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8월 16일 수요일

세계 4대 문명cradle of civilization

세계 4대 문명cradle of civilization

세계 4대 문명(cradle of civilization)

세계에서 가장 먼저 문명을 발달시킨 황하, 메소포타미아, 인더스, 이집트 등 4개의 문명을 지칭한다. 4대 문명의 발생지들은 모두 큰 강을 끼고 북반구에 위치하고 있으며, 대부분이 기후가 온화하고 기름진 토지를 지닌 지역들이라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메소포타미아 문명, 인더스 문명, 이집트 문명, 황하문명을 말한다. 4대 문명의 발생지들은 모두 큰 강을 끼고 북반구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대부분이 기후가 온화하고 기름진 토지를 지닌 지역들이다. 특히 황하, 티그리스-유프라테스강, 인더스강, 나일강 등 이들 지역이 4대 강을 끼고 있어 기후ㆍ교통ㆍ토지 등 고대 농업 발달에 유리하다는 점 때문에 문명 발생의 근거가 되고 있다.

○ 메소포타미아 문명

"

BC 6500년경 농경·목축이 시작된 메소포타미아 문명은 티그리스와 유프라테스의 두 강 유역에서 발달하였다. 메소포타미아는 두 강 사이의 땅이란 뜻으로 비옥한 반달 모양의 티그리스 강, 유프라테스 강 유역을 중심으로 번영하였다. 바빌로니아ㆍ아시리아 문명을 가리키나 넓게는 서남아시아 전체의 고대 문명을 지칭하는 경우도 있다. 지리적 요건 때문에 외부와의 교섭이 빈번하여 정치ㆍ문화적 색채가 복잡하였다. 폐쇄적인 이집트 문명과는 달리 두 강 유역은 항상 이민족의 침입이 잦았고, 국가의 흥망과 민족의 교체가 극심하였기 때문에 이 지역에 전개된 문화는 개방적, 능동적이었다.

",

○ 인더스 문명

인더스 문명은 BC 3000년 중엽부터 약 1000년 동안 인더스강 유역에서 청동기를 바탕으로 번영한 고대 문명이다. 대표적 유적은 당시의 2대 도시였던 하라파와 모헨조다로인데, 최초로 고고학적 조사를 받았던 하라파 유적의 이름을 따서 고고학적으로는 하라파 문화라고 부른다.

○ 이집트 문명

BC 3000년경의 이집트문명은 나일강 하류의 비옥한 토지에서 이루어졌다. 이집트는 지리적 위치가 폐쇄적이어서 메소포타미아 문명에 비하여 정치ㆍ문화적 색채가 단조롭다는 특징이 있다. 특히 사막과 바다로 둘러 싸여 있어서 외부의 침입 없이 2000년 동안 고유문화를 간직할 수 있었다. 이집트의 경우 나일강과 주변의 기름진 토양을 바탕으로 일찍 농경이 발달하였다. 해마다 겪게 되는 나일강의 범람은 상류의 비옥한 퇴적물을 운반하는 작용을 하였으므로, 나일강변은 풍요로운 땅이었다. 홍수는 규칙적으로 일어나서 미리 예측을 할 수 있었기 때문에 이집트인들은 농사의 시기를 조절할 수가 있었다. 이러한 범람 때문에 태양력, 기하학, 건축술, 천문학이 발달하였다.

○ 황하 문명

동아시아에서 가장 오래 문명을 형성한 황하문명은 중국 황하강 중ㆍ하류 지역에서 발생한 문명이다. BC 5000년~4000년경부터 신석기 문화가 이루어졌으며, 좁쌀ㆍ기장 등이 재배되고 개ㆍ돼지 등도 사육되었다. 황하강 유역의 신석기 문화는 양사오 문화와 그로부터 발생한 룽산 문화로 대별된다.

크라우드 펀딩crowd funding

크라우드 펀딩crowd funding

크라우드 펀딩(crowd funding)

"

대중을 뜻하는 크라우드(Crowd)와 자금 조달을 뜻하는 펀딩(Funding)을 조합한 용어로, 온라인 플랫폼을 이용해 다수의 대중으로부터 자금을 조달하는 방식을 말한다. 초기에는 트위터, 페이스북 같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적극 활용해 소셜 펀딩이라고 불리기도 했다.

",

○ 크라우드 펀딩의 종류

크라운드 펀딩은 그 종류에 따라 ▷후원형 ▷기부형 ▷대출형 ▷증권형 등 네 가지 형태로 나뉜다.

