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편안하고 걱정 없는 생활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편안하고 걱정 없는 생활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4년 3월 17일 일요일

난의포식暖衣飽食 - 따뜻하게 옷 입고 배부르게 밥 먹다, 편안하고 걱정 없는 생활

난의포식暖衣飽食 - 따뜻하게 옷 입고 배부르게 밥 먹다, 편안하고 걱정 없는 생활

난의포식(暖衣飽食) - 따뜻하게 옷 입고 배부르게 밥 먹다, 편안하고 걱정 없는 생활

\xa0

따뜻할 난(日/9) 옷 의(衣/0) 배부를 포(食/5) 밥 식(食/0)

\xa0

사람이 衣食住(의식주)가 기본이니 비바람을 가릴만하면 먹고 입어야 살아간다. ‘등이 따스우면 배부르다’는 속담대로 옷을 잘 입고, 잘 먹어 배부르면 별로 부러울 것이 없다. 비단 옷에 흰 쌀밥, 錦衣玉食(금의옥식)의 사치만 아니면 같은 처지일 때 좋은 옷을 입고 맛있는 음식을 원하는 好衣好食(호의호식)은 모두 원한다.

\xa0

생존에 필수인 食(식)이 해결되면 사회생활을 위해 옷이 필요하다. 옷이 날개이고 옷이 사람을 만든다고 할 정도이니 중요성을 알겠다. 옷을 따뜻이 입고(暖衣) 밥을 배부르게 먹는다는(飽食) 이 말도 백성의 가장 기본을 중시하라는 ‘孟子(맹자)’에서 유래했다.

\xa0

중국 春秋時代(춘추시대)의 제후국 滕(등, 滕은 물솟을 등)나라의 文公(문공)이 맹자에게 가르침을 구하며 주고받은 이야기가 滕文公(등문공) 상편에 등장한다. 당시 諸子百家(제자백가) 중에서 농경에 힘써 의식을 충족해야 한다는 農家(농가)의 대표 許行(허행)이란 사람이 문공의 호의로 등나라에 살고 있었다.

\xa0

허행은 자기가 짠 거친 옷을 입고, 손수 경작한 곡식으로 살아갔는데 그것을 본받으려 제자들이 모여들었다. 그 중 陳相(진상)이라는 사람이 맹자를 찾아와 등나라의 창고에 가득한 곡식과 재물은 백성을 괴롭혀 뺏은 것이니 임금도 직접 농사를 지어 먹어야 하지 않겠느냐고 물었다.

\xa0

맹자는 진상의 스승 허행이 농기구와 그릇은 직접 만든 것이 아니고 농산물과 物物交換(물물교환)한 것임을 확인한 뒤 이유를 되물었다. 그러자 진상은 농사짓는 일과 기구 만드는 일을 동시에 할 수 없었기 때문이라 답했다.

\xa0

맹자가 천하를 다스리는 일은 더욱 농사와 동시에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면서 ‘마음을 수고롭게 하는 자는 남을 다스리고(勞心者治人/ 노심자치인), 몸을 수고롭게 하는 자는 다스림을 받는다(勞力者治於人/ 노력자치어인)’고 했다. 그러면서 옛날 禹王(우왕)의 치수와 后稷(후직)의 농사짓는 법을 가르쳐 내려왔기에 백성들이 ‘배불리 먹고 따뜻하게 입고 편안하게 살 수 있었다(飽食煖衣逸居/ 포식난의일거)’고 예를 들었다.

\xa0

모두가 원하는 등 따습고 배부른 생활을 이루기 위해서는 각기 맡은 바 생업에 열심히 할 필요가 있다. 모든 일을 다 할 수 없어 분야에 따라 잘 하는 사람이 맡는 분업이 필요하다. 맹자는 물론 땀 흘리지 않는 사람의 무위도식을 높이는 것이 아니다.

\xa0

겉으로 보기에 놀고먹는 것 같이 보여도 우왕이나 후직처럼 다른 사람이 더 잘 살게 힘을 쓴다는 것이다. 하지만 상류층이 물려받은 유산으로, 또는 부당한 방식으로 가로채서 재산을 긁어모았다고 여기는 사람이 많아질수록 땀 흘리지 않는 계층은 손가락질 당할 수밖에 없다. / 제공 : 안병화(전언론인, 한국어문한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