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3월 19일 화요일

효제충신孝悌忠信 - 효도와 우애, 충성과 믿음

효제충신孝悌忠信 - 효도와 우애, 충성과 믿음

효제충신(孝悌忠信) - 효도와 우애, 충성과 믿음

\xa0

효도 효(子/4) 공손할 제(心/7) 충성 충(心/4) 믿을 신(亻/7)

\xa0

어버이에 효도하고(孝), 형제끼리 우애 있고(悌), 임금에 대한 충성(忠)과 벗 사이의 믿음(信)이란 좋은 말만 모은 것이 이 성어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선조들은 이 말을 달고 살았고, 가훈으로 이어져 온 집도 많았다.

\xa0

오늘날에도 케케묵은 것으로 치부되는 충성만 제외하고 나라를 위한 것으로 생각하면 여전히 빛을 발할 수 있는 말이다. 가정의 화목에서 친구와의 의리, 사회의 질서와 안녕을 위한 것이 포함되었으니 권장할 지침이다. 공손할 悌(제)는 형제간에 차례를 잘 지키는 마음에서 우애가 우러난다는 뜻을 가졌다.

\xa0

좋은 말이니만큼 여러 곳에서 비슷한 의미로 사용됐다. 먼저 ‘論語(논어)’ 學而(학이)편에 나온다. ‘근본이 확립되면 따라야 할 올바른 도리가 생긴다. 효도와 공경이라는 것은 바로 인을 실천하는 근본이다(本立而道生 孝弟也者 其爲仁之本與/ 본립이도생 효제야자 기위인지본여).’ 아우 弟(제)에는 공경한다는 뜻도 있다.

\xa0

管仲(관중)은 명재상답게 나라를 다스리는 네 가지 덕목인 예의염치(禮義廉恥, 예절, 옳음, 청렴, 부끄러움)를 四維(사유)라 했고 여기에 인간관계를 유지하는 덕목인 효제충신(孝悌忠信) 네 가지를 더해 八德(팔덕)이라 했다.

\xa0

孟子(맹자)에게 한 제자가 군자는 왜 농사도 짓지 않으면서 밥을 먹느냐고 물었다. ‘나라에서 군자를 기용하면 나라가 편안하고 부유해지며, 청년들이 그를 따르면 효성스럽고 공경스러우며 믿음성이 있게 된다(其君用之 則安富尊榮 其子弟從之 則孝弟忠信/ 기군용지 즉안부존영 기자제종지 즉효제충신).’ 이런 중요한 일을 하는데 군자가 무위도식이 아니라는 설명이다. 盡心(진심) 上(상)편에 실려 있다.

\xa0

우리 고전에서도 용례는 무수히 많다. 龍飛御天歌(용비어천가)부터 ‘익조 도조 환조 세 성인께서 서로 이어받아 오면서 효제충신으로 가법을 삼았다(翼祖度祖桓祖 三聖相承 以孝弟忠信爲家法/ 익조도조환조 삼성상승 이효제충신위가법)’로 나오고, 退溪(퇴계) 선생은 ‘효제충신은 인간이 가야 할 도리 중에 가장 중요하다(孝悌忠信 人道之大本/ 효제충신 인도지대본)’고 가르쳤다.

\xa0

끔찍한 범죄가 일어날 때마다 인륜이 무너졌다고 탄식한다. 효도니 우애니 강조하면 시대에 뒤떨어졌다며 고개를 돌리는 중년이나 젊은이들이 많다. 가정에서부터 생활화하여 이런 기본 덕목을 가르치면 삭막한 사회에 온기가 돌지 않을까. / 제공 : 안병화(전언론인, 한국어문한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