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생가외後生可畏 – 뒤에 오는 사람들은 두려워할 만하다.
후생가외(後生可畏) – 뒤에 오는 사람들은 두려워할 만하다.
뒤 후(彳/6) 날 생(生/0) 옳을 가(口/2) 두려워할 외(田/4)
뒤에 태어나거나 뒤에 배운 사람이 後生(후생)이다. 이미 배운 사람들보다 후진들을 두려워할 만하다(可畏)는 말은 새롭게 치고 올라오는 젊은 사람들이 학문을 닦음에 따라 큰 인물이 될 수 있으므로 무서워해야 한다는 뜻이다. 우리 속담 ‘나중 난 뿔이 우뚝하다’에서 나온 後生角高(후생각고)나, 뒤따라오던 사람이 윗자리를 차지한다는 後來居上(후래거상)도 같은 의미를 지녔다. 가장 많이 쓰는 靑出於藍(청출어람)도 있다. ‘쪽에서 뽑아낸 푸른 물감이 쪽보다 더 푸르다’는 뜻으로 가르친 제자가 학문이 우뚝하면 스승이 더 흐뭇해하기도 한다.
후진을 두려워해야 한다고 한 말이 처음 나온 곳은 ‘論語(논어)’에서다. 孔子(공자)는 자신의 학문을 정책으로 펼치기 위해 각국을 周遊(주유)했으나 실패하고 낙향해 후진 양성에 힘썼다. 후생들은 비록 지금은 미숙하지만 많은 가능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두려운 존재로 여겨야 한다고 공자는 생각했다. 子罕(자한, 罕은 드물 한)편에 실린 내용을 보자. ‘젊은이들을 두려워할 만하다. 어찌 뒤에 오는 사람이 지금의 우리들보다 못하리란 것을 알겠는가(後生可畏 焉知來者之不如今也/ 후생가외 언지래자지불여금야)?’ 젊은이들에겐 미래가 있고 가능성이 있어 노력이 있으면 얼마든지 발전한다는 뜻으로 썼다. 그러면서 공자는 뒤에 배우는 사람은 항상 배움에 정진해야 하고, 앞서 배운 사람은 학문에 겸손해야 한다고 일깨운다.
공자의 여러 제자 중에서 특히 재주와 덕을 지니고, 요절했지만 학문이 뛰어났던 顏回(안회)의 훌륭함을 가리켰다고 한다.
하지만 후생이라도 모두 다 두려워할 필요는 없다고 덧붙인다. ‘나이 40, 50세가 되어도 좋은 명성이 들리지 않으면 이런 사람은 두려워할 것 없다(四十五十而無聞焉 斯亦不足畏也已/ 사십오십이무문언 사역부족외야이).’ 외부에 흔들리지 않는 40이 不惑(불혹)이고, 하늘의 뜻을 아는 50을 知天命(지천명)이라 했으니 이 시기가 평가받을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시기라 본 셈이다.
후진을 존중해야 한다는 것은 무작정 두려워한다는 말이 아니라 그들의 가능성을 두고 발전을 기대해서이다. 처음부터 싹수가 노랗다고 기를 죽이지 않고 장점을 찾아 북돋우는 일이 먼저다. 또한 후배들도 무조건 나이 많은 선배를 배척만 해서는 그들의 지혜를 배울 수가 없다. 어디까지나 배움에 겸손이 앞서야 한다./ 제공 : 안병화(前언론인, 한국어문한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