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토지쟁ㅣ犬兎之爭
견토지쟁ㅣ犬兎之爭
○ 쓸데없는 개와 토끼의 다툼. 횡재하다.
○ 犬(개 견) 兎(토끼 토) 之(갈 지) 爭(다툴 쟁)
개와 토끼의 다툼이란 뜻으로 ① 양자의 다툼에 제삼자가 힘들이지 않고 이득을 봄에 비유. 횡재(橫財)함의 비유. ② 쓸데없는 다툼의 비유.
전국 시대, 제(齊)나라 왕에게 중용된 순우곤(淳于 )은 원래 해학과 변론의 뛰어난 세객(客)이었다. 제나라 왕이 위(魏)나라를 치려고 하자 순우곤은 이렇게 진언했다."한자로(韓子盧)라는 매우 발 빠른 명견(名犬)이 동곽준(東郭逡)이라는 썩 재빠른 토끼를 뒤쫓았사옵니다. 그들은 수십 리에 이르는 산기슭을 세 바퀴나 돈 다음 가파른 산꼭대기까지 다섯 번이나 올라갔다 내려오는 바람에 개도 토끼도 지쳐 쓰러져 죽고 말았나이다.
이 때 그것을 발견한 농부는 힘들이지 않고 횡재田父之功\을 하였나이다. 지금 제나라와 위나라는 오랫동안 대치하는 바람에 군사도 백성도 지치고 쇠약하여 사기가 말이 아니 온데 서쪽의 진(秦)나라나 남쪽의 초(楚)나라가 이를 기화로 \전부지공\을 거두려 하지 않을지 그게 걱정이옵니다."이 말을 듣자 왕은 위 나라를 칠 생각을 깨끗이 버리고 오로지 부국강병(富國强兵)에 힘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