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시아문如是我聞 -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불교 경전의 첫머리에 쓰는 용어
여시아문(如是我聞) -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불교 경전의 첫머리에 쓰는 용어
같을 여(女/3) 옳을 시(日/5) 나 아(戈/3) 들을 문(耳/8)
이와 같이(如是) 나는 들었다(我聞), 또는 내가 들은 바는 이와 같다는 뜻의 이 말은 불자가 아니라도 불경을 암송할 때 처음 나오는 것이라고 알 수 있을 정도로 잘 알려져 있다. 부처님의 말씀을 전하는데 조금도 거짓이 없이 진실 되게 옮긴다는 의미를 갖는다. 我聞如是(아문여시), 聞如是(문여시)라고도 한다.
부처님은 釋迦牟尼(석가모니)의 존칭으로 고대인도 샤카Sākya/ 釋迦 민족의 성인을 뜻하는 모니muni/ 牟尼란 뜻이다. 본명은 성이 고타마Gautama/ 瞿曇(구담), 이름이 싯다르타Siddhārtha/ 悉達多(실달다)인 것도 상식이 되어 있다. 4대 성인으로 추앙받는 부처님 말씀은 어떻게 불경으로 남아 전해졌을까.
훌륭한 말씀이라도 전하는 사람이 믿음직스럽지 못하면 신뢰받지 못한다. 부처님의 말씀은 涅槃(열반)하기 전까지 25년간 시중을 들었던 阿難陀(아난타)의 기억으로 전해졌다. 석가모니의 사촌이며 10대 제자 중의 한 사람인 아난타는 곁에서 가장 많은 말을 들었으므로 多聞第一(다문제일)이라고도 불린다. 그렇더라도 자기 개인의 의견이 아닌 부처님의 말씀을 그대로 전한다는 뜻을 강조하여 경전 앞에 썼다.\xa0초기 불교의 경전은 석가의 사후 제자 중의 영도자 역할을 하여 頭陀第一(두타제일)이라 불린 摩訶迦葉(마하가섭)의 영도로 결집사업이 이뤄졌다고 한다.
大般若經(대반야경)의 전반적인 주석서 ‘大智度論(대지도론)’에 아난이 모든 경전의 앞에 어떤 글자를 붙여야 하는지 여쭙자 부처님께서 답했다는 내용이 나온다고 한다. ‘모든 경전의 앞에 제가 들은 바는 이와 같습니다란 말을 두면 된다(一切經首置 如是我聞等言/ 일체경수치 여시아문등언).’
좀 더 풀이를 옮겨 보면 불법의 큰 바다는 믿음으로 들어갈 수 있고 지혜로 건널 수 있는데 ‘이와 같이(如是/ 여시)’의 의미가 바로 믿음이라 했다. 그러면서 깨끗한 믿음이 있어야 불법에 들 수 있다고 강조한다. 이 믿음을 말하는 표현은 열반 500년이 지나 편찬된 초기 경전에도 그대로 전통이 이어졌다고 한다.
부처님이 어디서 누구에게 설법한 내용은 이와 같다고 전한 아난의 말은 사실대로 전하는 뉴스와 닮았다. 없는 사실을 전하고 실제보다 부풀려 말하고, 악의적으로 왜곡하는 가짜뉴스가 판치는 세상에서 느끼게 하는 점이 크다. 목소리 크게, 여러 매체를 동원하여 동시다발로 전한다고 해도 사실이 아니면 일시적인 믿음은 곧 사라진다. 전하는 사람이나 그 내용이나 믿음이 앞서야 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 제공 : 안병화(전언론인, 한국어문한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