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헤이그 특사 1편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헤이그 특사 1편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4년 3월 20일 수요일

헤이그 특사 1편

■ 헤이그 특사 1편

■ 헤이그 특사 1편

1905년 일본 제국주의는 서유럽 제국주의 열강으로부터 한국의 보호국화를 승인받은 뒤 강제로 을사늑약(을사보호조약이라고 하는 것은 잘못된 표현임)을 체결하여 한국의 외교권을 박탈했다. 이에 대해 고종은 헐버트를 통해 "을사조약은 병기(兵器)로 위협하여 늑정(勒定)했기에 전혀 무효하다."는 내용의 급전(急傳)을 미국 정부에 전달했으나, 미국은 반응이 없었다. 또한 고종은 서울의 각국 공사들을 상대로 조약의 부당성을 호소했으나 역시 아무런 성과가 없었다.

이후 1907년 1월 16일 고종은 영국인 베델이 경영하는 〈대한매일신보〉에 미국·프랑스·독일·러시아 원수에게 보내는 서한을 발표했으나, 박제순(朴齊純) 친일내각이 21일 이를 위조라고 공표했다. 이에 고종은 같은 해 6월 헤이그에서 열리는 제2차 만국평화회의에 마지막 기대를 걸었다. 러일전쟁 이후의 일제의 침략상과 을사늑약의 부당성을 폭로함으로써 열강의 동정과 후원을 얻어 국권을 회복하고자 함이었다. 만국평화회의는 러시아 황제 니콜라스 2세의 주창으로 열리는 회의로 40여 개 국의 대표 225명이 참석하기로 되어 있었다. 주로 중재재판, 육·해전 법규 등을 논의하지만, 사실상은 열강 간의 식민지 쟁탈전에 따른 분규(紛糾)를 해결하기 위한 국제법 회의였다.

1907년 3월24일 밤, 극비리에 덕수궁(당시 경운궁) 중명전(重明殿)에서 황제를 배알한 이준은 1907년 4월22일 일제의 감시 때문에 부인에게조차 사실을 얘기하지 못하고 몰래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로 떠났다. 러시아에 도착한 이준은 동지 이상설을 만났다. 이상설과 이준은 시베리아 기차에 몸을 싣고, 당시 러시아의 수도인 상트페테르브르크로 향했다. 그곳에서 전 러시아 공사인 이범진을 만나게 된다.

을사늑약 후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박탈한 일본은 외국에 있는 모든 한국 공사(公使)를 폐쇄해 버렸다. 그러나 러시아 공사(公使) 이범진은 일본의 지시를 따르지 않고 계속 러시아에 남아 있었다. 그 자리에서 이범진은 아들 이휘종을 그들에게 소개시켰다. 이휘종은 공사관인 아버지를 따라 외국에서 생활해 온 덕분에 러시아와 불어, 영어까지 능통했다. 국제적인 시각을 갖춘 젊고 뛰어난 인재였다. 또한 이상설은 을사늑약이 강제로 체결될 때 모든 상황을 직접 목격한 인물이었고, 이준은 법률가로 국제법적 관점에서 을사늑약의 법적인 부당함을 잘 파악하고 있었다.

네덜란드 헤이그로 떠나기 전 특사 일행은 러시아 황제 니콜라스 2세를 만나 도움을 요청하기 위해서 러시아에서 며칠을 더 보냈다. 그러나 불행히도 그들은 황제를 만나지 못했다. 이전까지만 해도 일본을 견제하기 위해 조선의 독립을 지지하던 러시아는 러일전쟁에서 패한 이후 더 이상 일본과의 마찰을 원하지 않았고, 그 결과 일본이 원하는 한국을 자동적으로 포기하게 되었다. 밀사(密使)들은 결국 황제를 대면하지 못한 채 고종 황제의 친서(親書)만을 전달하고 바로 네덜란드 헤이그로 떠났다.

- 2편에 계속

♣ 제공 : KIMSEM의 ‘역사로 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