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삼락人間三樂 - 인간이 누리는 세 가지 즐거움
인간삼락(人間三樂) - 인간이 누리는 세 가지 즐거움
사람 인(人/0) 사이 간(門/4) 석 삼(一/2) 즐길 락(木/11)
사람은 저마다의 재주가 있고, 목적하는 바가 달라서 각기 느끼는 행복도 다를 수밖에 없다. 그러니 인간의 즐거움을 세 가지로 나타내보라 할 때 내세우는 것이 다르다. 욕심이 덕지덕지 엉겨 붙은 대부분의 인간은 부귀와 명예를 갖고서도 만족을 못한다. 그런데 다른 행복, 다른 즐거움을 드는 선현들이 말하는 행복은 의외로 단순하다.
먼저 모든 유학자의 영원한 스승 孔子(공자)의 三樂(삼락)을 보자. 배우고 때에 맞게 익힘(學而時習/ 학이시습), 벗이 먼 곳에서 찾아오는 일(有朋自遠方來/ 유붕자원방래), 남이 알아주지 않아도 성내지 않음(人不知而不慍/ 인부지이불온)을 꼽았다. 論語(논어) 첫머리 學而(학이)편에서다.
공자 다음의 亞聖(아성)인 孟子(맹자)는 부모 살아 계시고 형제가 탈이 없는 것(父母俱存 兄弟無故/ 부모구존 형제무고), 하늘 우러러 부끄럼이 없고 굽어 봐 사람에 부끄러울 일이 없는 것(仰不愧於天 俯不怍於人/ 앙불괴어천 부부작어인), 영재들을 가르치는 것(得天下英才而教育/ 득천하영재이교육)을 들었다. 모두 남이 주는 것보다 자기가 닦는 데서 오는 것이다. 怍은 부끄러워할 작.
우리의 茶山(다산)선생은 젊은 시절 ‘수종사에서 노닐던 기록(游水鐘寺記 /유수종사기)‘에서 세 가지 즐거움을 나타냈다. ’어렸을 때 뛰놀던 곳에 어른이 되어 오는 것(幼年之所游歷 壯而至/ 유년지소유력 장이지), 곤궁했을 때 지냈던 곳을 출세한 뒤 오는 것(窮約之所經過 得意而至/ 궁약지소경과 득의이지), 홀로 외롭게 찾던 곳을 마음 맞는 벗들과 오는 것(孤行獨往之地 携嘉賓挈好友而至/ 고행독왕지지 휴가빈설호우이지)‘이다.
挈은 거느릴 설. 仁祖(인조)때 학자 申欽(신흠)의 삼락은 이렇다. ’문 닫고 마음에 드는 책을 읽는 것(閉門閱會心書/ 폐문열회심서), 문 열고 마음에 맞는 손님을 맞는 것(開門迎會心客/ 개문영회심객), 문을 나서 마음에 드는 경치를 찾아가는 것(出門尋會心境/ 출문심회심경).‘
선인들은 주변에서 누릴 수 있는 작은 행복을 찾고, 조그만 성취에도 자족할 수 있는 것을 가장 크게 쳤다. 끊임없이 행복을 추구하기만 하면 행복해질 수 없다. 자기 스스로를 행복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행복하다는 서양 격언처럼 자기의 분수를 알고 그것을 사랑해야 한다.\xa0철학자 安秉煜(안병욱)의 말도 기억하자. ‘행복과 불행은 같은 지붕 밑에 살고 있으며, 번영의 바로 옆방에 파멸이 살고 있고, 성공의 옆방에 실패가 살고 있다.’ / 제공 : 안병화(전언론인, 한국어문한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