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세추이與世推移 - 세상이 변하는 대로 따라 변함
여세추이(與世推移) - 세상이 변하는 대로 따라 변함
줄 여(臼/7) 인간 세(一/4) 밀 추(扌/8) 옮길 이(禾/6)
세상의 흐름에 독불장군처럼 변화를 거부하고 獨也靑靑(독야청청)하는 것이 옳은가, 아니면 물결치는 대로, 바람 부는 대로 줏대 없이 몸을 맡기는 것이 옳은가. 상황에 따라 결과가 달리 나올 수 있겠지만 세상이 변하는 대로 따라서(與世) 몸을 맡겨 밀리는(推移) 것을 변화에 잘 적응하는 것이라 찬양하기도 하고, 올곧은 사람으로서는 도저히 못할 일이라 타기하기도 한다. 자신을 흐름에 맡겨야할지 그것에 맞서야할지, 잘 판단하여 어느 것이나 대의에 맞아야 하는 것임은 말할 필요도 없겠다.
중국 戰國時代(전국시대) 楚(초)나라의 정치가이자 우국시인 屈原(굴원)은 懷王(회왕)에게 강국 秦(진)과 대항하기 위해선 齊(제)와 동맹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張儀(장의)의 술책에 솔깃해진 정적들의 모함을 받아 좌천되고 실의에 빠져 湘江(상강)의 물가를 어슬렁거리다 한 어부를 만났다. 어찌하여 귀인이 이곳을 거니느냐고 물으니 온 세상이 흐리고 모두 취했는데 혼자 깨어 있었기 때문이라 했다. ‘성인은 사물에 엉키고 막히지 아니하고 세상과 더불어 변하여 옮겨가는 것(聖人不凝滯於物 而能與世推移/ 성인부응체어물 이능여세추이)’이란 어부의 말에 굴원은 펄쩍 뛴다.
어찌 깨끗한 몸으로 더러운 사물을 받아들일 수 있겠느냐며 차라리 물에 뛰어들어 물고기의 뱃속에 장사지내는 것이 낫다고 했다. ‘漁父詞(어부사)’에 나오는 이야기로 혼탁한 세파에 맡기는 것은 성인으로서는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강조한다.\xa0
반면 사소한 일에 얽매이지 않고 흐름을 잘 타야 성현이라 한 사람도 있다. 後漢(후한)때 崔寔(최식)이라는 선비는 벼슬자리를 사양하고 글 한 편을 공표한다. ‘대저 성인은 어떤 일에도 구애받지 않고 세상의 변천에 따라 행동한다. 평범한 선비는 융통의 재능이 부족하여 마음으로만 괴로워할 뿐 시대의 변천에 적응하지 못한다(故聖人能與世推移 而俗士苦不知變/ 고성인능여세추이 이속사고부지변).’ ‘後漢書(후한서)’ 열전에 실렸다. / 제공 : 안병화(前언론인, 한국어문한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