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학아세ㅣ曲學阿世
곡학아세ㅣ曲學阿世
○ 세상(世上)에 아첨(阿諂)한다
○ 曲(굽을 곡) 學(배울 학) 阿(언덕 아) 世(인간 세)
학문(學問)을 굽히어 세상(世上)에 아첨(阿諂)한다는 뜻으로,정도(正道)를 벗어난 학문(學問)으로 세상(世上) 사람에게 아첨(阿諂)함을 이르는 말
중국(中國) 한(漢)나라 황제(皇帝)인 경제(景帝)가 즉위(卽位)하여 천하(天下)의 선비를 찾다가 산동에 사는 원고생(轅固生)이란 90세의 노 시인(詩人)을 등용(登用ㆍ登庸)하기로 했다.
중신들은 그의 등용(登用ㆍ登庸)을 반대했으나, 끝내 경제(景帝) 임금은 그를 등용(登用ㆍ登庸)한다. 같이 등용(登用ㆍ登庸)된 소장 학자(學者)가 있었는데, 그는 역시 산동 사람으로 공손홍(公孫弘)이라고 했다. 공손홍(公孫弘)은 원고생(轅固生)을 깔보고 무시했으나, 개의치 아니하고 공손홍(公孫弘)에게 이렇게 말했다 한다. 「지금은 학문(學問)의 정도(正道)가 어지러워져 속설이 유행하여 전통적(傳統的) 학문(學問)이 결국은 사설로 인하여 본연의 모습이 사라지고 말 것이야.
자네는 학문(學問)을 좋아하고 젊으니 선비로써 올바른 학문(學問)을 세상(世上)에 널리 펼쳐주기 바라네. 자신이 믿는 학설(學說)을 굽혀(曲學), 이 세상(世上) 속물들에게 아첨(阿諂)하는 일이 있어서는 아니되네.」 이 말을 들은 공손홍(公孫弘)은 고매(高邁)한 학식(學識)과 인격(人格)을 갖춘 원고생(轅固生)에게 지난 잘못을 사죄하고 제자가 되었다는 설화가 있다. 이로 인하여 전해지는 말이 바로 곡학아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