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어떤 지위를 얻기 위해 경쟁하다.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어떤 지위를 얻기 위해 경쟁하다.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4년 3월 17일 일요일

중원축록中原逐鹿 - 넓은 벌판 가운데서 사슴을 쫓다, 어떤 지위를 얻기 위해 경쟁하다.

중원축록中原逐鹿 - 넓은 벌판 가운데서 사슴을 쫓다, 어떤 지위를 얻기 위해 경쟁하다.

중원축록(中原逐鹿) - 넓은 벌판 가운데서 사슴을 쫓다, 어떤 지위를 얻기 위해 경쟁하다.

\xa0

가운데 중(丨/3) 언덕 원(厂/8) 좇을 축( 辶/7) 사슴 록(鹿/0)

\xa0

넓은 벌판의 한 가운데를 가리키는 中原(중원)은 중국의 중심부를 가리킨다. 고대 周(주)나라의 세력 근거지로 한족의 생활영역이었다. 黃河(황하)의 중류 남부지방이 중심이었다가 남부의 揚子江(양자강) 유역까지 확대되어 중원은 중국의 중심부나 나아가서 중국 전체를 나타내는 말이 되었다.

여기서 주나라의 왕권을 상징하는 사슴을 쫓는다(逐鹿)는 말은 군웅이 제왕의 지위를 얻으려고 쟁탈전을 벌이는 것을 의미한다. 이 말은 조금도 양보하지 않고 치열하게 뿔을 맞대고 싸우는 짐승들의 다툼 角逐(각축)과 같이 어떤 지위를 얻기 위해 경쟁한다는 의미로 확대되어 사용된다.

\xa0

이 성어가 유래한 곳은 故事(고사)의 보고 司馬遷(사마천)의 ‘史記(사기)’다. 秦(진)나라 말기 劉邦(유방)을 도와 천하를 제패한 韓信(한신)은 처음 楚王(초왕)에 봉해졌다가 모반의 혐의를 받고 淮陰侯(회음후)로 강등되었다. 兎死狗烹(토사구팽)되는 한신의 회음후 열전에 실린 내용을 보자.

고조가 趙(조)나라 재상이었던 陳豨(진희, 豨는 멧돼지 희)의 난을 평정하러 간 사이 한신은 漢高祖(한고조) 왕후 呂后(여후)와 재상 蕭何(소하)의 계략에 빠져 체포된다. 고조가 돌아와 문초하자 한신은 蒯通(괴통, 蒯는 기름새 괴)의 말을 듣지 않아 안타깝다고 말했다.

\xa0

괴통은 잡혀 와서도 한신이 자신의 말을 들었으면 세상이 달라졌을 것이라고 당당히 말했다. 유방이 노해서 삶아죽이라고 명하자 말을 잇는다. ‘진나라가 사슴을 잃자 천하의 호걸들이 모두 이를 쫓고(秦失其鹿 天下共逐之/ 진실기록 천하공축지)’ 있었는데 괴통은 그때 한신을 알고 있었을 뿐 고조는 몰랐다고 했다. 그러면서 천하의 도적 盜跖(도척)의 개가 堯(요)임금을 보고도 짖는 것은 주인이 아니기 때문이라며 유방을 따르지 않은 많은 사람을 다 죽여야 하느냐고 항변한다. 유방은 그의 말이 일리가 있어 풀어줄 수밖에 없었다.

사슴을 쫓는 성어 중에 사슴을 쫓는 사람은 산을 보지 못한다는 逐鹿者不見山(축록자불견산)과 사슴을 쫓는 자는 토끼를 돌아보지 않는다는 뜻의 逐鹿者不顧兎(축록자불고토)가 있다. 앞의 말은 이익에 눈에 어두워 큰 흐름을 보지 못한다는 뜻이고, 뒤는 작은 일에 매달리면 큰일을 이루지 못한다는 뜻이다. 이런 상반된 말이 남은 것은 사슴을 쫓지 말라는 것이 아니고 목적을 향해서는 필요한 것만 향하여 한길만 가라는 뜻으로 새기면 되겠다. / 제공 : 안병화(전언론인, 한국어문한자회)

2024년 3월 4일 월요일

중원축록中原逐鹿 - 넓은 벌판 가운데서 사슴을 쫓다, 어떤 지위를 얻기 위해 경쟁하다.

