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토영삼굴ㅣ兎營三窟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토영삼굴ㅣ兎營三窟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5년 11월 7일 금요일

토영삼굴ㅣ兎營三窟

토영삼굴ㅣ兎營三窟

토영삼굴ㅣ兎營三窟

○ 토끼가 세 개의 굴을 파다, 안전을 위해 대비하다.

○ 兎(토끼 토) 營(지을 영) 三(석 삼) 窟굴 굴

토끼가 危難(위난)을 피하기 위해 세 개의 굴을 파 놓는다. 자기의 안전을 위해 미리 몇 가지 방책을 짜 놓음. 토끼가 위기에서 벗어나기 위해 세 개의 굴을 파 놓는다는 이 성어는 자신의 안전을 위해 미리 대비책을 짜놓는 현명함도 지녔다. 狡兎三窟(교토삼굴), 狡兎三穴(교토삼혈)이라 해도 같다.

戰國四公子(전국사공자)는 戰國時代(전국시대, 기원전 403년~221년) 말기 각 제후국에서 빈객들을 수천 명씩 거느리고 세력을 떨쳤다. 유명한 齊(제)나라의 孟嘗君(맹상군)을 비롯하여 趙(조)의 平原君(평원군), 魏(위)의 信陵君(신릉군), 楚(초)의 春申君(춘신군)이 그들이다. 닭소리 내는 사람이나 개 도둑도 받아 鷄鳴狗盜(계명구도)의 성어로 유명한 맹상군은 거지 출신의 馮驩(풍환, 驩은 기뻐할 환)도 들였다. 무위도식하는 그가 음식이나 탈것 등에 불만을 늘어놓아도 맹상군은 군말 없이 받아들였다.

맹상군은 薛(설) 지역 사람들에게 돈을 빌려주고 이자를 받아 식객을 거두었는데 때가 되어 풍환에게 해결하라고 했다. 그는 가서 채무자들을 모아놓고 주인이 면제해 준다며 차용증을 태웠다. 그리고선 돌아와 태연히 돈 대신 은혜와 의리를 갖고 왔다고 했다. 맹상군이 재상에서 밀려나자 다른 식객들은 모두 떠났으나 풍환은 설 지역으로 모셔 그곳서 대대적 환영을 받았다. 맹상군이 고마워하자 풍환은 말했다. ‘토끼는 빨라도 굴 세 개는 있어야 비로소 죽음을 면할 수 있습니다(狡兎有三窟 僅得免其死耳/ 교토유삼굴 근득면기사이).’ 풍환은 이후에도 맹상군을 복위시키고, 설 땅에 종묘를 마련하여 평안한 만년을 보내게 했다. ‘戰國策(전국책)’과 ‘史記(사기)’에 실려 전하는 이야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