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식재상ㅣ伴食宰相
반식재상ㅣ伴食宰相
○ 육적이 귤을 품다. 지극한 효성
○ 陸(뭍 륙) 績(길쌈할 적) 懷(품을 회) 橘(귤 귤)
육적은 吳(오)나라 왕 孫權(손권)의 참모를 지낸 사람이다. 그가 6세 때 九江(구강)이란 곳에서 後漢(후한) 말의 명문 袁術(원술)을 만났다. 영특한 꼬마를 보고 원술이 쟁반에 귤을 담아 내 왔는데 육적은 먹는 둥 마는 둥 하고 있다가 주인이 자리를 비운 사이에 귤을 품속에 감췄다. 갈 때가 되어 고별인사를 하려고 일어나 허리를 굽히자 귤이 굴러 떨어졌다.
꼬마가 어쩔 줄을 모르고 당황하는 것을 달래며 원술이 연유를 물어보니 무릎을 꿇고 대답했다. ‘집에 계시는 어머니를 드리려고 그랬습니다.’ 이 말을 들은 원술은 그 효성을 매우 기특하게 여겨 남은 귤을 모두 싸 주었다. 元(원)나라 때 郭居敬(곽거경)이 중국의 대표적인 효자 24명의 효행을 적은 ‘二十四孝(이십사효)’에 나와 있다.
조선 가사문학의 거봉 蘆溪(노계) 朴仁老(박인로)의 ‘早紅柹歌(조홍시가)’ 제1수는 홍시를 갖다 드릴 부모가 안 계신 것을 슬퍼했다. 제2수에는 ‘왕상의 잉어 잡고 맹종의 죽순 꺾어/ 검던 머리 희도록 노래자의 옷을 입고/ 일생에 정성껏 효도함을 증자같이 하리라’고 읊고 있다. 여기에는 24효 중의 王祥(왕상), 孟宗(맹종), 老萊子(노래자), 曾子(증자)가 모두 등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