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이유취物以類聚 - 사물이 같은 종류에 따라 모인다.
물이유취(物以類聚) - 사물이 같은 종류에 따라 모인다.
물건 물(牛/4) 써 이(人/3) 무리 류(頁/10) 모을 취(耳/8)
사람들은 끼리끼리 모여 산다. 개미나 벌 같은 곤충들은 군집생활이 필수적이지만 일반 동물들도 더 큰 동물의 위험을 막으며 살기 위해서는 집단생활이 적합하다. 사람도 혼자서는 의식주를 해결 못하기 때문에 모여 살아갈 수밖에 없다. 사회생활을 하면서 모이더라도 적대적인 사람과는 가까이 하지 않는 것이 상정이다. 자기의 편을 들어주고, 자기의 사정을 잘 아는 사람들과 끼리끼리 모인다.
이 난에 나온 적 있는 同氣相求(동기상구)이고 同病相憐(동병상련)이다. ‘과부 설움은 과부가 안다’는 兩寡分悲(양과분비)도 같은 뜻으로 사용된다. 그런데 가재는 항상 게 편을 들고, 풀도 같은 녹색이라며 草綠同色(초록동색), 같은 종류끼리만 類類相從(유유상종)한다면 좋은 소리를 못 듣는다.
사물(物以)은 같거나 비슷한 종류에 따라 모인다(類聚)는 이 말도 변화를 겪었다. 유사한 부분이 나오는 ‘周易(주역)’부터 먼저 보자. ‘만물은 같은 종류끼리 모이고 무리를 지어 나누어지니, 이로부터 길함과 흉함이 생긴다.’ 繫辭上(계사상) 편에 실려 있다. 同氣相求(동기상구)가 나오는 文言(문언)의 뒷부분은 이렇다. ‘하늘에 근본을 둔 것은 위와 친하고, 땅에 근본을 둔 것은 아래와 친하니, 이는 모두 각자가 그 비슷한 것을 좇기 때문이다.’
戰國時代(전국시대) 齊(제)나라에 淳于髡(순우곤, 髡은 머리깎을 곤)이란 대부가 있었다. 천한 신분이었지만 익살과 다변으로 유명했다. 어느 때 宣王(선왕)이 인재를 구한다는 소식을 듣고 하루 사이에 7명이나 천거했다. 선왕은 놀라 천리를 다니며 백 년을 찾아도 한 사람 찾기가 힘든데 이들이 과연 현인인지 물었다. 순우곤이 대답한다. 새는 새들과 함께 있고 짐승은 짐승들과 있는 법인데 이것이 바로 ‘물건은 각기 비슷한 부류가 있다(物各有疇/ 물각유주)’는 이야기라 했다. 그리고 자신은 같은 무리기 때문에 주위에 현인이 많다고 말했다. ‘戰國策(전국책)’ 齊策(제책)에 나온다.
모여서 자신들만의 이익을 쫓고 타인에게는 해를 끼친다면 바람직한 모임이 아니다. 고급정보를 사유화하고 조직 안의 의견만이 옳다고 똘똘 뭉쳐 고집한다면 외부에서 욕을 먹는다. 처음에는 그런 의미를 가지지 않았지만 類類相從(유유상종)을 비롯한 이 성어들은 점점 나쁜 사람들의 집합체를 가리키거나 배타적인 집단으로 부정적인 의미를 더 많이 갖게 됐다. 끼리끼리의 힘을 자기들만이 사유화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