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천지지지 자지아지天知地知 子知我知 - 하늘이 알고 땅이 알고 너와 내가 안다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천지지지 자지아지天知地知 子知我知 - 하늘이 알고 땅이 알고 너와 내가 안다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4년 3월 19일 화요일

천지지지 자지아지天知地知 子知我知 - 하늘이 알고 땅이 알고 너와 내가 안다, 세상에 비밀

천지지지 자지아지天知地知 子知我知 - 하늘이 알고 땅이 알고 너와 내가 안다, 세상에 비밀은 없다

천지지지 자지아지(天知地知 子知我知) - 하늘이 알고 땅이 알고 너와 내가 안다, 세상에 비밀은 없다

\xa0

하늘 천(大/1) 알 지(矢/3) 따 지(土/3) 알 지(矢/3) 아들 자(子/0) 알 지(矢/3) 나 아(戈/3) 알 지(矢/3)

\xa0

아무리 비밀스럽게 주고받은 말이라도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널리 퍼진다. 떳떳한 말은 널리 알릴 텐데 주변에 모르게 숨긴다면 바르지 못한 일, 뇌물거래나 남을 해치는 모의이기 쉽다. 아무도 듣지 않는 곳이라 해도 말조심해야 한다고 많은 속담에서 주의시킨다.

\xa0

‘벽에도 귀가 달렸다‘는 牆有耳(장유이)라는 고사와 똑 같고 ’낮말은 새가 듣고 밤말은 쥐가 듣는다‘는 晝語鳥聽 夜語鼠聽(주어조청 야어서청)이라 한역됐다. 이보다 더 강조한 말이 있다. 하늘이 알고 땅이 알고(天知地知) 그대가 알고 또한 내가 안다(子知我知)고 모르는 사람이 없다는 이 말은 바로 넷이 안다는 四知(사지)의 주인공 楊震(양진)에서 나왔다.

\xa0

양진은 중국 後漢(후한)의 학식과 덕망이 뛰어난데다 특히 경전에 밝아 關西孔子(관서공자)로 불렸다. 그보다 더 청렴결백의 대명사로 이름났다. 나이 쉰에 천거되어 지방관을 지낼 때 王密(왕밀)을 천거하여 현령으로 근무하는데 도움을 줬다.

\xa0

양진이 東萊(동래)지역의 태수로 부임하는 길에 왕밀이 현령으로 있는 곳에서 머물게 됐다. 조금이라도 은혜를 갚으려 왕밀이 양진의 숙소를 찾았다. 황금 열 근을 내놓으며 한밤이라 아무도 모르니 받아 주십사 했다. 양진이 꾸짖었다. ‘하늘이 알고 신이 알고, 그대가 알고 내가 아는데, 어찌 아는 사람이 없다고 하는가(天知神知 子知我知 何謂無知/ 천지신지 자지아지 하위무지)?’

\xa0

范曄(범엽)이 지은 ‘후한서(後漢書)’에는 양진의 선조와 후손까지 곧았다는 이야기를 전한다. 부친 楊寶(양보)는 꾀꼬리를 치료해줘 西王母(서왕모)의 반지를 받은 黃雀銜環(황작함환)의 주인공이다. 양보의 후손들은 고귀한 삼공의 자리에까지 오를 것이라는 사자의 말대로 양진은 震畏四知(진외사지)를 지켜 꼿꼿하게 처신했다.

\xa0

주위에서 재산을 모아 후손에 남기라는 얘기를 듣고 청백리의 자손이란 말보다 더 좋은 재산이 없다고 했다. 과연 둘째 아들 楊秉(양병)은 술과 색, 재물에 현혹되지 않는 秉去三惑(병거삼혹)의 고사를 남겼다. 손자 楊賜(양사), 증손자 楊彪(양표)도 모두 청렴한 고위직을 지내 선조의 뜻을 이었다.

\xa0

우리나라도 淸白吏(청백리)로 칭송받는 사람이 216명이나 전한다. 하지만 그 전통이 잘 이어진다고 말할 사람은 없다. 규모가 작아졌을지 몰라도 편법이나 불법으로 재산을 불린 공직자는 고위직 청문회 때마다 눈살을 찌푸리게 한다.

