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승자박自繩自縛 - 자기의 줄로 자기 몸을 옭아 묶는다.
자승자박(自繩自縛) - 자기의 줄로 자기 몸을 옭아 묶는다.\xa0
스스로 자(自/0) 노끈 승(糸/13) 스스로 자(自/0) 얽을 박(糸/10)
\xa0
영리한 사람이 제 잘못을 덮으려다 걸려들 짓만 한다. 꾀를 내어 남을 속이려다 그 꾀에 도로 제가 피해를 입는 경우는 숱하다. 그만큼 속담과 성어가 많은 것은 어리석음을 깨치기 위해서일 것이다. 자기가 잘못하여 손해를 입는 ‘제가 제 뺨을 친다’거나 자신을 망치는 ‘제가 제 무덤을 판다’는 속담이 가장 많이 쓰인다.
\xa0
‘하늘을 쳐다보고 침을 뱉으면 자기 얼굴을 더럽힐 뿐이다(仰天而唾 徒汚其面/ 앙천이타 도오기면)’는 비유는 丁若鏞(정약용)의 耳談續纂(이담속찬)에 나오는 속담의 한역이다. 자기가 꼬아 만든 밧줄(自繩)로 자기 몸을 옭아 묶는다(自縛)는 말은 더 쉽게 비유했다.
\xa0
이 말이 後漢(후한) 역사가 班固(반고)의 ‘漢書(한서)’에 처음 나올 때는 自縛(자박)으로 되어 있고 뜻도 약간 다르다. 항복이나 사죄의 의미로 상의의 어깨를 드러내는 肉袒(육단)과 같이 썼다. 遊俠傳(유협전)에 나오는 原涉(원섭)이란 사람의 이야기다. 어느 때 원섭의 노비가 시장 바닥에서 푸줏간 주인과 말다툼을 하다 살인을 하게 됐다.
\xa0
茂陵(무릉) 지역의 태수 尹公(윤공)이 그 주인을 잡아 죄를 물으려 했다. 이에 같이 어울리던 협객들이 원섭에게 부덕한 탓으로 종이 법을 어겼다며 제안한다. ‘그에게 웃옷을 벗기고 스스로 옭아 묶어(使肉袒自縛/ 사육단자박), 화살로 귀를 뚫고 끌고 가 사죄하게 하자(箭貫耳 詣廷門謝罪/ 전관이 예정문사죄).’ 태수가 이를 받아들여 원섭의 위엄도 살렸다.
\xa0
원섭이 자기 집 종의 잘못으로 궁지에 몰리긴 했지만 그것을 인정하고 반성하며 관용을 구한 것이 더 강조되었다. 웃옷을 벗은 채 가시나무 회초리를 등에 지고 용서를 구한 肉袒負荊(육단부형)과 가깝다. 여기에 자기가 엮은 노끈이 더해지면서 자기가 한 말과 행동에 자신이 구속되어 어려움을 겪는다는 뜻으로 변했다.
\xa0
조선 전기 탁월한 문장가 金時習(김시습)의 시구에 자탄하면서 이 말을 사용한 것이 있다. ‘머리 가에 세월이 새마냥 지나가니(頭邊歲月一鳥過/ 두변세월일조과), 제 몸 제가 얽은 누에나방과 같은 신세(自繩自縛如蠶蛾/ 자승자박여잠아).’ 신세한탄을 넘어 法家(법가)를 대표 商鞅(상앙)이 자기가 만든 법에 의해 죽음을 맞게 되는 作法自斃(작법자폐)는 제 눈을 찌른 결과다.
\xa0
자기가 한 행위는 그대로 결과로 돌아온다. 콩 심은데 콩 나는 種豆得豆(종두득두)는 물론 종교에서 더 심오하게 깨우친다. 자신의 소행으로 미래에 선악의 결과를 가져오게 하는 것이 불교서 말하는 業(업)인데 여기서 自業自得(자업자득)이 나왔다.
\xa0
지혜의 왕 솔로몬(Solomon)은 箴言(잠언)에서 꾸짖는다. ‘네 입의 말로 네가 얽혔으며 네 입의 말로 인하여 잡히게 되었느니라.’ 이런 가르침에도 자신은 예외라 생각하는지 이전에 한 말로 책잡히고, 제가 한 행동에 의해 꼼짝달싹 못하는 일이 잦다. 이런 사람일수록 기막힌 변명으로 속을 더 뒤집는다. / 제공 : 안병화(언론인, 한국어문한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