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병충기畵餠充饑 - 그림의 떡으로 허기를 채우다.
화병충기(畵餠充饑) - 그림의 떡으로 허기를 채우다.
그림 화(田/8) 떡 병(食/8) 채울 충(儿/4) 주릴 기(食/12)
\xa0
그림에 그려진 떡이라는 아주 쉬운 비유로 우리 속담에 ‘보고 못 먹는 것은 그림의 떡’이란 것이 있다. 아무 실속이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그 말을 그대로 한역한 듯한 畵中之餠(화중지병)이란 성어도 있다. 하지만 이 말은 비유는 같지만 속담성어는 아닌 듯하다.
\xa0
그림의 떡으로 굶주림을 채운다는 畵餠充饑의 고사가 있기 때문이다. 배가 고프지만 그림 속에 있는 떡으로 허기가 채워질 수가 없으므로 실제 도움이 안 되거나 허황된 상상으로 자신을 위안한다는 것을 뜻했다.
\xa0
陳壽(진수)의 정사 ‘三國志(삼국지)’중 魏書(위서)의 盧毓傳(노육전, 毓은 키울 육)에 실린 이야기다. 曹操(조조)의 손자인 曹睿(조예)가 즉위하여 魏(위)나라 2대 明帝(명제)가 됐다. 그에게는 총애하는 대신 노육이 있었는데 중랑장 盧植(노식)의 아들이었다.
\xa0
일찍 부친을 여의었지만 전란과 흉년에도 가정을 잘 지키고 몸가짐을 바로 해 높은 신망을 받았다. 명제도 그의 충성심을 인정하여 요직에 임명했다. 어느 날 왕은 노육을 불러 중서랑으로 쓸 만한 사람을 천거하라고 하면서 이렇게 덧붙였다.
\xa0
‘인재를 선발할 때는 명성만 보는 게 아니오. 명성이란 땅바닥에 그려 놓은 떡과 같은 것으로 먹지 못하는 것이오(選擧莫取有名 名如畵地作餠 不可啖也/ 선거막취유명 명여화지작병 불가담야).’ 啖은 씹을 담. 노육은 명성만을 믿고 인재인지를 판단할 수는 없으나 덕망으로 이름이 난 사람을 배척해서는 안 된다면서 고시를 통하여 발탁하는 제도를 갖추자고 건의했다.
\xa0
그렇게 해서 관리등용제도인 九品官人法(구품관인법)을 다시 시행하게 됐다고 한다. 왕이 아이디어를 주고 지혜로운 신하가 받들어 좋은 결과를 얻었는데 비유로 내세운 畵中之餠만 떼어내면 겉보기만 번지르르하고 실속을 못 채우는 성어가 된다. / 제공 : 안병화(언론인, 한국어문한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