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어려운 시기에 도움을 받다.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어려운 시기에 도움을 받다.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4년 3월 4일 월요일

한천작우旱天作雨 - 가뭄이 들면 하늘이 비를 내린다, 어려운 시기에 도움을 받다.

한천작우旱天作雨 - 가뭄이 들면 하늘이 비를 내린다, 어려운 시기에 도움을 받다.

한천작우(旱天作雨) - 가뭄이 들면 하늘이 비를 내린다, 어려운 시기에 도움을 받다.

가물 한(曰/3) 하늘 천(大/1) 지을 작(亻/5) 비 우(雨/0)

오래 가물다가 내리는 비는 慈雨(자우)다. ‘가뭄에 단비’다. 하지만 ‘넉 달 가뭄에도 하루만 더 개었으면 한다’는 말이 있듯이 자기 일에 지장이 있으면 고마워하지 않는다. 사람은 날씨에 대해 항상 자기중심으로 생각하기 마련이다. 개개인은 그렇다 하더라도 나라를 다스리는 왕은 그럴 수 없다. 가뭄을 말하는 旱魃(한발, 魃은 가물 발)로 인해 백성이 굶주리게 되면 왕은 자신의 잘못이라며 주위를 살펴보고 몸을 청결히 하여 祈雨祭(기우제)를 올린다. 이런 정성에 하늘이 감동했는지 얼마 뒤에는 실제 비가 내렸다.

가뭄이 들어 백성이 도탄에 빠지면 하늘이 비를 내린다는 것이 이 성어다. 여기에서 가뭄 때 내리는 단비처럼 어려운 시기에 도움을 받는 것을 말하기도 한다. 孔子(공자)를 학문을 이어 亞聖(아성)으로 추앙받는 孟子(맹자)가 한 말에서 비롯됐다. 그의 가르침을 정리한 ‘맹자’의 첫머리 梁惠王(양혜왕)에 나온다. 梁(양)나라는 戰國時代(전국시대) 초기 강국이었던 魏(위)나라가 도읍을 安邑(안읍)에서 大梁(대량)으로 옮긴 후부터 불린 이름이다. 맹자가 양혜왕을 접견하고서 강조한 何必曰利(하필왈리), 五十步百步(오십보백보) 등의 성어가 앞부분에 나온다.

양혜왕의 아들인 襄王(양왕)과 맹자의 대화에서 단비 부분이 들어있다. 천하는 어떻게 해야 안정되며 누가 천하를 통일할 수 있겠는가 하는 질문에 맹자가 답한다. ‘왕께서는 벼의 싹에 대해 아시는지요? 7, 8월 사이에 가뭄이 들면 말랐다가 하늘이 뭉게뭉게 먹구름을 만들어 시원하게 비를 뿌리면 다시 싱싱하게 자라납니다(王知夫苗乎 七八月之間 旱則苗槁矣 天油然作雲 沛然下雨 則苗浡然與之矣/ 왕지부묘호 칠팔월지간 한즉묘고의 천유연작운 패연하우 즉묘발연여지의).’ 油然(유연)은 구름이 무성하게 일어나는 모양, 沛는 비쏟아질 패, 일어날 浡(발)은 싹이 부쩍 자란 모습을 형용했다. 자비롭게 백성을 대하면 저절로 모여든다는 설명이다./ 제공 : 안병화(前언론인, 한국어문한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