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수여쾌오羞與噲伍 - 번쾌와 한 무리가 되어 부끄럽다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수여쾌오羞與噲伍 - 번쾌와 한 무리가 되어 부끄럽다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4년 3월 16일 토요일

수여쾌오羞與噲伍 - 번쾌와 한 무리가 되어 부끄럽다, 하급과 같이 취급돼 수치스럽게 여기다

수여쾌오羞與噲伍 - 번쾌와 한 무리가 되어 부끄럽다, 하급과 같이 취급돼 수치스럽게 여기다.

수여쾌오(羞與噲伍) - 번쾌와 한 무리가 되어 부끄럽다, 하급과 같이 취급돼 수치스럽게 여기다.

부끄러울 수(羊/5) 줄 여(臼/7) 목구멍 쾌(口/13) 다섯사람 오(亻/4)

성어에 나오는 목구멍 噲(쾌)라는 글자는 어려운 만큼 사용되는 곳도 드물다. 얼굴이 붓고 초췌하다는 腫噲(종쾌)란 말 외에 사람 이름으로 2명이 나오는 정도다. 중국 戰國時代(전국시대) 燕(연)나라 噲王(쾌왕)은 신하에 왕위를 물려주고 나라를 쇠하게 만든 무능의 대명사인 반면 漢高祖(한고조) 劉邦(유방)을 도왔던 樊噲(번쾌)는 미천한 신분에도 혁혁한 공으로 재상에까지 오른다.

이 번쾌와 한 무리가 된 것을 부끄럽게 여긴다는 말의 주인공은 韓信(한신)이다. 力拔山(역발산)의 기세등등한 項羽(항우)를 꺾고 유방에게 천하를 차지하는 데 큰 공을 세운 대장군이니 수치스럽게 여길 만하다.

한신은 원래 항우의 휘하에 있었다. 자신도 집안이 한미했고 胯下之辱(과하지욕)이라며 무뢰배의 가랑이 밑을 지나간 불명예가 따라 재능에 비해 중용되지 못했다. 함께 있었던 鐘離昧(종리매)란 장군은 유방과의 전투에서 가슴을 활로 쏘는 등 괴롭히면서 끝까지 항우군에 남았으나 한신은 유방의 막하로 들어갔다.

한신의 능력을 알아본 유방의 중신 蕭何(소하)의 적극 지원으로 승승장구하여 대장군에 오르고 漢(한)의 천하통일에 크게 기여했다. 번쾌는 처음부터 유방의 측근에서 활약했고, 항우와의 鴻門之宴(홍문지연)에선 위험을 무릅쓰고 목숨까지 구했다.

유방이 황제가 된 뒤 한신은 군사를 빼앗기고 楚王(초왕)으로 있었는데, 항우 사후 자신에게 의탁하러 온 종리매의 목을 바치면서까지 충성을 바쳤지만 다시 淮陰侯(회음후)로 강등되고 말았다. 狡兎狗烹(교토구팽)을 한탄하며 칩거하고 있을 때 번쾌의 집 근처를 지날 일이 있었다.

번쾌는 누추한 곳을 찾아줘 영광이라며 깍듯이 집으로 맞았다. 잠시 머물다 ‘한신이 문을 나설 때 웃으면서 말하길, 내가 결국 번쾌 등과 같은 지위가 되고 말다니(信出門笑曰 生乃與噲等爲伍/ 신출문소왈 생내여쾌등위오)’하고 한탄했다. ‘史記(사기)’의 회음후 열전에 실려 있다.

한신은 전장에서 혁혁한 공을 세워 유방에게 황제의 지위에 오르게 했어도 앞날을 보는 눈은 밝지 못했다. 천하를 삼분하라고 조언한 모사 蒯通(괴통, 蒯는 기름새 괴)의 건의를 무시했고, 자신에 의탁하러 온 종리매를 배신하면서 결국엔 자신의 목숨까지 잃는다.

여기에 항우에 무시당하고도 백정 출신의 번쾌 등과 같은 대우를 받는다며 부끄러워한다. 과거 잘 나갈 때의 영광에만 사로잡혀 다른 사람의 성공을 인정하지 못한다면 함께 큰일을 도모하지 못한다. 출신과 업적을 따진다면 일을 그르치고 퇴보하게 된다. / 제공 : 안병화(전언론인, 한국어문한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