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가도사벽家徒四壁 - 집에 사방 벽만 있다.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가도사벽家徒四壁 - 집에 사방 벽만 있다.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4년 4월 3일 수요일

가도사벽家徒四壁 - 집에 사방 벽만 있다.

가도사벽家徒四壁 - 집에 사방 벽만 있다.

가도사벽(家徒四壁) - 집에 사방 벽만 있다.

집 가(宀/7), 무리 도(彳/7), 넉 사(囗/2), 벽 벽(土/13)

\xa0

‘가난 구제는 나라도 못한다‘란 말이 있듯이 남의 가난한 살림을 도와주기란 끝이 없는 일이어서, 개인은 물론 나라의 힘으로도 구제하지 못한다. 사회보장제도가 없었던 옛날에는 빈한한 사람이 더욱 많았을 수밖에 없지만 이를 나타내는 성어가 참으로 많다.

\xa0

그 중에서도 집이 덩그러니 바람만 피할 수 있는 벽뿐이라는 이 성어는 겉으로 드러나는 가난이라 더 딱하다. 여기서 徒는 무리라는 의미 외에 다만이란 뜻이다.

\xa0

前漢(전한)의 뛰어난 문인으로 賦(부)에 재능을 보였던 司馬相如(사마상여)는 젊었을 당시 왕이 문인을 중시하지 않았기 때문에 빛을 보지 못했다. 그가 사냥터 관리라는 말직을 버리고 臨邛(임공, 邛은 땅이름 공)이란 곳으로 내려갔을 때다.

\xa0

그곳에 살고 있는 卓王孫(탁왕손)이란 부호가 어느 날 귀빈을 초청한 연회서 그의 딸 卓文君(탁문군)이 거문고를 타는 사마상여의 풍도에 반해 사랑에 빠졌다. 사마상여도 남편과 사별한 탁문군에 호감이 있었지만 자신의 처지를 생각하여 내색을 못했다.

\xa0

물론 탁왕손도 가난을 이유로 두 사람의 결혼을 반대했다. 하지만 탁문군의 머리에는 사마상여의 생각만 가득해 사랑의 야반도주를 결행했다. 여자가 한밤에 도망쳐 나오자 사마상여는 말을 달려 고향으로 돌아왔다.

\xa0

탁문군이 집에 와 보니 그가 가진 것이라고는 아무 것도 없고 집안 네 벽만 덩그러니 서 있었다(文君夜亡奔相如 相如馬馳歸成都 家徒四壁立/ 문군야망분상여 상여마치귀성도 가도사벽립). 奔은 달릴 분, 馳는 달릴 치. ‘史記(사기)’의 司馬相如(사마상여)열전과 班固(반고)가 지은 ‘漢書(한서)’의 司馬相如傳(사마상여전)에 실려 있다. /\xa0\xa0제공 : 안병화(전언론인, 한국어문한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