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자화자찬自畵自讚 - 자기 그림을 스스로 칭찬하다.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자화자찬自畵自讚 - 자기 그림을 스스로 칭찬하다.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4년 3월 4일 월요일

자화자찬自畵自讚 - 자기 그림을 스스로 칭찬하다.

자화자찬自畵自讚 - 자기 그림을 스스로 칭찬하다.

자화자찬(自畵自讚) - 자기 그림을 스스로 칭찬하다.

스스로 자(自/0) 그림 화(田/8) 스스로 자(自/0) 기릴 찬(言/19)

글자 그대로 자기가 그린 그림을 잘 그렸다고 자랑을 한다는 이 성어는 좀 간지럽다. 요즈음이 자신의 능력을 끊임없이 알리지 않으면 아무도 알아주지 않는 시대라고 해도 그렇다. 전문적인 실력을 가진 사람은 내세우지 않아도 드러나게 마련이다.

이 분야엔 최고라고 자신을 내세우는 사람은 과장이 있고 거짓이 있기 쉽다. 自畵自讚이 심한 사람은 불안하고 여린 마음을 감추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하는 사람도 있다. 自讚(자찬), 自畵讚(자화찬)이라 줄여 쓰기도 한다.

이처럼 역겨움을 경계하여 많이 사용되는 성어의 출처는 막상 모호하다. 스스로 대단하다고 여겨 우쭐댄다는 沾沾自喜(접접자희), 자신을 뽐낸다는 自我夸耀(자아과요)라는 말이 보인다. 沾은 경박할 접 또는 젖을 첨, 夸는 자랑할 과. 또 중국의 격언에 ‘하늘도 스스로는 높다고 말하지 않으며 땅도 스스로 넓다고는 말하지 않는다(天不言自高 地不言自原/ 천불언자고 지불언자원)’는 말이나 ‘스스로 크다고 말하는 사람에게는 추한 냄새가 풍긴다(自大則臭/ 자대즉취)’라면서 자기 자랑을 하지 말라는 교훈을 주는 말이 있다.

국내에선 自畵自讚에 꼭 들어맞는 그림과 글이 있다. 조선 후기의 문인이자 시서화 모두 뛰어났던 豹庵(표암) 姜世晃(강세황)의 1782년 작 초상화인데 윗부분에 직접 쓴 撰文(찬문)이 있다. 글의 앞뒤 부분만 인용하면 이렇다. ‘彼何人斯鬚眉晧白 項烏帽披野服於以.. 胸藏二酉筆搖五嶽.. 翁年七十翁號露竹 其眞自寫其贊自作(피하인사수미호백 항오모피야복어이.. 흉장이유필요오악.. 옹년칠십옹호노죽 기진자사기찬자작/ 저 사람은 누구일까? 눈썹 수염 하얗구나, 오사모를 쓰고서 야복을 걸쳤다네, 가슴속엔 기이한 책 간직해두고 붓으로는 오악을 뒤흔드누나, 옹의 나이 칠십이요 옹의 호는 노죽이다, 그 초상은 직접 그리고, 찬도 직접 지었다네). <정민 한양대교수 역>’ 70노인의 관모를 쓰고 야복을 입은 모습으로 마음은 항상 초야에 있는 것이라고 자부했다 한다. / 제공 : 안병화 前언론인, 한국어문한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