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설날 1편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설날 1편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4년 3월 19일 화요일

설날 1편

■ 설날 1편

■ 설날 1편

‘설’이란 새해의 첫머리란 뜻으로, 설날은 새해 새 달의 첫날이란 뜻이다. 한 해가 시작되는 날이므로 매우 뜻 깊은 최초의 명절로 여겨 왔다. 원단(元旦), 세수(歲首), 연수(年首)라고 하며, 일반적으로 우리는 ‘설’ ‘설날’이라고 한다. 한자로는 신일(愼日)이라고 하여 ‘근신하여 경거망동을 삼가한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이 날에는 바깥에 나가는 것을 삼가하고 집안에서 지내면서 한 해 동안 별 탈 없이 지낼 수 있기를 신에게 비는 것이다. 따라서 이날은 새로운 정신과 몸가짐으로 벽사초복(辟邪招福)사악한 것을 멀리하고 복을 부름을 기원하는 날이다. 설날을 기점으로 묵은 1년이 지나가고 새로운 1년이 시작되므로, 1년의 운수는 그 첫날에 달려 있다고 생각했던 까닭이다. 차례를 통해 조상에게 인사하고 웃어른에게는 세배를 하는 것으로 새해 첫날을 맞이한다. 사람들은 서로 덕담(德談)을 주고받으며 한해의 운수대통을 축원한다.

"

‘설’이라는 이름의 유래에는 여러 가지 설(說)이 있는데, ‘새로 온 날이 낯설다’ 에서 ‘낯설다’의 어근인 ‘설다’에서 온 것이라는 설, 한 해가 새롭게 개시되는 날을 의미하는 ‘선날’이 연음화되어 설날로 바뀌었다고 보는 설, 그리고 자중하고 근신한다는 의미의 옛말인 ‘섦다’에서 왔다고 보는 설들이 있다. 또, 한 해가 지남으로써 점차 늙어가는 처지가 서글퍼진다는 뜻에서 서럽다는 뜻의 섧다는 의미라고 하는 설도 있다. 또 한편에서는 ‘설’이란 용어를 나이를 헤아리는 말로 해석하기도 한다. 해가 바뀌어 새로운 한 해를 맞이하는 첫 날인 ‘설’을 쇨 때마다 사람들은 한 살 씩 나이를 먹게 되는데, 결국 ‘설’이 사람의 나이를 헤아리는 단위로 정착하여 오늘날 ‘살’로 바뀌게 된 것이라는 설도 있다. 사실 이 중 딱히 어느 것이 옳고 어느 것이 틀렸다 라기 보다는 이 의미들이 모두 다 내포되어 있다고 보는 것이 일리가 있어 보인다.

",

"

설 전날을 까치설이라고도 하는데, 이것은 까치와는 전혀 관계가 없고, 작은설을 뜻하는 아치설 또는 아찬설이 변한 말이라고 한다. (까치도 울음소리를 나타낸 말인 꺅과 작다는 뜻의 아치가 합쳐진 말이다.)

",

《고려사》에 따르면, 설날, 대보름, 한식, 삼짇날, 단오, 한가위, 중양절, 팔관회, 동지를 구대속절(九大俗節)로 지낸다 했고, 조선 시대에도 설날, 한식, 단오, 한가위를 4대 명절로 꼽을 만큼 조상 대대로 이어져온 오래된 전통이었다. 중국 역사서인 《수서》를 비롯한 여러 문헌에도 신라인들이 설날 아침에 서로 인사하며, 임금이 신하들을 모아 잔치를 베풀고, 이날 일월신(日月神)을 배례(拜禮)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것에 근거하여 우리나라는 오래 전부터 설날을 쇠었던 것으로 짐작된다. 또한 또 ‘삼국사기(三國史記)’에는 백제 고이왕 5년(238) 정월에 천지신명께 제사를 지냈으며, 책계왕 2년(287) 정월에는 시조 동명왕 사당에 참배하였다고 한다. 이때 정월에 조상에게 제사를 지냈다는 것으로 보아 오늘날의 설날과 비슷한 것이었을 거라고 추측할 수 있다.

