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속세를 떠난 은사 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속세를 떠난 은사 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4년 3월 23일 토요일

고운야학孤雲野鶴 - 외로운 구름과 들의 학, 속세를 떠난 은사 

고운야학孤雲野鶴 - 외로운 구름과 들의 학, 속세를 떠난 은사 

고운야학(孤雲野鶴) - 외로운 구름과 들의 학, 속세를 떠난 은사\xa0

외로울 고(子/5) 구름 운(雨/4) 들 야(里/4) 학 학(鳥/10)

\xa0

번거로운 세상사를 잊고 초야에 묻혀 悠悠自適(유유자적)하는 것은 대부분 선비들의 만년의 희망이었다. 처음부터 은거를 택한 사람도 있고, 修身齊家(수신제가)한 뒤 세상을 이끌려다 뜻대로 되지 않는 일이 많아 낙향을 택하기도 했다. 이런 전통은 아마도 중국 전설시대의 許由巢父(허유소보)까지 올라갈 듯싶다.

\xa0

堯(요) 임금이 왕위를 물려주려고 하자 潁川(영천)에서 귀를 씻고, 소에게도 그 강물을 먹일 수 없다고 했던 은자들이다. 폭군 紂王(주왕)이라도 멸할 수 없다며 반대한 伯夷叔齊(백이숙제)는 首陽隱士(수양은사)가 됐다.

\xa0

난세를 피해 숨었던 竹林七賢(죽림칠현), 울타리에서 국화를 꺾었던 采菊東籬下(채국동리하)의 陶淵明(도연명), 매화와 학을 벗 삼았던 梅妻鶴子(매처학자)의 林逋(임포, 逋는 도망갈 포) 등도 이름났다.

\xa0

이런 명사들 말고도 은자를 나타낸 말에는 그림 같은 묘사가 많다. 몇 가지만 보자. 山棲谷飮(산서곡음)은 산속에 살면서 계곡의 물을 마시고, 巖居川觀(암거천관)은 바위굴에 살며 냇물의 흐름을 바라보는 은사이며, 前園後圃(전원후포)는 앞에는 동산이요 뒤로는 가꾸는 밭이 있는 풍경을 즐긴다.

\xa0

양가죽으로 된 갖옷을 입고 물고기를 낚는 羊裘垂釣(양구수조, 裘는 갖옷 구)의 태공도 있다. 여기에 외로이 떠 있는 구름(孤雲)과 무리에서 벗어나 들에 있는 학(野鶴)이란 뜻의 성어는 속세를 떠나 한가로이 숨어 지내는 선비를 이른다. 明(명)의 洪自誠(홍자성)이 쓴 경구집 ‘菜根譚(채근담)’에 있는 실려 있다.

\xa0

後集(후집) 106장의 내용이다. ‘산중에 살면 가슴 속이 맑고 시원하니, 대하는 것마다 모두 아름다운 생각이 든다(山居胸次淸洒 觸物皆有佳思/ 산거흉차청쇄 촉물개유가사). 외로운 구름과 들의 학을 보면 속세를 초월한 듯하고(見孤雲野鶴 而起超絶之想/ 견고운야학 이기초절지상), 계곡에 흐르는 샘을 보면 마음의 때를 씻어주는 듯하다(遇石澗流泉 而動澡雪之思/ 우석간류천 이동조설지사).’ 洒는 시원할 쇄, 灑(쇄)와 같다.

\xa0

澡雪(조설)은 마음의 때를 깨끗하게 한다는 뜻. 唐(당)나라의 전설적인 寒山(한산)의 다른 묘사도 좋다. ‘초야에 사는 오막살이집 아무도 찾는 이 없네(茅棟埜人居 門前車馬疎/ 모동야인거 문전거마소), 깊은 숲속 새들이 모여들고 너른 시내엔 물고기들 노니네(林幽偏聚鳥 谿闊本藏魚/ 임유편취조 계활본장어).’ 埜는 들 야, 野(야)의 古字(고자), 谿는 시내 계, 溪(계)와 같다.

\xa0

우리의 선조들도 벼슬을 버리고 낙향하여 학문을 닦고 제자를 양성한 선비들이 많았고, 초가삼간 지어 달과 청풍과 함께 산다며 풍류를 노래했다. 오늘날의 가요도 저 푸른 초원 위에 그림 같은 집을 짓거나 정든 땅 언덕 위에 초가집이라도 지어 여생을 즐기는 것을 희망했다.\xa0하지만 이런 사람은 소수이고, 갈수록 치열해지는 경쟁에 밀려 귀향하는 사람이 늘어난다고 한다. 생활에 쫓기면 외로운 구름이나 하늘을 나는 학이 눈에 들어오지도 않을 것이라 안타깝다. / 제공 : 안병화(전언론인, 한국어문한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