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궤십기一饋十起 - 식사 중에 열 번이나 일어나다, 손님맞이에 정성을 기울이다.
일궤십기(一饋十起) - 식사 중에 열 번이나 일어나다, 손님맞이에 정성을 기울이다.
한 일(一/0) 먹일 궤(食/12) 열 십(十/0) 일어날 기(走/3)
나라를 잘 다스리기 위해 밤낮으로 애쓰는 지도자들의 모습은 여러 성어로 남아 있다. 훌륭한 인재를 맞이하기 위해 세 차례나 찾아간다는 三顧草廬(삼고초려)의 劉備(유비), 귀한 손님이 찾아왔을 때 식사도 중단하고 영접하는 吐哺握髮(토포악발)의 周公(주공)이 잘 알려져 있다. 이들보다 훨씬 앞선 중국 전설상의 夏(하) 왕조 시조 禹王(우왕)에게는 관련성어가 훨씬 많다.
성군 堯舜(요순)의 뒤를 이어 禹(우)가 천자가 된 것은 대홍수의 물길을 잡은 治水(치수)의 공이 컸다. 그는 이 일을 맡은 동안 자기 집 문 앞을 지나면서 들어가지 않았다는 過門不入(과문불입)을 13년간이나 실천했다.
그간 머리는 바람에 의해 빗질이 되고, 몸은 비를 맞은 것으로 목욕이 되는 櫛風沐雨(즐풍목우)의 생활을 견뎠다. 이런 육체적 고생 말고도 찾아온 손님을 잘 맞이하기 위한 이야기가 또 있다. 한 끼의 밥을 먹는데(一饋) 열 번이나 일어나(十起) 반갑게 맞이했다. 그만큼 모든 일상을 온통 나라를 다스리는데 집중했다.
漢高祖(한고조) 劉邦(유방)의 손자 淮南王(회남왕) 劉安(유안)이 편찬한 ‘淮南子(회남자)’의 氾論訓(범론훈)에 이 내용이 실려 있다. 학문을 즐겼던 회남왕은 빈객과 方術家(방술가) 수천 명을 모아 제자백가의 여러 학설을 모은 책이다.
우임금의 통치자로서의 자질을 묘사한 대목에 이 성어가 나온다. 우왕은 鐘鼓磬鐸鞀(종고경탁도)라고 하는 다섯 종류의 악기를 설치해 놓고 자신에게 의견을 말하라고 했다. 鞀는 작은 북 도. 가르침을 주려면 북을 치고, 의를 깨우치려면 종을 치고, 사건을 말하려면 경쇠를 두들기며, 근심을 말하려면 방울을 흔들고, 소송을 할 일이 있는 사람은 작은 북을 치라고 했다.
이렇게 의견을 주는 어진 사람들을 맞이하기 위해 우임금은 ‘한 번 식사하는 동안 열 번이나 일어났고, 한 번 머리감을 때 세 번이나 머리를 움켜쥐고 나왔다(一饋而十起 一沐而三捉髮/ 일궤이십기 일목이삼착발)’. 우임금은 이런 노력으로 이상적 聖代(성대)의 문을 열 수 있었다.
인재의 중요성을 말할 때 ‘인사가 만사’라는 말을 흔히 쓰는데도 인사 때마다 잡음이 따른다. 흠집이 많으면서 높은 자리에 가려는 것도 문제고, 그 사람의 조그만 흠집을 침소봉대하려는 움직임도 있겠다. 하지만 지도자가 발탁할 때 인재를 찾는 노력을 더 기울여야 하는 것은 물론이다. / 제공 : 안병화 (전언론인, 한국어문한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