\xa0

금언과 명구가 많이 나오는 ‘明心寶鑑(명심보감)’의 경구는 아무도 보거나 듣지 않는다고 해도 양심에 어긋나는 일을 해서는 안 된다고 가르친다. ‘귀신의 눈은 번개와 같고, 하늘이 듣는 것은 우레와 같다(神目如電 天聽如雷/ 신목여전 천청여뢰).’ / 제공 : 안병화(전언론인, 한국어문한자회)

2024년 3월 18일 월요일

천지지지 자지아지天知地知 子知我知 - 하늘이 알고 땅이 알고 너와 내가 안다, 세상에 비밀

천지지지 자지아지天知地知 子知我知 - 하늘이 알고 땅이 알고 너와 내가 안다, 세상에 비밀은 없다

천지지지 자지아지(天知地知 子知我知) - 하늘이 알고 땅이 알고 너와 내가 안다, 세상에 비밀은 없다

\xa0

하늘 천(大/1) 알 지(矢/3) 따 지(土/3) 알 지(矢/3) 아들 자(子/0) 알 지(矢/3) 나 아(戈/3) 알 지(矢/3)

\xa0

아무리 비밀스럽게 주고받은 말이라도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널리 퍼진다. 떳떳한 말은 널리 알릴 텐데 주변에 모르게 숨긴다면 바르지 못한 일, 뇌물거래나 남을 해치는 모의이기 쉽다. 아무도 듣지 않는 곳이라 해도 말조심해야 한다고 많은 속담에서 주의시킨다.

\xa0

‘벽에도 귀가 달렸다‘는 牆有耳(장유이)라는 고사와 똑 같고 ’낮말은 새가 듣고 밤말은 쥐가 듣는다‘는 晝語鳥聽 夜語鼠聽(주어조청 야어서청)이라 한역됐다. 이보다 더 강조한 말이 있다. 하늘이 알고 땅이 알고(天知地知) 그대가 알고 또한 내가 안다(子知我知)고 모르는 사람이 없다는 이 말은 바로 넷이 안다는 四知(사지)의 주인공 楊震(양진)에서 나왔다.

\xa0

양진은 중국 後漢(후한)의 학식과 덕망이 뛰어난데다 특히 경전에 밝아 關西孔子(관서공자)로 불렸다. 그보다 더 청렴결백의 대명사로 이름났다. 나이 쉰에 천거되어 지방관을 지낼 때 王密(왕밀)을 천거하여 현령으로 근무하는데 도움을 줬다.

\xa0

양진이 東萊(동래)지역의 태수로 부임하는 길에 왕밀이 현령으로 있는 곳에서 머물게 됐다. 조금이라도 은혜를 갚으려 왕밀이 양진의 숙소를 찾았다. 황금 열 근을 내놓으며 한밤이라 아무도 모르니 받아 주십사 했다. 양진이 꾸짖었다. ‘하늘이 알고 신이 알고, 그대가 알고 내가 아는데, 어찌 아는 사람이 없다고 하는가(天知神知 子知我知 何謂無知/ 천지신지 자지아지 하위무지)?’

\xa0

范曄(범엽)이 지은 ‘후한서(後漢書)’에는 양진의 선조와 후손까지 곧았다는 이야기를 전한다. 부친 楊寶(양보)는 꾀꼬리를 치료해줘 西王母(서왕모)의 반지를 받은 黃雀銜環(황작함환)의 주인공이다. 양보의 후손들은 고귀한 삼공의 자리에까지 오를 것이라는 사자의 말대로 양진은 震畏四知(진외사지)를 지켜 꼿꼿하게 처신했다.

\xa0

주위에서 재산을 모아 후손에 남기라는 얘기를 듣고 청백리의 자손이란 말보다 더 좋은 재산이 없다고 했다. 과연 둘째 아들 楊秉(양병)은 술과 색, 재물에 현혹되지 않는 秉去三惑(병거삼혹)의 고사를 남겼다. 손자 楊賜(양사), 증손자 楊彪(양표)도 모두 청렴한 고위직을 지내 선조의 뜻을 이었다.

\xa0

우리나라도 淸白吏(청백리)로 칭송받는 사람이 216명이나 전한다. 하지만 그 전통이 잘 이어진다고 말할 사람은 없다. 규모가 작아졌을지 몰라도 편법이나 불법으로 재산을 불린 공직자는 고위직 청문회 때마다 눈살을 찌푸리게 한다.

\xa0

금언과 명구가 많이 나오는 ‘明心寶鑑(명심보감)’의 경구는 아무도 보거나 듣지 않는다고 해도 양심에 어긋나는 일을 해서는 안 된다고 가르친다. ‘귀신의 눈은 번개와 같고, 하늘이 듣는 것은 우레와 같다(神目如電 天聽如雷/ 신목여전 천청여뢰).’ / 제공 : 안병화(전언론인, 한국어문한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