후원형은 대중의 후원으로 목표 금액을 달성하면 프로젝트가 성공하는 방식으로, 공연과 예술 분야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다. 기부형은 보상을 조건으로 하지 않고 순수한 기부 목적으로 지원하는 방식이다. 대출형은 개인과 개인 사이에서 이뤄지는 P2P 금융으로, 소액 대출을 통해 개인 혹은 개인사업자가 자금을 지원받고 만기에 원금과 이자를 다시 상환해 주는 방식이다. 증권형은 이윤 창출을 목적으로 비상장 주식이나 채권에 투자하는 형태로, 투자자는 주식이나 채권 등의 증권으로 보상을 제공받는다.

○ 크라우드 펀딩의 역사

세계 최초의 크라우드 펀딩은 2005년 영국에서 시작된 대출형 크라우드 펀딩 업체인 ZOPA.COM(조파닷컴)이며, 증권형 크라우드 펀딩은 2007년 영국의 크라우드큐브(crowdcube.com)가 최초다. 그러다 2008년 미국에서 최초의 기부형(후원형)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인 인디고고(Indiegogo)가 출현하면서, 크라우드 펀딩이란 용어가 일반화되기 시작했다.

"

우리나라에서는 크라우드 펀딩이 2011년 후원·기부·대출형을 시작으로 정착되기 시작했고, 2016년 1월에는 증권형 크라우드 펀딩이 도입됐다. 당시 도입된 증권형 크라우드 펀딩은 개인 투자자가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업체를 통해 중소·벤처기업에 연간 최대 500만 원(업체당 200만 원)을 투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후 2018년 4월에는 일반투자자의 크라우드 펀딩 투자한도가 2배로 확대되는 내용의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개정안이 국무회의를 통과했으며, 이에 따라 그해 4월 10일부터 일반투자자의 크라우드 펀딩 투자 한도가 종전 500만 원에서 1000만 원으로 확대된 바 있다.

"

신스틸러scene stealer

신스틸러scene stealer

신스틸러(scene stealer)

"

직역하면 장면을 훔치는 사람이란 뜻으로, 영화나 드라마에서 주연 못지않은 조연 연기자를 지칭하는 말로 쓰인다.

",

"

영화, 드라마 등에서 훌륭한 연기력이나 독특한 개성, 카리스마 등으로 주연 못지 않게 주목을 받은 조연을 신스틸러라고 한다. 직역하면 장면을 훔치는 사람이라는 뜻이다. 대표적인 충무로의 신스틸러 배우로는 김인권, 송새벽, 김상호, 고창석 등이 있다.

"

코스닥KOSDAQ

코스닥KOSDAQ

코스닥(KOSDAQ)

KOSDAQ = Korea Securities Dealers Automated Quotations

첨단벤처기업 중심 시장인 미국의 나스닥(Nasdaq)시장을 본떠 만든 것으로, 증권거래소 시장과는 다른 별도의 시장이다.

"

증권거래소와 같은 특정한 거래장소가 없고 컴퓨터와 통신망을 이용해 주식을 매매하는 전자거래 시장을 말한다. 중소기업의 자금조달창구를 마련하는 한편 일반투자자에게 새로운 투자수단을 제공하기 위해 1996년 7월 개설됐다. 코스닥시장은 증권거래소에 비해 규제가 덜한 편이며, 비교적 진입과 퇴출이 자유롭다. 또 미래에 높은 수익을 거둘 수 있지만 위험도 높다. 한마디로 고위험 고수익(high risk high return) 시장이라 할 수 있다.

",

코스닥시장에서 거래를 시작하려면 증권사에서 계좌를 개설해야 한다. 다만 기존 증권사 계좌(상장사매매용 계좌)가 있으면 별도의 계좌를 만들 필요가 없다. 상장 주식을 매매하는 것과 같이 주문표를 작성하거나 전화를 통해 매매할 수 있다. 매매거래시간은 오전 9시부터 오후 3시까지 단일장이며 점심시간은 따로 없다. 최소매매 수량단위는 1주이며, 신용거래도 가능하다.

○ 코스닥 지수

코스닥시장이 발표하는 주가지수에는 코스닥종합지수, 코스닥50, 벤처지수, 업종별 지수 등이 있으며 모두 시가총액식 지수이다.

"

코스닥종합지수는 코스닥시장에 등록된 전 종목을 구성종목으로 하는 것으로, 기준시점을 1996년 7월1일로 하고 기준지수를 100으로 하였으나, 2004년 1월 26일부터 기준지수가 1000으로 상향조정되었다.

",

"

코스닥50은 코스닥시장을 대표하는 50개 종목을 대상으로 산출하는 시가총액식 지수로 선물, 옵션 등 파생금융상품이나 벤치마크 기준지수로 활용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기준시점은 1999년 1월 3일이고, 기준지수는 100이다.