중원축록中原逐鹿 - 넓은 벌판 가운데서 사슴을 쫓다, 어떤 지위를 얻기 위해 경쟁하다.

중원축록(中原逐鹿) - 넓은 벌판 가운데서 사슴을 쫓다, 어떤 지위를 얻기 위해 경쟁하다.

가운데 중(丨/3) 언덕 원(厂/8) 좇을 축( 辶/7) 사슴 록(鹿/0)

넓은 벌판의 한 가운데를 가리키는 中原(중원)은 중국의 중심부를 가리킨다. 고대 周(주)나라의 세력 근거지로 한족의 생활영역이었다. 黃河(황하)의 중류 남부지방이 중심이었다가 남부의 揚子江(양자강) 유역까지 확대되어 중원은 중국의 중심부나 나아가서 중국 전체를 나타내는 말이 되었다. 여기서 주나라의 왕권을 상징하는 사슴을 쫓는다(逐鹿)는 말은 군웅이 제왕의 지위를 얻으려고 쟁탈전을 벌이는 것을 의미한다. 이 말은 조금도 양보하지 않고 치열하게 뿔을 맞대고 싸우는 짐승들의 다툼 角逐(각축)과 같이 어떤 지위를 얻기 위해 경쟁한다는 의미로 확대되어 사용된다.

이 성어가 유래한 곳은 故事(고사)의 보고 司馬遷(사마천)의 ‘史記(사기)’다. 秦(진)나라 말기 劉邦(유방)을 도와 천하를 제패한 韓信(한신)은 처음 楚王(초왕)에 봉해졌다가 모반의 혐의를 받고 淮陰侯(회음후)로 강등되었다. 兎死狗烹(토사구팽)되는 한신의 회음후 열전에 실린 내용을 보자. 고조가 趙(조)나라 재상이었던 陳豨(진희, 豨는 멧돼지 희)의 난을 평정하러 간 사이 한신은 漢高祖(한고조) 왕후 呂后(여후)와 재상 蕭何(소하)의 계략에 빠져 체포된다. 고조가 돌아와 문초하자 한신은 蒯通(괴통, 蒯는 기름새 괴)의 말을 듣지 않아 안타깝다고 말했다.

괴통은 잡혀 와서도 한신이 자신의 말을 들었으면 세상이 달라졌을 것이라고 당당히 말했다. 유방이 노해서 삶아죽이라고 명하자 말을 잇는다. ‘진나라가 사슴을 잃자 천하의 호걸들이 모두 이를 쫓고(秦失其鹿 天下共逐之/ 진실기록 천하공축지)’ 있었는데 괴통은 그때 한신을 알고 있었을 뿐 고조는 몰랐다고 했다. 그러면서 천하의 도적 盜跖(도척)의 개가 堯(요)임금을 보고도 짖는 것은 주인이 아니기 때문이라며 유방을 따르지 않은 많은 사람을 다 죽여야 하느냐고 항변한다. 유방은 그의 말이 일리가 있어 풀어줄 수밖에 없었다.

사슴을 쫓는 성어 중에 사슴을 쫓는 사람은 산을 보지 못한다는 逐鹿者不見山(축록자불견산)과 사슴을 쫓는 자는 토끼를 돌아보지 않는다는 뜻의 逐鹿者不顧兎(축록자불고토)가 있다. 앞의 말은 이익에 눈에 어두워 큰 흐름을 보지 못한다는 뜻이고, 뒤는 작은 일에 매달리면 큰일을 이루지 못한다는 뜻이다. 이런 상반된 말이 남은 것은 사슴을 쫓지 말라는 것이 아니고 목적을 향해서는 필요한 것만 향하여 한길만 가라는 뜻으로 새기면 되겠다. / 제공 : 안병화 前언론인, 한국어문한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