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섣달그믐 세시풍속 2편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섣달그믐 세시풍속 2편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4년 3월 19일 화요일

섣달그믐 세시풍속 2편

■ 섣달그믐 세시풍속 2편

■ 섣달그믐 세시풍속 2편

조선시대에는 섣달그믐에 재앙을 쫓기 위한 연종제(年終祭)로 나례(儺禮:잡귀를 쫓기 위함)의식을 펼쳤는데, 민간에서는 대나무를 태워 요란한 소리를 내는 폭죽이나 대총, 지포인 딱총을 놓기도 하고 궁중에서도 연종포(年終砲)를 터뜨렸다. 이렇게 하면 집안에 숨어 있던 잡귀들이 놀라서 도망가고 무사태평(無事泰平)하다는 것이다. 『동국세시기』에는 궁중 풍속으로 섣달그믐 전날부터 연종포라 하여 대포와 불화살을 쏘고 징과 북을 울렸다고 기록되어 있는데 이는 청단(靑壇)이라는 나례의식이다. 『열양세시기』에 의하면 섣달그믐날 내의원에서 벽온단이라는 향을 만드는데, 이것은 염병(染病)을 물리치는 데 유용하다 하여 임금은 설날 아침에 그 향 한 심지를 피운다고 한다.

이러한 수세(守歲) 풍습은 송구영신(送舊迎新)의 의미로 우리나라에 역법(曆法)이 들어온 이래 지속된 것으로 보인다. 섣달그믐밤 밤을 하얗게 새우며 지나간 시간을 반성하고 새롭게 밝아올 한해를 설계하는 통과의례로, 그 마지막 날은 끝이 아니라 새로운 시작이라는 의미가 더 깊다. 이날 밤을 새우기 위해 윷놀이나 화투를 치면서 기도 하고, 주부들은 세찬(歲饌) 준비로 바쁜 가운데 감주나 과줄, 호박엿 따위를 틈틈이 내놓는다. 유만공의 《세시풍요(歲時風謠)》에는 『이날 달걀 같은 만두며 꽃 같은 적을 해놓고 찬품을 많이 대접하니 특별한 정이라 하였다.』 라고 한 것처럼 매년 세모(歲暮) 때는 다양한 찬거리나 음식을 주고받는데 이를 세찬(歲饌)이라 하였다.

섣달그믐은 묵은 설이라 하여 저녁 식사를 마친 후 일가 어른들에게 세배를 드리는데, 이를 묵은세배라 한다. 지역에 따라서는 저녁 식사 전에 하기도 한다. 요즘에는 떡국을 먹는 것이 일반화되었지만, 이날 만두를 먹어야 나이 한 살을 더 먹는다고 했다. 저녁에 만둣국을 올려 차례를 지내며 이를 만두 차례(茶禮), 만두 차사(茶祀), 국 제사(祭事)라고 한다. 한 해 동안 잘 보살펴주신 조상에게 감사드리는 의식으로 해질 무렵 만둣국, 동치미, 포 같은 음식을 차려서 조상에게 올린다. 섣달 그믐날 저녁 식사 후 집안 어른들과 동네 어른들을 찾아다니며 지난 1년간 감사했다는 마음으로 “일 년을 잘 지냈습니다.”라든가, “새해맞이 잘 하십시오.”라고 말하고 묵은세배를 하였다. 이때는 시어른이 계시는 여자들도 묵은세배를 하였다. 묵은세배는 주로 늦은 시간에 하였다. 낮 시간에는 가까운 조상의 산소에 찾아가서 절을 하고 왔다.

일부 가정에서는 복만두(보만두)라 하여 만두 하나 속에 엄지손톱만한 작은 만두를 여러 개 집어넣어 만든다. 차례가 끝난 후 저녁으로 다시 만둣국을 끓일 때 복만두를 넣는데, 이것이 들어간 그릇을 받는 사람이 신년 복을 다 가져간다고들 했다. 소를 키우는 집에서는 만두를 소에게 먼저 먹이고 식구들이 먹기도 했다.