",

"

한편 코스닥증권시장은 2004년 1월 26일 30개의 우량 기업만으로 구성된 코스닥 스타지수를 공표했고, 코스닥50을 스타지수로 전면 대체키로 했으나 시행 여부는 불투명하다.

",

○ 코스닥시장 역사

"

정부는 1986년 7월 규모의 영세성 등으로 인하여 현실적으로 증권거래소 시장을 이용하기 어려운 중소기업 등이 증권시장에서 자금조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관점에서 중소기업 등의 주식거래 활성화를 위한 시장조직화 방안을 발표했다. 이후 1987년 4월 장외시장 조직화가 이루어졌으며, 1987년 4월 15일 (주)에어로시스템, 범양건영(주), 한국물산(주)의 3개 기업이 최초의 주권장외거래종목으로 등록되었다.

",

1991년 10월 고객과 증권회사 간, 증권회사 상호간 상대매매를 중개하기 위한 주식장외거래 중개기가 설치되었다. 1996년 5월에는 상대매매방식으로 이루어지던 낙후된 거래방식을 경쟁매매방식으로 전환하기 위하여 코스닥 시장을 운영할 (주)코스닥증권시장이 설립되었으며, 그해 7월 매매시스템이 가동되었다. (주)코스닥증권시장의 주주는 중소기업진흥공단, 한국증권금융(주), 한국증권업협회, 증권예탁원, 한국증권전산(주)과 주요 증권사들로 되어있다.

"

1997년 1월에는 코스닥시장 주가지수 발표가 발표되었는데, 이는 1996년 7월 1일을 기준지수 100으로 한 것이다. 이후 1998년 10월에 시장의 운영과 감독을 분리하여 시장의 공공성 및 효율성 제고하기위해 코스닥위원회가 신설됐다. 코스닥위원회는 코스닥 시장 업무에 관한 최고의사결정기구로 코스닥 시장의 등록심사, 취소, 규정의 제·개정에 관여한다.

",

"

한편, 1997년 말 외환위기 이후의 경기침체로 코스닥 시장은 위기를 맞이했으나, 이후 경기가 회복되고 등록 요건 완화 및 세제 혜택 제공 등을 주요 골자로 하는 정부의 제3차 코스닥 시장 활성화 방안(1999.5.4)의 발표로 코스닥 시장은 2000년 들어 급격한 성장을 이루게 된다.

"

콜키지 프리corkage free

콜키지 프리corkage free

콜키지 프리(corkage free)

손님이 식당에 와인을 사가지고 가면 레스토랑에서 무료로 잔을 제공하고 코르크를 개봉해 주는 서비스이다.

손님이 식당에 갈 때 보유하고 있는 와인을 직접 들고 가면 레스토랑에서 무료로 전용 잔을 내어주고 코르크를 개봉해주는 서비스를 말한다. 콜키지는 코르크 차지(Cork Charge)의 줄임말이다. 보통의 식당은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일정한 콜키지를 받지만 콜키지 프리 식당은 무료로 서비스를 즐길 수 있다.

리퍼비시Refurbish

리퍼비시Refurbish

리퍼비시(Refurbish)

리퍼비시 제품은 구매자의 단순 변심으로 반품된 정상품이나 제조나 유통 과정에서의 오류로 미세한 흠집 등이 있는 제품, 단기 전시용으로 사용했던 제품 등을 보수 및 재포장해 새 상품보다 저렴하게 판매하는 상품을 말한다.

‘다시 닦는다’라는 의미를 가진 영어 동사 ‘refurbish’에서 가져온 말로 구매자의 단순 변심으로 반품된 정상품, 성능에 큰 문제가 없는 초기 불량품, 전시 제품, 미세한 흠이 있는 제품 등을 업체에서 수리, 재포장 등의 정비를 통해 다시 판매하는 제품을 말한다.

업체들이 리퍼비시 제품을 내놓는 가장 큰 이유는 비용 때문이다. 즉, 단순 변심 제품이나 초기 불량품 등을 중고로 처리하거나 폐기하게 되면 그에 따르는 비용이 발생하지만, 리퍼비시를 실시하게 되면 비록 재정비하는 비용은 들어도 어느 정도의 이익을 남기고 판매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리퍼비시 제품의 시중 판매 가격은 보통 새 제품보다는 저렴하고 중고 제품보다는 높게 형성돼 있다.

잠봉뵈르Jambon Beurre

잠봉뵈르Jambon Beurre

잠봉뵈르(Jambon Beurre)

잠봉뵈르는 프랑스의 대표적 빵인 바게트를 반으로 자른 뒤 그 속에 잠봉(Jambon, 얇게 저민 햄)과 뵈르(Beurre, 버터)를 채워넣은 프랑스 국민 샌드위치를 말한다.

