왈리왈시曰梨曰柿 - 배 놔라 감 놔라 한다, 쓸데없이 간섭하다.
왈리왈시(曰梨曰柿) - 배 놔라 감 놔라 한다, 쓸데없이 간섭하다.
가로 왈(曰/0), 배 리(木/7) 가로 왈(曰/0) 감 시(木/5)
‘사람마다 저 잘난 맛에 산다’는 속담이 있다. 남이 보기에 보잘 것 없는 처지라도 제각기 다 자기가 잘났다는 긍지와 자존심이 있다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엇나가는 행동을 바로잡아 주려 해도 상관하지 말라며 ‘남이야 전봇대로 이를 쑤시건 말건’ 두라고 하는 사람이 대부분이다. 몸에 좋은 약은 입에 쓰고 옳게 충고하는 말은 귀에 거슬린다는 良藥苦口 忠言逆耳(양약고구 충언역이)란 명구가 그냥 나온 말이 아니다.
남의 말 듣기를 좋아하지 않는 것과 마찬가지로 남의 말 하기는 어지간히 좋아한다. ‘남의 흉이 한 가지면 제 흉은 열 가지’라고 쓸데없이 남의 흉을 봤다가 몇 곱으로 돌아오는 낭패를 당한다. 배 놓아라 말하고(曰梨) 감 놓아라 말한다(曰柿)는 것은 ‘사돈집 잔치에 감 놓아라 배 놓아라 한다’라는 속담을 한역한 데서 나왔다. 茶山(다산) 丁若鏞(정약용) 선생이 엮은 ‘耳談續纂(이담속찬)’에는 남의 잔치에 이러쿵저러쿵 하지 말라는 ‘他人之宴 曰梨曰柿(타인지연 왈리왈시)’로 표현했다. 그 지위에 있지 않으면서 쓸데없이 간섭한다(不在其位 枉有干涉/ 부재기위 왕유간섭)는 뜻이라고 풀이를 보탠다. 나서지 않아야 할 남의 일에 공연히 간섭하고 끼어들어서는 특히 예를 차려야 하는 사돈 간의 의를 상할 일이다.
사돈의 잔치라 했지만 실제 이 말은 붉은 과일은 동쪽, 흰 과일은 서쪽이란 紅東白西(홍동백서)와 같이 제사 음식을 陳設(진설)하는 순서에서 비롯됐다. 제일 앞줄에 대추, 밤, 배, 감을 차례대로 차리는 棗栗梨柿(조율이시)의 원칙을 棗栗柿梨(조율시이)로 하는 것이 옳다고 서로 싸운다는 뜻이다. 배를 먼저 놓는 집안도 있고, 감을 먼저 차리는 곳도 있어 家家禮(가가례)라 하는데 자기 것이 옳다고 고집하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다.
조그마한 원칙을 놓고 서로 양보를 않고 다투기만 한다면 항상 분란만 생긴다. 남의 입장을 먼저 생각하고 나의 원칙을 지킨다면 더 좋은 결론에 다다를 수 있다. 조선 중기 대비와 왕비의 상례문제를 둘러싸고 禮訟(예송)논쟁으로 치달은 것은 자기들 방식만 고집했기 때문이다. / 제공 : 안병화(前언론인, 한국어문한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