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3월 29일 금요일

전패위공轉敗爲功 - 실패를 바꾸어 성공으로 이끌다.

전패위공轉敗爲功 - 실패를 바꾸어 성공으로 이끌다.

전패위공(轉敗爲功) - 실패를 바꾸어 성공으로 이끌다.

구를 전(車/11) 패할 패(攵/7) 하 위(爪/8) 공 공(力/3)

\xa0

실패를 좋아하는 사람이 없듯이 승부에서 지는 것을 즐기는 사람도 없을 것이다. 누가 보더라도 실력 차이가 있을 때에는 겨루기를 피하고, 우위에 있을 때는 상대를 않는다. ‘지는 게 이기는 것’이란 말은 수준 차가 나는데 굳이 승부를 가리지 않고 너그럽게 대하면서 양보하는 것이 도덕적으로 승리하는 것을 이른다.

\xa0

승리와 패배는 우리들 마음속에 있다는 격언도 마음가짐에서 온다. 이는 중국 루신魯迅/ 노신의 소설 ‘阿Q正傳(아큐정전)’에서 패배해도 자위하며 정신승리로 여기는 것과 통한다. 그런데 이런 승리보다 승부에 진 것(轉敗)을 교훈삼아 반성하고 더욱 실력을 닦아 성공으로 이끌면(爲功) 더 큰 보람이다.

\xa0

因敗爲功(인패위공)이라고도 하는 이 말은 春秋時代(춘추시대) 齊(제)나라의 뛰어난 정치가 管仲(관중)에서 나왔다. 管鮑之交(관포지교, 鮑는 절인물고기 포)란 말의 당사자이고 상공업을 육성하여 桓公(환공)을 春秋五霸(춘추오패)의 한 사람으로 오르게 한 수완을 발휘했다.

\xa0

그가 한 유명한 말을 더 보자. ‘창고에 곡식이 가득 차야 예절을 알고(倉廩實而知禮節/ 창름실이지예절), 의식이 풍족해야 명예와 치욕을 안다(衣食足而知榮辱/ 의식족이지영욕)’, ‘사유가 해이해지면 나라가 망한다(四維不張 國乃滅亡/ 사유부장 국내멸망).’ 廩은 곳집 름, 四維(사유)는 나라를 다스리는 네 가지 강령 禮義廉恥(예의염치)다.

\xa0

‘史記(사기)’의 管晏列傳(관안열전)에는 이 말에 이어 그의 능력을 더 평가한다. 관중은 정치를 하면서 ‘재앙이 될 수 있는 일일지라도 그것을 잘 이용하여 복이 되게 하고(善因禍而爲福/ 선인화이위복), 실패할 일도 돌이켜 성공으로 이끌었으며(轉敗而爲功/ 전패이위공), 일의 경중을 잘 헤아려 균형을 잡는데 신중을 기했다(貴輕重 愼權衡/ 귀경중 신권형).’

\xa0

관중은 예와 의에 반하는 행동을 한 적이 있어도 孔子(공자)가 그의 능력은 인정할 수밖에 없었다. 이렇게 정치를 펼쳤기에 제나라는 100여 년이 지나 등장하는 재상 晏嬰(안영)까지 탄탄한 국력을 자랑했다.

\xa0

열세를 딛고 강자에 승리를 거두면 관전자도 짜릿하게 느끼며 열광한다. 하지만 이런 기적은 자주 일어나길 기대하지 못한다. 실패했을 때 땅을 치고 통곡만 할 것인가, 그 원인을 잘 분석하여 이겨내고 최후의 영광을 차지할 것인가는 패배를 수용하는 데서 나온다.

\xa0

늘 이기다가 참패했을 때 절대 지지 않았다고 阿Q(아큐)식 정신승리만 되풀이하다간 잘 나갈 때의 영광은 돌아오지 않는다. 이런 자세면 이기고 지는 것이 常事(상사)가 아니고 패배만 따라다닌다. / 제공 : 안병화(前언론인, 한국어문한자회)