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녹사수수鹿死誰手 - 사슴은 누구의 손에 죽는가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녹사수수鹿死誰手 - 사슴은 누구의 손에 죽는가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4년 3월 30일 토요일

녹사수수鹿死誰手 - 사슴은 누구의 손에 죽는가, 세력이 비슷하여 승부를 가리지 못함

녹사수수鹿死誰手 - 사슴은 누구의 손에 죽는가, 세력이 비슷하여 승부를 가리지 못함

녹사수수(鹿死誰手) - 사슴은 누구의 손에 죽는가, 세력이 비슷하여 승부를 가리지 못함

사슴 록(鹿/0) 죽을 사(歹/2) 누구 수(言/8) 손 수(手/0)

\xa0

모가지가 길어 슬픈 짐승 사슴이 어찌 왕권이나 패권을 상징하게 됐을까. 나뭇가지 모양의 뿔이 대지를 상징하고, 재생되므로 영생을 나타냈는지 모를 일이지만 사슴을 쫓는다는 逐鹿(축록)은 史記(사기)에서 비롯됐다. 중국 첫 통일국가 秦(진)이 망한 후 약체였던 漢高祖(한고조)가 최후의 승리를 이룰 때 측근의 도움이 컸다.

\xa0

兎死狗烹(토사구팽)된 명장 韓信(한신)의 모사 蒯通(괴통, 蒯는 기름새 괴)은 잡혀 와서도 劉邦(유방) 앞에서 당당했다. 진나라가 사슴을 잃어 천하 호걸들이 모두 쫓았는데(秦失其鹿 天下共逐/ 진실기록 천하공축) 유방을 몰랐기 때문에 한신을 도운 것이 죄가 되느냐고 항변한 것이다.

\xa0

여기에서 나온 말이 고대 周(주)나라의 근거지 중심부를 노린다는 中原逐鹿(중원축록)이 됐고, 뿔을 맞대고 싸우는 角逐(각축)이 치열한 경쟁을 나타내게 됐다. 이것과 약간 달리 사슴이 죽는 것은(鹿死) 누구의 손에 의해서인가(誰手)라는 말은 팽팽하게 실력을 다투는 양측의 승부가 어떻게 날지 알 수 없을 때 사용하는 성어다.

\xa0

晉(진)나라 이후 4세기 초엽에서 100년이 넘도록 중원지역은 북방 민족 五胡(오호)와 한족이 세운 나라가 흥망을 되풀이한 五胡十六國(오호십륙국)의 혼란 시기였다. 이 중에서 匈奴(흉노)계 羯族(갈족)의 石勒(석륵)이 일으킨 後趙(후조)가 강성했는데 사슴이 누구 손에 죽는가란 말을 처음 쓴 사람이기도 하다.

\xa0

唐太宗(당태종)때 房玄齡(방현령) 등이 편찬한 ‘晉書(진서)’에 내력이 실려 있다. 어느 때 석륵이 주연에서 술기운을 빌려 자신이 역대 어느 왕과 비견될 수 있을지 물었다. 徐光(서광)이란 신하가 폐하의 용기와 지략은 한고조를 능가한다고 듣기 좋은 말을 늘어놓았다. 석륵은 유방을 만났다면 그를 섬겼을 것이라며 손을 내젓고 말을 잇는다.

\xa0

‘짐이 광무를 만난다면 중원에서 한바탕 겨루었을 터이나(朕遇光武 當並驅于中原/ 짐우광무 당병구우중원), 누구 손에 사슴이 죽었는지는 알 수 없었을 것이오(未知鹿死誰手/ 미지녹사수수).’ 석륵은 자신이 유방에겐 비할 수 없어도 後漢(후한)을 세운 光武帝(광무제)와는 겨룰 수 있다고 큰소리친 것이다. 이 때문인지 얼마 지나지 않아 석륵은 반란으로 왕위에서 쫓겨나 비참한 최후를 맞았다.

\xa0

큰 뜻을 품었다고 자신의 능력을 과대평가하면 결과는 보잘 것 없어진다. 선거 때마다 입후보자들은 그 높은 자리에 자신이 적합하다고 자신만만이지만 끝나고 나면 사라지는 사람이 대부분이다. 먼저 실력을 닦고 나서 도전해야 사슴의 뿔을 잡을 수 있다.

\xa0

사슴을 쫓는 말 중 잘 알려진 다른 말도 보자. 사슴을 잡으려면 작은 일에 매달려서는 안 된다고 逐鹿者不顧兎(축록자불고토)라 했다. 반대로 사슴은 작은 일이 되어 쫓을 때 산을 보지 못한다는 逐鹿者不見山(축록자불견산)도 있다. 이익에 눈이 어두운 사람을 말한다. / 제공 : 안병화(前언론인, 한국어문한자회)

\xa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