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4월 15일 월요일

적훼소골積毁銷骨 - 여러 사람이 헐뜯으면 뼈까지 녹인다. 

적훼소골積毁銷骨 - 여러 사람이 헐뜯으면 뼈까지 녹인다. 

적훼소골(積毁銷骨) - 여러 사람이 헐뜯으면 뼈까지 녹인다.\xa0

쌓을 적(禾/11) 헐 훼(殳/9) 쇠녹일 소(金/7) 뼈 골(骨/0)

\xa0

말을 삼가야 한다는 속담은 ‘발 없는 말이 천 리 간다’를 비롯해 아주 많다. 말 네 마리가 끄는 수레도 따르지 못한다는 駟不及舌(사불급설) 등 성어도 숱하다. 그런데 말을 다른 사람에 전하더라도 처음 들은 대로 하면 좋으련만 살을 붙이게 마련이다.

\xa0

나쁜 방향으로 뒷말이 커간다. 橋下叱倅(교하질쉬, 倅는 버금, 원 쉬)란 ‘다리 밑에서 원을 꾸짖는다’는 말인데 보이지 않는 곳에서는 나라님에도 욕을 퍼부을 수 있으니 당연하다. 소문을 전할 때도 조심해야 하지만 높은 사람이 잘못했을 때 비난이 쌓이면 무너질 수 있다. 아랫사람들의 쑥덕공론이 두렵다는 人言可畏(인언가외)가 그것이다.

\xa0

더 무서운 말이 있다 뭇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면 쇠도 녹일 수 있다는 衆口鑠金(중구삭금, 鑠은 녹일 삭)이다. 여러 사람들의 험담이 쌓이면(積毁) 굳은 뼈라도 녹는다(銷骨)는 이 성어와 쌍둥이같이 함께 붙어 사용될 때가 많다. 司馬遷(사마천)의 불멸의 사서 ‘史記(사기)’열전에서 문필로 이름 높았던 前漢(전한)의 鄒陽(추양)이 참소를 당하자 올린 글에 나온다.

\xa0

옛날 魯(노)나라의 孔子(공자)와 宋(송)나라의 墨翟(묵적)이 아첨배의 말만 듣고 쫓겨나 두 나라가 위험에 빠졌다며 이어진다. ‘그 원인은 뭘까요, 여러 사람이 떠들면 무쇠도 녹이고, 비방이 쌓이면 뼈도 녹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何則? 衆口鑠金 積毀銷骨也/ 하즉? 중구삭금 적훼소골야).’

\xa0

이보다 앞서 달변의 張儀(장의)가 魏(위)나라 왕에게 강국 秦(진)나라와 힘을 합쳐야 안전할 수 있다며 連衡策(연횡책)을 설득할 때는 비슷한 성어가 총동원된다. 신하들의 이야기를 받아들일 때 신중히 받아들여 계책을 세워야 한다며 말한다.

\xa0

‘깃털도 많이 쌓으면 배를 가라앉힐 수 있고, 가벼운 물건도 많이 실으면 수레바퀴 축이 부러지며(積羽沈舟 群輕折軸/ 적우침주 군경절축), 뭇 사람의 입에 걸리면 쇳덩이도 녹고, 모두 헐뜯으면 뼈까지도 부서집니다(衆口鑠金 積毀銷骨/ 중구삭금 적훼소골).’ 육국의 연합이 좋다는 合縱策(합종책)을 채택하다간 차츰 나라가 망한다는 이야기였다. ‘戰國策(전국책)’에도 같은 내용이 나온다.

\xa0

말이 말을 낳고 시비가 시비를 부른다. 같은 말이라도 모질게 강하게 해야 직성이 풀린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다. 말을 많이 해야 하는 정치권에선 더욱 그렇다. 모두에게 감동을 주고 희망을 가지게 하는 말이 좋으련만 정책은 뒷전이고 상대를 꺾는다며 막말이 난무한다.

\xa0

앞에 했던 말과도 달라지고 상대에게 공격했던 모진 말을 언제 했느냐하며 태연히 되풀이한다. 뼈까지 녹일 수 있는 비방전을 없애야 정치에 대한 국민의 신뢰를 쌓을 수 있을 텐데 그 때가 오기는 올까. / 제공 : 안병화(전언론인, 한국어문한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