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구개하ㅣ信口開河
신구개하ㅣ信口開河
○ 입에서 나오는 대로 말하다
○ 信(믿을 신) 口(입 구) 開(열 개) 河(강 하)
입에서 나오는 대로 함부로 말하다라는 뜻으로, 생각없이 마음대로 지껄이는 것을 비유하는 고사성어이다. 중국 원(元)나라 때 관한경(關漢卿)이 지은 잡극 《노재랑(魯齋郞)》 등에서 유래되었다.
"원래는 신구개합(信口開合)이었으나, 나중에 합(合)이 하(河)로 변하였다고 한다. 중국어에서 合과 河는 모두 허라고 읽는다. 신구개갈(信口開喝)이라고도 한다. 개하(開河)는 말이 강물처럼 흘러나온다는 뜻이다.
",이 말은 원(元)나라 때의 희곡에서 자주 사용되었다. 신구개합이 사용된 예는 관한경의 잡극 《노재랑》 제4절(折)에 "입에서 나오는 대로 지껄여(只管信口開合) 쓸데없는 잔소리를 늘어 놓지 마라"라는 대화이다. 또 고본원명잡극(孤本元明雜劇)에 수록된 어초한화(漁樵閑話) 제1절에는 "나 같은 산 속에 사는 야인은 영광도 없고 욕됨도 없으며, 즐거움과 기쁨도 내 뜻대로이며, 단적으로 입에서 나오는 대로 말하고, 하고 싶은 대로 방탕하게 살며, 구속을 받지 않는다(似我山間林下的野人, 無榮無辱, 任樂任喜, 端的是信口開河, 隨心放蕩, 不受拘束)"라는 구절이 있다.
입에서 나오는 대로 함부로 말한다는 점에서 신구개하는 신구자황(信口雌黃)과 그 의미가 유사하다. 그러나 굳이 그 차이점을 구분하자면, 신구개하는 제한 없이 입에서 나오는 대로 함부로 지껄이는 경우에 해당되고, 신구자황은 남의 글이나 말 등에 대하여 무책임하게 비평하는 경우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