- 2편에 계속

"

♣ 제공 : KIMSEM의 역사로 놀자

"

2024년 3월 18일 월요일

설날 1편

■ 설날 1편

■ 설날 1편

‘설’이란 새해의 첫머리란 뜻으로, 설날은 새해 새 달의 첫날이란 뜻이다. 한 해가 시작되는 날이므로 매우 뜻 깊은 최초의 명절로 여겨 왔다. 원단(元旦), 세수(歲首), 연수(年首)라고 하며, 일반적으로 우리는 ‘설’ ‘설날’이라고 한다. 한자로는 신일(愼日)이라고 하여 ‘근신하여 경거망동을 삼가한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이 날에는 바깥에 나가는 것을 삼가하고 집안에서 지내면서 한 해 동안 별 탈 없이 지낼 수 있기를 신에게 비는 것이다. 따라서 이날은 새로운 정신과 몸가짐으로 벽사초복(辟邪招福)사악한 것을 멀리하고 복을 부름을 기원하는 날이다. 설날을 기점으로 묵은 1년이 지나가고 새로운 1년이 시작되므로, 1년의 운수는 그 첫날에 달려 있다고 생각했던 까닭이다. 차례를 통해 조상에게 인사하고 웃어른에게는 세배를 하는 것으로 새해 첫날을 맞이한다. 사람들은 서로 덕담(德談)을 주고받으며 한해의 운수대통을 축원한다.

"

‘설’이라는 이름의 유래에는 여러 가지 설(說)이 있는데, ‘새로 온 날이 낯설다’ 에서 ‘낯설다’의 어근인 ‘설다’에서 온 것이라는 설, 한 해가 새롭게 개시되는 날을 의미하는 ‘선날’이 연음화되어 설날로 바뀌었다고 보는 설, 그리고 자중하고 근신한다는 의미의 옛말인 ‘섦다’에서 왔다고 보는 설들이 있다. 또, 한 해가 지남으로써 점차 늙어가는 처지가 서글퍼진다는 뜻에서 서럽다는 뜻의 섧다는 의미라고 하는 설도 있다. 또 한편에서는 ‘설’이란 용어를 나이를 헤아리는 말로 해석하기도 한다. 해가 바뀌어 새로운 한 해를 맞이하는 첫 날인 ‘설’을 쇨 때마다 사람들은 한 살 씩 나이를 먹게 되는데, 결국 ‘설’이 사람의 나이를 헤아리는 단위로 정착하여 오늘날 ‘살’로 바뀌게 된 것이라는 설도 있다. 사실 이 중 딱히 어느 것이 옳고 어느 것이 틀렸다 라기 보다는 이 의미들이 모두 다 내포되어 있다고 보는 것이 일리가 있어 보인다.

",

"

설 전날을 까치설이라고도 하는데, 이것은 까치와는 전혀 관계가 없고, 작은설을 뜻하는 아치설 또는 아찬설이 변한 말이라고 한다. (까치도 울음소리를 나타낸 말인 꺅과 작다는 뜻의 아치가 합쳐진 말이다.)

",

《고려사》에 따르면, 설날, 대보름, 한식, 삼짇날, 단오, 한가위, 중양절, 팔관회, 동지를 구대속절(九大俗節)로 지낸다 했고, 조선 시대에도 설날, 한식, 단오, 한가위를 4대 명절로 꼽을 만큼 조상 대대로 이어져온 오래된 전통이었다. 중국 역사서인 《수서》를 비롯한 여러 문헌에도 신라인들이 설날 아침에 서로 인사하며, 임금이 신하들을 모아 잔치를 베풀고, 이날 일월신(日月神)을 배례(拜禮)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것에 근거하여 우리나라는 오래 전부터 설날을 쇠었던 것으로 짐작된다. 또한 또 ‘삼국사기(三國史記)’에는 백제 고이왕 5년(238) 정월에 천지신명께 제사를 지냈으며, 책계왕 2년(287) 정월에는 시조 동명왕 사당에 참배하였다고 한다. 이때 정월에 조상에게 제사를 지냈다는 것으로 보아 오늘날의 설날과 비슷한 것이었을 거라고 추측할 수 있다.

- 2편에 계속

"

♣ 제공 : KIMSEM의 역사로 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