨습니다.

\xa0

이로 인해 감격하여 선제를 위해 열심히 뛰어다닐 것을 결심했던 것입니다(先帝不以臣卑鄙 猥自枉屈 三顧臣於草廬之中 諮臣以當世之事 由是感激 遂許先帝以驅馳/ 선제불이신비비 외자왕굴 삼고신어초려지중 자신이당세지사 유시감격 수허선제이구치).’ 인재를 구하는 것이 만사라고 했다. 周公(주공)의 吐哺握髮(토포악발)과 함께 중요성을 강조하는 말은 많은데도 인사를 하는 지위에 있는 사람들은 아는 만큼 실천이 어려운 모양이다. / 제공 : 안병화(전언론인, 한국어문한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