바게트를 반으로 가른 뒤 넉넉하게 자른 버터와 잠봉만 채워넣으면 돼 누구든 쉽게 만들 수 있다. 잠봉뵈르는 바게트의 고소한 맛에 짭짤한 잠봉, 버터의 풍미가 어우러져 조화로운 맛을 낸다.

성인지 감수성gender sensitivity

성인지 감수성gender sensitivity

성인지 감수성(gender sensitivity)

성인지 감수성(gender sensitivity)의 개념에 대한 합의된 정의는 아직 없지만 대체로 성별 간의 차이로 인한 일상생활 속에서의 차별과 유·불리함 또는 불균형을 인지하는 것을 말한다. 넓게는 성평등 의식과 실천 의지 그리고 성 인지력까지의 성 인지적 관점을 모두 포함한다. 이 말은 1995년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제4차 유엔여성대회에서 사용된 후 국제적으로 통용되기 시작했다.

국내에서는 2000년대 초반부터 정책 입안이나 공공예산 편성 기준 등으로 활용되기 시작했으며, 법조계에서는 성범죄 사건 등 관련 사건을 심리할 때 피해자가 처한 상황의 맥락과 눈높이에서 사건을 바라보고 이해해야 한다는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다.

성인지 감수성은 2018년 4월 대법원 판결에서 등장하면서 화제를 모으기도 했는데, 당시 대법원 제2부는 학생을 성희롱했다는 이유로 징계를 받은 대학교수가 낸 해임 결정 취소소송 상고심에서 원고 승소 판결한 원심을 깨고 원고 패소 취지로 파기환송했다. 재판부는 이때 판결에서 "법원이 성희롱 관련 소송 심리를 할 때는 그 사건이 발생한 맥락에서 성차별 문제를 이해하고 양성평등을 실현할 수 있도록 ‘성 인지 감수성’을 잃지 않아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한편, ‘성인지 감수성’이란 기준이 모호하고 추상적이어서, 성범죄 관련 재판 결과가 판사에 따라 달라지고 있다는 비판의 목소리도 있다.

팟캐스트pod cast

팟캐스트pod cast

팟캐스트(pod cast)

인터넷망을 통해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다. 기존의 라디오 프로그램과 달리 방송시간에 맞춰 들을 필요 없이 구독만 해 놓으면 자동으로 업데이트되는 프로그램을 내려 받아 들을 수 있다.

오디오 파일 또는 비디오 파일형태로 뉴스나 드라마 등 다양한 콘텐츠를 인터넷망을 통해 제공하는 서비스다. 애플의 아이팟(iPod)과 방송(broadcasting)을 합성한 신조어이다. 기존 라디오 프로그램과 달리 방송시간에 맞춰 들을 필요가 없으며, MP3플레이어ㆍ스마트폰 등을 통해 구독 등록만 해 놓으면 자동으로 업데이트되는 관심 프로그램을 내려 받아 아무 때나 들을 수 있어 인기를 얻고 있다.

팟캐스트는 사용자가 매번 미디어를 선택해야 하는 방식의 다른 온라인 미디어와 달리 구독 방식으로 이루어진 점이 특징이다. 구독 모델은 RSS 2.0 XML 또는 RDF XML 파일 포맷을 사용해 파일을 제공한다. 일부 팟캐스트 구독 소프트웨어는 미디어 파일을 자동으로 기기에 전송해 주기도 한다.

부채비율debt ratio

부채비율debt ratio

부채비율(debt ratio)

부채비율은 기업이 갖고 있는 자산 중 부채가 얼마 정도 차지하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비율로, 기업의 재무구조 특히 타인자본의존도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경영지표다. 부채비율은 부채총액을 자기자본으로 나눈 뒤 100을 곱해 산출한다.

○ 부채비율 = 타인자본(부채총계)÷자기자본(자본총계) ×100(%)

"

상환해야 할 타인자본(부채총계)에 대해 자기자본이 어느정도 준비돼 있는가를 나타내는 부채비율은 기업의 건전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가 된다. 이처럼 부채와 자본의 구성비율을 나타내기 때문에 재무구조 또는 안전성비율 이라고도 한다.

",

예컨대 어느 기업의 부채비율이 200%라면 빚이 자사가 보유한 자본보다 두 배 많다는 것을 뜻한다. 일반적으로 100% 이하를 표준비율로 보고 있는데, 선진국에서는 200% 이하 업체를 재무구조가 우량한 업체로 간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