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추풍과이秋風過耳 - 가을바람이 귀를 스쳐 지나가다. 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추풍과이秋風過耳 - 가을바람이 귀를 스쳐 지나가다. 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4년 3월 20일 수요일

추풍과이秋風過耳 - 가을바람이 귀를 스쳐 지나가다. 

추풍과이秋風過耳 - 가을바람이 귀를 스쳐 지나가다. 

추풍과이(秋風過耳) - 가을바람이 귀를 스쳐 지나가다.\xa0

가을 추(禾/4) 바람 풍(風/0) 지날 과(辶/9) 귀 이(耳/0)

\xa0

아무리 이렇게 저렇게 해야 한다고 말을 해도 도무지 관심을 보이지 않거나 알아듣지 못한다. 이럴 경우 가장 알려진 말이 唐宋(당송)의 시인 李白(이백)과 蘇軾(소식)의 시구에서 유래한 馬耳東風(마이동풍)이다.

\xa0

우리 속담 ‘쇠귀에 경 읽기’도 적절한 비유다. 소의 귀에 대고 경을 읽어 봐야 단 한 마디도 알아듣지 못할 것은 뻔하다. 가을바람(秋風)이 귀를 스쳐 지나가봐야(過耳) 무엇이 지나갔는지 모르쇠로 일관한다는 것이 이 성어로 똑 같은 뜻이다.

\xa0

작금에 일어난 일 중 국회에서 통과시킨, 또는 뭉개버린 법안을 보면 의원들의 뻔뻔한 행위가 바로 秋風過耳를 연상시킨다. 국회의원 등 정치인들은 처벌을 피할 수 있다는 예외 조항 삽입 등 그 동안 누누이 각계서 지적한 독소조항이 그대로다. 도무지 귀담아 들으려 하지 않고 자기 이익 따라 제 갈 길만 간다.

\xa0

그런데 이 성어를 마이웨이 의원들에 비유한 것이 죄스러울 정도로 처음 사용됐을 때는 왕위까지 양보하는 정말 사심을 버렸을 때를 가리켰다. 漢(한)나라 趙曄(조엽, 曄은 빛날 엽)이 쓴 ‘吳越春秋(오월춘추)’에 나오는 이야기다.

\xa0

남방의 오와 월 두 인접 국가가 서로 경쟁하며 패권을 차지하기까지 흥망성쇠를 그린 책이다. 오왕 壽夢(수몽)에게는 네 아들이 있었는데 그 중 막내 季札(계찰)이 인품이 훌륭하고 재능도 뛰어났다. 신의를 중시한다는 성어 季札掛劍(계찰괘검)의 주인공이기도 하다.

\xa0

왕이 병들었을 때 형제들을 불러 놓고 장자에 계승되는 왕위를 계찰에게 물려주면 좋겠다고 했다. 형들도 찬성했지만 정작 본인이 완강하게 사양했다. 할 수 없이 장자가 오르고 셋째까지 계승한 뒤 다시 물려주려 하자 계찰이 말했다.

\xa0

‘부귀영화란 저에게는 가을바람이 귓가를 스쳐 지나가는 것과 같아서(富貴之于我 如秋風之過耳/ 부귀지우아 여추풍지과이) 아무런 미련이 없습니다.’ 나타내는 뜻이 天壤之差(천양지차)다 / 제공 : 안병화(전언론인, 한국어문한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