- 3편에 계속

"

♣ 제공 : KIMSEM의 역사로 놀자

"

2024년 3월 18일 월요일

섣달그믐 세시풍속 2편

■ 섣달그믐 세시풍속 2편

■ 섣달그믐 세시풍속 2편

조선시대에는 섣달그믐에 재앙을 쫓기 위한 연종제(年終祭)로 나례(儺禮:잡귀를 쫓기 위함)의식을 펼쳤는데, 민간에서는 대나무를 태워 요란한 소리를 내는 폭죽이나 대총, 지포인 딱총을 놓기도 하고 궁중에서도 연종포(年終砲)를 터뜨렸다. 이렇게 하면 집안에 숨어 있던 잡귀들이 놀라서 도망가고 무사태평(無事泰平)하다는 것이다. 『동국세시기』에는 궁중 풍속으로 섣달그믐 전날부터 연종포라 하여 대포와 불화살을 쏘고 징과 북을 울렸다고 기록되어 있는데 이는 청단(靑壇)이라는 나례의식이다. 『열양세시기』에 의하면 섣달그믐날 내의원에서 벽온단이라는 향을 만드는데, 이것은 염병(染病)을 물리치는 데 유용하다 하여 임금은 설날 아침에 그 향 한 심지를 피운다고 한다.

이러한 수세(守歲) 풍습은 송구영신(送舊迎新)의 의미로 우리나라에 역법(曆法)이 들어온 이래 지속된 것으로 보인다. 섣달그믐밤 밤을 하얗게 새우며 지나간 시간을 반성하고 새롭게 밝아올 한해를 설계하는 통과의례로, 그 마지막 날은 끝이 아니라 새로운 시작이라는 의미가 더 깊다. 이날 밤을 새우기 위해 윷놀이나 화투를 치면서 기도 하고, 주부들은 세찬(歲饌) 준비로 바쁜 가운데 감주나 과줄, 호박엿 따위를 틈틈이 내놓는다. 유만공의 《세시풍요(歲時風謠)》에는 『이날 달걀 같은 만두며 꽃 같은 적을 해놓고 찬품을 많이 대접하니 특별한 정이라 하였다.』 라고 한 것처럼 매년 세모(歲暮) 때는 다양한 찬거리나 음식을 주고받는데 이를 세찬(歲饌)이라 하였다.

섣달그믐은 묵은 설이라 하여 저녁 식사를 마친 후 일가 어른들에게 세배를 드리는데, 이를 묵은세배라 한다. 지역에 따라서는 저녁 식사 전에 하기도 한다. 요즘에는 떡국을 먹는 것이 일반화되었지만, 이날 만두를 먹어야 나이 한 살을 더 먹는다고 했다. 저녁에 만둣국을 올려 차례를 지내며 이를 만두 차례(茶禮), 만두 차사(茶祀), 국 제사(祭事)라고 한다. 한 해 동안 잘 보살펴주신 조상에게 감사드리는 의식으로 해질 무렵 만둣국, 동치미, 포 같은 음식을 차려서 조상에게 올린다. 섣달 그믐날 저녁 식사 후 집안 어른들과 동네 어른들을 찾아다니며 지난 1년간 감사했다는 마음으로 “일 년을 잘 지냈습니다.”라든가, “새해맞이 잘 하십시오.”라고 말하고 묵은세배를 하였다. 이때는 시어른이 계시는 여자들도 묵은세배를 하였다. 묵은세배는 주로 늦은 시간에 하였다. 낮 시간에는 가까운 조상의 산소에 찾아가서 절을 하고 왔다.

일부 가정에서는 복만두(보만두)라 하여 만두 하나 속에 엄지손톱만한 작은 만두를 여러 개 집어넣어 만든다. 차례가 끝난 후 저녁으로 다시 만둣국을 끓일 때 복만두를 넣는데, 이것이 들어간 그릇을 받는 사람이 신년 복을 다 가져간다고들 했다. 소를 키우는 집에서는 만두를 소에게 먼저 먹이고 식구들이 먹기도 했다.

- 3편에 계속

"

♣ 제공 : KIMSEM의 역사로 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