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등고자비登高自卑 - 높은 곳에 오르려면 낮은 곳부터 시작한다.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등고자비登高自卑 - 높은 곳에 오르려면 낮은 곳부터 시작한다.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4년 4월 9일 화요일

등고자비登高自卑 - 높은 곳에 오르려면 낮은 곳부터 시작한다.

등고자비登高自卑 - 높은 곳에 오르려면 낮은 곳부터 시작한다.

등고자비(登高自卑) - 높은 곳에 오르려면 낮은 곳부터 시작한다.

오를 등(癶/7) 높을 고(高/0) 스스로 자(自/0) 낮을 비(十/6)

\xa0

모든 일에 기초가 튼튼해야 함은 말할 필요가 없다. 아무리 높은 高臺廣室(고대광실)이라도 구조물의 무게를 받치기 위한 밑받침이 허술하면 砂上樓閣(사상누각)이다. 기초를 다지려면 차근차근 절차를 밟아야 한다는 것은 ‘천 리 길도 한 걸음부터’란 속담이 잘 나타냈다.

\xa0

무슨 일이나 시작이 중요하다는 말로 단번에 만족할 수 없다는 ‘첫술에 배부르랴’란 깨우침도 있다. 높은 곳에 오르려면(登高) 낮은 곳부터 시작해야 한다(自卑)는 이 성어도 똑 같은 뜻을 가졌다. 일을 순서대로 해야 한다는 의미도 있고 높은 지위에 올랐을 때는 겸손해야 함을 이르기도 한다. 여기서 스스로 自(자)는 ‘~로부터‘란 뜻이다.

\xa0

출처는 孔子(공자)의 손자 子思(자사)의 저작이라는 ‘中庸(중용)’이다. 동양 철학의 중요한 개념을 담은 四書(사서)의 하나다. 15장에 실린 내용을 옮겨보면 이렇다. ‘군자의 도란 말하자면 먼 곳을 갈 때 반드시 가까운 곳부터 시작하는 것과 같고, 높은 곳에 오르려면 반드시 낮은 곳부터 시작하는 것과 같다(君子之道 辟如行遠必自邇 辟如登高必自卑/ 군자지도 비여행원필자이 비여등고필자비).’ 辟는 임금 벽, 피할 피, 비유할 비의 뜻이 있고 邇는 가까울 이. 함께 나온 行遠自邇(행원자이)도 시작이 중요하다는 같은 뜻의 성어로 사용된다.

\xa0

비슷한 의미의 가르침은 ‘孟子(맹자)’에도 나온다. 유학의 도에 대한 추구는 아래서부터 단계적이고 쉼 없는 노력을 통해 점진적인 성취를 이뤄야한다고 가르친다. ‘물을 관찰할 때는 반드시 물결을 보아야 한다(觀水有術 必觀其瀾/ 관수유술 필관기란)’, ‘흐르는 물은 빈 웅덩이를 채우지 않고는 나아가지 않는다(流水之爲物也 不盈科不行/ 유수지위물야 불영과불행)’란 구절로 盡心(진심) 상편에 있다.

\xa0

老子(노자)의 ‘道德經(도덕경)’에는 더 알아듣기 쉽게 말한다. ‘아름드리 나무도 붓털 같은 새싹에서 자라고, 구층 높은 집도 삼태기 흙부터 쌓고, 천리 길도 한 걸음부터 시작한다(合抱之木 生於毫末 九層之臺 起於累土 千里之行 始於足下/ 합포지목 생어호말 구층지대 기어누토 천리지행 시어족하).’ 64장에 실려 있다.

\xa0

차근차근 기초 대비를 하지 않아 일어나는 대형 사고는 말할 것도 없이 인재라고 욕을 먹는다. 거기에 더해 벼락출세를 한 위인이나 급작스럽게 부를 거머쥐게 된 일부 졸부와 재벌 2세 등이 저지르는 갑질 행태는 밑바닥 고생을 해서 이룬 것이 아니기에 眼下無人(안하무인)이다. 어디서나 기본을 충실히 하면 높이 돼도 무너지지 않고 자만하지도 않는다. / 제공 : 안병화(전언론인, 한국어문한자회)

\xa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