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이불문聽而不聞 - 들어도 들리지 않음, 관심을 두지 않음
청이불문(聽而不聞) - 들어도 들리지 않음, 관심을 두지 않음
들을 청(耳/16) 말이을 이(而/0) 아닐 불(一/3) 들을 문(耳/8)
예부터 말하는 것은 줄이고 귀담아 듣는 것을 늘리라 했다. 모든 재앙은 말하는 데서 나온다고 口禍之門(구화지문), 禍生於口(화생어구)란 말이 전한다. 물론 말할 때와 침묵할 때를 잘 분간해야 한다는 어려운 성어 語嘿囋噤(어묵찬금, 嘿은 고요할 묵, 囋은 기릴 찬, 噤은 입다물 금)도 있지만, 듣는 것은 하나같이 귀담아 들으라고 했다. ‘팔십 노인도 세 살 먹은 아이한테 배울 것이 있다’, ‘부모 말을 들으면 자다가도 떡이 생긴다’는 우리 속담이 그렇다. 귀를 씻고 남의 말을 경청한다는 洗耳恭聽(세이공청), 여러 사람의 의견을 들으면 현명해진다는 兼聽則明(겸청즉명)의 교훈도 있다.
들어도(聽而) 들리지 않는(不聞) 상태는 어떤 경우일까. 한번만 들어도 척 알아들었거나 듣지 않아도 무슨 말인지 알아챌 수 있다면 더 바랄 것이 없다. 孔子(공자)는 예가 아니면 듣지도 말하지도 말라(非禮勿聽 非禮勿言/ 비례물청 비례물언)고 했지만 그것도 아니다. 유가의 四書(사서) 가운데 분량은 가장 적지만 내용은 간단하지 않은 ‘大學(대학)’에 성어가 실려 있다. 전7장의 내용을 보자. ‘마음이 그 일에 있지 않으면 보아도 보이지 않고, 들어도 들리지 않으며, 먹어도 그 맛을 알지 못한다(心不在焉 視而不見 聽而不聞 食而不知其味/ 심부재언 시이불견 청이불문 식이부지기미).’ 보거나 듣거나 먹는 것까지 그것에 마음을 두지 않으면 헛일이란 이야기는 자신의 덕을 닦는데 있어 자신의 마음을 바르게 잡는 것이 가장 중요한 첫걸음이란 것이다.
중국 齊(제)나라의 명재상 管仲(관중)은 ‘管子(관자)’에서 명군이 되기 위해서는 현명한 신하를 두어야 한다며 이 말을 썼다. ‘비록 현명한 군주라도 백보 밖의 소리는 들으려고 해도 들을 수가 없고, 담장 너머로는 보려고 해도 볼 수가 없다(雖有名君 百步之外 聽而不聞 閒之堵牆 窺而不見/ 수유명군 백보지외 청이불문 한지도장 규이불견).’ 君臣(군신) 상편에 있는 이 말은 훌륭한 지도자는 직접 듣지 못하더라도 세상의 의견을 바로 들려주는 강직한 사람을 두어야 잘 다스릴 수가 있다는 이야기다.
남의 이야기를 집중하여 듣지 않고 듣는 둥 마는 둥 하거나, 상대가 말을 하든 말든 관심을 나타내지 않으면 소통할 수가 없다. 정치인이나 한 조직의 지도자가 자기 이야기만 하는 것은 물론 꼴불견인데 아랫사람의 말을 듣는 것까지 대충 한다면 윗사람의 자격이 없다. 또 한 가지 현명해진다고 여러 사람의 의견을 들으면서 일부에 치우쳐 믿으면 되레 어리석어지니(偏信則暗/ 편신즉암) 주의할 일이다./ 제공 : 안병화(前언론인, 한국어문한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