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양대군과 계유정난 1편
■ 수양대군과 계유정난 1편
소설이나 영화에 등장하는 수양대군에 대한 평가는 극과 극이다. 그렇다면 진실은 무엇일까? 아마 그 시대에 살아서 그 일을 직접 보고 경험했다 하더라도 자신의 위치에 따라 혹은 역사를 보는 시각에 따라 각자 생각이 달라질 수 있다.
"조선은 건국 초 정도전에 의해 신권이 왕권보다 더 강한 나라로 만들어졌다. 정도전은 조선을 재상중심제 나라 로 만들려고 했다. 왕은 그저 상징적으로만 존재하고 국정은 재상(宰相)을 중심으로 한 조정대신들이 맡아 한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태종 이방원은 이를 왕권에 대한 심각한 도전과 훼손으로 받아들여, 제 1차 왕자의 난을 일으켜 정도전을 죽이게 된다. ‘제 2차 왕자의 난’을 거쳐 즉위한 태종은 왕권을 강화시켜 건국 초 흔들렸던 조선을 안정시키고 새로운 나라 조선의 기반을 확실히 닦아놓았다.
",하지만 세종은 달랐다. 태종 때 강화시킨 왕권을 신하에게 적당히 나누어 주어 왕권과 신권을 적절히 조화시켰다. 세종은 능력 있고 지혜로운 임금이었기에 신권에 휘둘리지 않으면서도 조화를 잘 이룰 수가 있었던 것이다, 세종 후기 문종이 세자로서 대리청정을 하면서 정국을 주도할 때도 마찬가지였다. 문종 또한 세종과 비슷한 스타일로 신권을 상당히 존중해주었다. 문종이 오래 재위했다면 이 같은 정치형태가 자리 잡으면서 조선의 역사는 달라졌을 수도 있었다. 그러나 문종이 재위 2년3개월 만에 급사하고, 열두 살의 어린 단종이 왕으로 즉위했다.
문종은 죽어가면서도 두 동생인 수양대군과 안평대군에게 단종을 부탁하지 않고, 김종서와 황보인 등 중신들에게 단종을 끝까지 보살펴 달라고 당부했다. 문종은 친동생들보다 중신들을 믿고 신권에 힘을 실어 준 것이다. 수양대군의 입장에서는 무척 서운할 수밖에 없었다. 김종서와 황보인 등 중신들은 야망이 큰 수양대군을 견제하고, 수양대군에 비해 야망이 적고 풍류를 즐기며 문인기질이 다분한 안평대군과 더 가깝게 지내 수양대군을 더 자극하게 되었다.
할아버지 태종(이방원)과 가장 많이 닮았다는 수양대군이 이러한 상황을 그냥 보고 넘어 갈 수는 없었을 것이다. 결국 ‘제1차 왕자의 난’과 거의 비슷한 ‘계유정난’이 일어나게 된다.
-2편에 계속
"♣ 제공 : KIMSEM의 역사로 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