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위정유목爲政猶沐 - 정치를 하는 것은 머리를 감는 것과 같다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위정유목爲政猶沐 - 정치를 하는 것은 머리를 감는 것과 같다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4년 3월 25일 월요일

위정유목爲政猶沐 - 정치를 하는 것은 머리를 감는 것과 같다, 작은 손실은 감수해야 한다.

위정유목爲政猶沐 - 정치를 하는 것은 머리를 감는 것과 같다, 작은 손실은 감수해야 한다.

위정유목(爲政猶沐) - 정치를 하는 것은 머리를 감는 것과 같다, 작은 손실은 감수해야 한다.

하 위(爪/8) 정사 정(攵/5) 오히려 유(犭/9) 머리감을 목(氵/4)

\xa0

정치를 하는 것은(爲政) 머리를 감는 것과 같다(猶沐)는 말을 언뜻 들으면 전혀 연관성을 생각하기 힘들다. 억지로 찾는다면 머리는 바람에 의해 빗질이 되고, 흐르는 빗물로 머리감는 櫛風沐雨(즐풍목우)를 끌어올 수 있다. 나라의 일을 맡은 공직자가 열심히 일하는 모습을 그린 중국 전설상의 夏(하)나라 시조 禹王(우왕)에서 온 고사다.

\xa0

정치를 잘 하라는 교훈은 같아도 실제 의미하는 것은 전혀 다르다. 法家(법가)의 확립자로 법치가 통치의 기본이라 주창했던 韓非(한비)의 ‘韓非子(한비자)’에는 머리를 감을 때 머리카락이 빠지더라도 감아야 하듯이 정치를 하려면 작은 손실을 감수해야 한다는 뜻으로 썼다.

\xa0

한비자는 강한 법치가 仁政(인정)보다 훨씬 더 좋은 국가운영 방침이라고 강조하며 六反(육반)편에서 속담을 인용한다. ‘정치를 한다는 것은 머리를 감는 것과 같다, 머리카락이 빠져도 감지 않으면 안 된다(爲政猶沐也 雖有棄髮 必爲之/ 위정유목야 수유기발 필위지),’ 왜 그러한지 그 이유를 덧붙인다.

\xa0

본래 종기에 침을 맞으면 아픈 법이고, 약은 입에 쓰더라도 먹어야 한다. 그러니 ‘머리털이 빠지는 것을 안타까이 여겨, 멋있게 머리를 가꾸는 것을 잊는다면(愛棄髮之費 而忘長髮之利/ 애기발지비 이망장발지리), 어느 편이 더 중한지 모르는 사람이다(不知權者也/ 부지권자야)’고 했다. 작은 손실을 감수하지 않으면 큰일을 이룰 수 없다는 이야기다.

\xa0

성어의 앞부분에 자기의 이익에 따라 상반되는 입장에 서게 되는 여섯 가지 유형의 예를 든다. 죽음을 두려워하여 도주하면 생명을 아끼는 貴生之士(귀생지사), 성현의 도를 배웠다고 법령을 무시해도 학문이 있다고 文學之士(문학지사), 직업이 없이 풍족한 생활을 하면 有能之士(유능지사)라 한다.

\xa0

또 아는 척하고 거짓을 일삼아도 辯智之士(변지지사)가 되고, 포악하고 나쁜 짓 하는 사람에게 磏勇之士(염용지사, 磏은 거친숫돌 염), 포악한 도둑을 숨겨 살려주면 의협심 있는 任譽之士(임예지사)라 일컫는다. 반대로 위험을 무릅쓴 사람은 失計之民(실계지민), 법령을 충실히 지키면 樸陋之民(박루지민), 열심히 일하면 무능하다고 寡能之民(과능지민) 등이 되어 되레 비난받는다.

\xa0

머리카락이 빠진다고 머리를 감지 않을 수 없듯이 목표한 일을 이루려면 주는 것도 있어야 한다. 한비가 예로 들은 바와 같이 같은 사안이라도 그럴듯하게 포장하거나 좋은 면만 보고서 칭찬하고, 다른 편이라고 무조건 나쁘다고 해서는 전체를 파악할 수가 없다.

그래서 인사를 하는 사람은 여러 의견을 듣고 전후 사정을 잘 판단해야 옳은 인재를 쓸 수 있는 법이다. 또 모든 사회나 조직, 특히 정치에서 힘 있는 한 쪽이 반대쪽의 주장을 어느 정도 받아들여야 큰 뜻을 펴고 모두를 위하는 길이 될 수 있다. / 제공 : 안병화(前언론인, 한국어문한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