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대함이六代含飴 - 육대의 가족이 함께 엿을 먹다, 대가족이 한 집안서 사이좋게 살다.
육대함이(六代含飴) - 육대의 가족이 함께 엿을 먹다, 대가족이 한 집안서 사이좋게 살다.
여섯 륙(八/2) 대신할 대(亻/3) 머금을 함(口/4) 엿 이(食/5)
世代(세대)는 사람이 태어나서 가정을 이뤄 부모 일을 계승할 때까지의 기간으로 보통 30년을 잡는다. 이 말을 한 자씩 떼어 世(세)는 사람의 한 평생, 代(대)는 대신하여 잇는다는 뜻이다. 집안 족보서 말하는 세는 시조부터 세어 자신까지 몇 세손이라 하고, 대는 자신을 빼고 아버지가 1대조, 증조가 3대조 등으로 된다. 그러니 대가 세보다 -1이 된다. 요즘이야 부모와 자녀만 사는 핵가족이 대부분이지만 4대가 함께 사는 집이 얼마 전까지도 그렇게 귀하지 않았다.
대가족이 함께 모여 살면 다른 사람이 볼 때 아주 화목한 집안으로 본다. 이런 가족의 세계기록이라 할 9세의 선조와 후손들이 한 집안에서 산 九世同堂(구세동당)이 있다. 중국 唐(당)나라 高宗(고종) 때의 사람 張公藝(장공예)란 사람이 주인공으로 모두 900명이나 되는 식솔들이 살았다고 한다. 고종이 화목할 수 있는 방법을 묻자 참을 忍(인) 100자를 써서 바쳤다고 해서 百忍堂(백인당) 당호를 하사했다는 집이다.
이에는 약간 미치지 못해도 六代(육대)의 가족들이 함께 엿을 먹는다(含飴)는 이 말은 孔子(공자)의 집안을 가리켰다. 6대의 가족이 한 집안에서 사이좋게 살아간다니 1세대 30년을 당시 공자의 어머니가 결혼했다는 19세로 치더라도 114세의 할아버지 아래 손자가 태어난 것이 된다. 공자의 고향 山東(산동)성의 曲阜(곡부)에는 淸(청)나라 乾隆帝(건륭제)가 보낸 ‘六代含飴(육대함이)’의 편액이 남아 있다고 한다. 중국 최강의 국력을 자랑했던 건륭제가 공자 집안에서 육대가 함께 사는 것에 감동하여 한족인 대학사의 딸을 입양시켜 공주로 삼은 뒤 혼사를 맺기도 했다.
구세나 육대의 신화 같은 이야기는 물론이고 삼대의 가족이 사는 집도 드문 시대가 됐다. 아니 그보다 자녀는 한 명만 낳아 잘 기른다는 젊은 세대가 늘어나고, 더 심한 경우 아예 결혼을 기피하는 사람들도 흔하다. 국가서 지원한다고 해도 취업에서부터 주택, 교육 문제까지 엄두를 내지 못하기 때문이다. 어린 아이 울음소리가 끊긴 농촌 마을도 대다수라 하니 핵가족이라도 가질 수 있도록 획기적 조치가 절실하다. / 제공 : 안병화(前언론인, 한국어문한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