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후궁後宮 1편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후궁後宮 1편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4년 3월 31일 일요일

후궁後宮 1편

■ 후궁後宮 1편

■ 후궁(後宮) 1편

후궁(後宮)은 ‘중국 천자(天子)가 거처하는 궁중의 전전(前殿) 뒤에 있는 깊숙한 부분’이라는 뜻으로 내궁(內宮), 내정(內庭), 후정(後庭)이라고도 한다. 후궁은 황제의 정처(正妻)인 황후 외의 여러 부인들을 지칭하는 말이고, 황제의 잠자리 시중을 들기 위해 존재했다. 고려시대에는 왕의 정처(正妻)는 왕후, 첩(婕)들은 부인이라 불렀다. 이들은 모두 품계 상 정1품이며, 원주, 궁주, 옹주 등의 칭호를 받았고, 귀비, 숙비, 덕비, 현비 등의 칭호로 구분되었다. 특히 옹주는 후궁뿐 아니라 왕의 딸이나 며느리를 칭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조선시대에는 왕의 첩을 모두 후궁이라 하였다.

조선시대에 후궁이 되는 방법은 대체로 두 가지가 있었다. 하나는 처음부터 중전이나 세자빈처럼 전국에 금혼령을 내리고 처녀들을 간택하여 예를 갖추어 후궁으로 들이는 경우(간택후궁)이다. 또 다른 하나는 궁녀로 입궁했다가 왕의 승은을 입고 봉작을 받아 후궁이 된 경우(승은후궁)이다. 전자는 주로 양반 명문가 출신이었고, 후자는 한미한 집안의 궁녀 출신이 대부분이었다. 간택후궁은 입궁 때부터 종2품 숙의 이상의 품계에 봉작되어 높은 대우를 받았다. 간택과 승은 외에도 권력자들의 진헌, 왕실 여성들의 추천 등 특별전형을 통해서 후궁이 되는 경우도 종종 있었다.

왕비는 양반 출신이었지만 후궁은 양반은 물론 중인, 노비, 과부까지 신분이 다양했다. 태종은 과부 2명을 후궁으로 삼았고, 철종의 후궁 12명은 모두 궁녀 출신이었다. 그러나 한두 번 왕의 승은을 입었다고 해서 모두가 후궁이 되는 것은 아니었다. 승은을 입고도 후궁 책봉을 받지 못하고 상궁에 머물거나 더 낮은 품계에 머문 궁녀들도 있었다. 후궁은 왕이 직접 선택하는 경우도 있었지만, 세자나 왕자의 첩으로 있다가 남편이 왕이 되면서 후궁으로 책봉된 경우도 있었다.

조선시대 후궁은 관직 체계에 포함되어 있었다. 이를 ‘내직(內職)’ 혹은 ‘내관(內官)’ ‘여관(女官)’이라 부르다가 <경국대전> 편찬 이후에는 ‘내명부(內命婦)’라고 하였다. 따라서 후궁은 정1품부터 종4품의 품계가 부여되는 공인이었고, 품계에 따른 지위와 명예, 재산이 주어졌다. 이들의 지위는 왕비에 비해 훨씬 낮았지만 왕의 총애를 독차지하는 경우에는 왕비 부럽지 않았다. 후궁의 지위는 왕의 총애와 왕실에 대한 공헌도, 즉 자식을 많이 낳는 것에 따라 달라질 수 있었다. 후궁 중에는 선조 대의 인빈 김씨, 광해군 대의 상궁 김개시, 숙종 대의 희빈 장씨, 숙빈 최씨같이 정치적으로 큰 영향력을 행사한 사람들도 있었다. 그러나 드라마틱한 신분상승의 기회가 그리 흔한 일은 아니었을 것이다. 왕세자 첩의 품계는 조금 낮은 종2품 양제부터 종3품 양원, 종4품 승휘, 종5품 소훈 등 4단계로 나뉘어 있었다.

- 2편에 계속

"

♣ 제공 : KIMSEM의 역사로 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