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반하장ㅣ賊反荷杖
적반하장ㅣ賊反荷杖
○ 도둑이 도리어 몽둥이를 든다
○ 賊(도둑 적) 反(돌이킬 반) 荷(멜 하) 杖(지팡이 장)
도둑이 도리어 몽둥이를 든다는 뜻으로,잘못한 사람이 도리어 잘 한 사람을 나무라는 경우(境遇)를 이르는 말
잘못한 사람이 아무 잘못도 없는 사람을 나무람을 이를 때 흔히 ‘賊反荷杖도 유분수지’라며 혀를 찬다. 도둑이 매를 든다는 주객이 바뀐 일이 예부터 많았는지 관련속담이 숱하다. ‘도둑놈이 몽둥이 들고 길 위에 오른다’, ‘방귀 뀐 놈이 성낸다’, ‘소경 개천 나무란다’, ‘물에 빠진 놈 건져 놓으니까 망건값 달라 한다’ 등이다.
賊反荷杖도 ‘旬五志(순오지)’에 있는 속담성어다. 조선 인조 때의 洪萬宗(홍만종)이 보름 만에 완성했다는 그 책이다. 거기엔 이렇게 해설한다. ‘도둑이 도리어 몽둥이를 든다는 것은 잘못한 자가 오히려 상대를 업신여기고 성내는 것을 빗댄 것이다.‘
옛날 민초들은 갓 쓴 도적에게 피해를 많이 당했다. ‘도둑질을 하더라도 사모 바람에 거드럭거린다’란 말이 있듯이 고약한 벼슬아치들은 수탈을 하고도 권세만을 믿고 큰소리친다. 관리라는 허명아래 이뤄지는 도둑질이야 말로 가장 파렴치하고 질 나쁜 나라의 도둑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