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관本貫과 관향貫鄕
■ 본관(本貫)과 관향(貫鄕)
우리는 모두 성씨(姓氏)와 이름을 갖고 있다. 또 성씨 앞에는 경주 김씨, 여주 이씨, 안동 권씨, 밀양 박씨, 동래 정씨 같은 동족(同族) 집단을 표시하는 지역 이름이 붙는다. 이것을 본관(本貫) 또는 관향(貫鄕)이라고 한다. 본관(本貫)은 성씨의 시조(始祖)가 출생한 땅이나 임금에 의해서 봉해진 지역 이름을 따서 지었고, 시조(始祖) 이후의 모든 후손들은 본관이라는 동질성으로 연결되므로 꿴다는 뜻의 관(貫)자를 썼다. 줄여서 본(本), 또는 본향(本鄕)이라고도 한다. 근본이 없다거나, 본을 모르는 사람이라는 표현은 그 조상이 누구인지를 알 수 없다는 뜻이므로 전통 사회에서는 매우 모욕적인 표현이었다.
우리나라는 삼국 시대에 들어와 일부 상층 계급만이 성씨를 사용하기 시작하였고, 그 이전에는 대부분 성씨가 없었다. 조선 후기까지도 백정이나 노비는 성씨가 없었다. 본관은 보통 예전에 나라에 큰 공을 세워 임금이 어떤 지역을 식읍(食邑:국가가 땅을 내려주어 조세를 받을 수 있게 해준 지역)으로 내려주어 그 지역에 뿌리를 내리면, 그것을 계기로 그 지역 이름을 가지고 본관으로 삼았다. 후대로 오면서 하나의 본관에서 여러 개로 나뉘어 갈라지는 경우도 있었다.
후삼국시대 견훤과 왕건이 안동에서 대치하고 있을 때, 왕건의 부하인 경주 김씨 김행(金幸)은 안동 김씨의 시조 김선평, 안동 장씨의 시조 장정필과 함께 군사를 모아 견훤의 수천 대군을 무찔렀다. 왕건은 김행에게 그 공을 치하하고, 변화의 기미를 잘 살펴 권도(權道), 즉 임시변통의 수단을 잘 취하였다하여 그에게 권(權)씨 성을 내려 이름을 권행(權幸)으로 고치게 하였다. 이것이 안동 권씨의 유래이다.
우리나라 사람에게 본관(本貫)은 자신의 뿌리라는 큰 의미를 지닌다. 반면 일본 사람들은 성을 바꾸는 일을 쉽게 생각한다. 자신이 유명해지면 아버지 성을 따르지 않고 별도의 성씨를 만들기도 한다. 왜 우리나라 사람들은 유달리 성씨에 집착할까? 가문(家門)과 족보(族譜)를 중시하는 유교 전통 속에서 본관은 집안의 결속력을 다지게 하는 원동력이었기 때문이다.
씨(氏)와 가(哥)는 모두 성씨를 나타내는 표현이다. 하지만 웃어른이 내게 성을 물으면 \경주 김가\라고 해야 하고, \경주 김씨\라고 하면 안 된다. \가\는 \씨\보다 상대방에게 자신을 낮추는 표현이기 때문이다. 또한, 상대방에 대해 말할 때는 "그의 성은 박씨이다.“ 라고 하지만, 나를 상대방에게 말할 때는 저는 김가입니다." 라고 하는 것이 예의이다.
♣ 제공 : KIMSEM의 ‘역사로 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